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중고령자의 근로와 건강 관계 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고찰

        양동욱 ( Dong-wook Yang ),김정우 ( Jungwoo Kim ),문누미 ( Noomi Moon ),안보영 ( Bo-yeong Ahn ),이태진 ( Tae-jin Lee ),김홍수 ( Hongsoo Kim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2016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2 No.3

        대부분의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한국은 인구 고령화가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에 따라 중고령자의 근로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으나, 이런 논의는 주로 경제학적 관점에서만 이루어지고 있으며 보건학적 접근은 아직 부족하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중고령자의 근로가 그들의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하고, 연구 방법 측면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0년 이후 국내외 학술지에 출판된 관련 문헌들을 모두 검색하였고, 본 연구에서 설정한 선정 기준에 적합한 문헌 15편을 분석하였다. 대다수의 문헌에서 한국 중고령자의 근로는 다양한 변수로 측정한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고 보고되었으나, 일부 문헌에서는 유의한 관계가 없거나, 하위 집단별로 유의성이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연구 방법 측면에서 고찰했을 때, 많은 연구에서 인과성 측면의 내생성을 다루기 위한 연구 설계와 분석 방법의 적용에 제한이 있었다. 분석 대상 15편 중 7편의 문헌이 횡단면으로 설계되어 있었으며, 내생성을 다루기 위해 준실험적 연구 방법을 사용한 연구는 3편에 그쳤다. 본 고찰의 결과 한국에서 중고령자의 근로와 그들의 건강 사이의 관계에 대한 근거는 인과성 측면에서 아직 미흡하며, 이에 대한 보건 관점(population health perspective)의 보다 엄밀한 연구 설계와 분석 방법을 적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Rapid population aging is a major social concern in Korea, and accordingly, the value of and needs for prolonged work by older adults have been debated. Such debates, however, have been mainly discussed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and rarely from a population health persp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review studies of how work affects health among Korea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particular, we did a critical review focusing on study designs and analytic approaches. Based on our selection criteria, a total of fifteen studies were selected and reviewed. A majority of the studies report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health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however, some fou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and others found the relationship may differ by sex. In terms of methods, only a few studies addressed the endogeneity issues between work and health, and their approaches still did not fully address the issues. Our review suggests further studies with a population health perspective are need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health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the future studies, the causal impact of work on health needs to be more carefully investigated with methodological rigor and the unique social context of Korea around the topic of interest should also be considered.

      • KCI등재

        암환자 가구에서 과부담의료비 발생의 양상과 결정요인

        양동욱 ( Dong-wook Yang ),김혜림 ( Healim Kim ),강은실 ( Eunsil Kang ),김다은 ( Daeun Kim ),배은영 ( Eun-young Bae ),김진현 ( Jinhyun Kim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2017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3 No.1

        암질환은 사회경제적으로 부담이 큰 질환이다. 암환자 가구는 상당한 의료비 지출 부담이 있으며, 암환자의 직업 상실 등으로 인해 가구의 소득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이와 같은 가구의 경제적 부담은 과부담의료비 개념을 이용해 측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8-2014년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암환자 가구에서 과부담의료비 발생의 양상과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기술적 분석과 패널로짓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암환자가 없는 가구(일반 가구)에 비해 암환자 가구에서 과부담의료비 발생률이 훨씬 더 높았고, 저소득층 암환자 가 구일수록 가구의 경제적 부담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암환자 가구는 암질환 치료 첫해에 과부담의료비 발생률이 가장 높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 분석은 크게 전체 가구를 대상으로 한 모형1과 암환자 가구를 대상으로 한 모형2로 구분하여 패널로짓분석을 수행하였다. 모형1의 분석결과에서 암환자 가구는 일반 가구보다 과부담의료비 발생 확률이 4.1배 더 높았다. 모형2의 분석 결과에서는 가구원이 암환자인 경우보다 가구주가 암환자인 경우에 과부담의료비 발생 확률이 1.6배 더 높았는데 이는 가구주가 암환자일 경우에는 가구의 소득 측면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암환자에 대한 현재의 의료비 측면의 보장성 강화 정책뿐만 아니라 암환자의 직업상실 등으로 인한 가구소득 감소에 대해서도 상병수당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한다. Households with cancer patients are often faced with financial hardship due to heavy burden of medical expenses and reduced household incom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CHE) is the index which can indicates the households` economic burden of health spending.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atterns and determinants of CHE in the households with cancer patients using Korea Health Panel data from 2008 to 2014. The results of descriptive analysis showed that the incidence of CHE in the households with cancer patients was much higher than that in the households without cancer patients (general households) and the difference was larger in the lower income group. Additionally, the incidence of CHE was highest in the first year of cancer treatment and decreased over time. As a result of the panel logit analysis, the household with cancer patients had 4.1 times higher risk of experiencing CHE than the general households. Among the households with cancer patients, the probability of CHE occurrence was 1.6 times higher when the head of household had cancer than when the rest member of household had cancer.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reason that the onset of cancer would have a more negative impact on household income if the head of household was a cancer patient. In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that the current policy of expanding benefit coverage alone is not enough and additional policy measures to preserve household income are needed to protect households with cancer patients from financial risk.

      • KCI등재

        유기농자재의 탄소배출량 산정을 위한 전과정평가(LCA) -패화석, 팽연왕겨, 보르도액을 중심으로-

        윤성이,양동욱,Yoon, Sung-Yee,Yang, Dong-Wook 한국유기농업학회 2012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0 No.4

        Since 1997, Korean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and Ministry of Environment have established data on some 400 basic raw and subsidiary materials and process like energy, petro-chemical, steel, cement, glass, paper, construction materials, transportation, recycling and disposal etc by initiating establishment of LCI database. Regarding agricultur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as conducted establishment of LCI database for major farm products like rice, barley, beans, cabbage and radish etc from 2009, and released that they would establish LCI database for 50 items until 2020 later on. The domestic LCI database for seeds, seedling, agrochemical, inorganic, fertilizer and organic fertilizer etc is only at initial stage of establishment, so overseas LCI databases are brought and being used. However, since the domestic and overseas natural environments differ, they fall behind in reliability.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select organic farming materials, survey the production process for various types of organic farming materials and establish LCI database for the effects of greenhouse gas emitted by each crop during the process. As for selecting methods, in this study organic farming materials were selected in the method of direct observation of material and bottom-up method a survey method with focus on the organic farming materials admitted into rice production. For the basic unit of carbon emission amount by the production of 1kg of organic farming material, the software PASS 4.1.1 developed by Korea Accreditation Board under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was used. The study had the goal to ultimately provide basic unit to calculate carbon emission amount in executing many institutions like goal management system and carbon performance display system etc in agricultural sector to be conducted later on. As a result, emission basic units per 1kg of production were calculated to be 0.04968kg-$CO_2$ for oystershells, 0.004692kg-$CO_2$ for expanded rice hull, and 1.029kg-$CO_2$ for bordeaux mixture liquid.

      • KCI등재

        암환자의 생애말기 암 관련 의료비 발생 현황 분석

        김혜림 ( Healim Kim ),양동욱 ( Dong-wook Yang ),강은실 ( Eunsil Kang ),김다은 ( Daeun Kim ),김진현 ( Jinhyun Kim ),배은영 ( Eun-young Bae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2017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대표성을 갖는 자료를 이용하여 암환자의 생애말기 암 관련 의료비의 최근 현황 및 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국민건강보험 표본코호트 DB (2002∼2013)를 자료원으로 하여 2011년부터 2013년 사이에 사망한 암환자의 생애말기 암 관련 의료비 양상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사망 전 1년간 암 관련 의료비 1인당 평균은 총진료비 기준으로 연구대상자 전체(n=4,156)에서 2,156만 1천원, 암 관련 의료비 발생 집단(n=3,711)에서 2,414만 7천원이었다. 사망시점의 연령이 낮을수록, 암 유병기간이 짧을수록 생애말기 암 관련 의료비는 높게 나타났다. 사망 전 시기별 분석에서는 사망 6개월 전부터 암 관련 의료비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사망 전 3개월 이내에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암 종류별로는 백혈병의 사망 전 1년간 암 관련 의료비 1인당 평균이 총진료비 기준 5,532만 6천원으로 가장 높았다. 암 관련 의료비의 4대분류별 구성비 변화를 살펴본 결과, 사망 전 10∼12개월, 7∼9개월, 4∼6개월 분기에서 약품비의 비율이 40% 내외로 유지되다 사망 전 3개월간 분기에서 28.8%로 낮아졌다. 본 연구를 통해 암환자의 생애말기 암 관련 의료비의 규모와 양상에 대한 최근 현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추후 암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책수립 및 건강보험 재정계획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aspect of end-of-life (EOL) cancer care costs. Methods : This study used a retrospective cohort data from cancer patients who died between 2011 and 2013, which were available from National Sample Cohort Data Base provided by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he composition of EOL cancer care costs, the distribution of cancer care cos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cedent and elapsed time before death were analyzed. Results : A total of 4,156 cancer deced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of whom 3,711 had cancer care costs in the last one year of life. The average EOL cancer care costs were about 24.1 million won. When the age of death was low or the duration of the cancer was short, the EOL cancer care costs were high. Cancer care costs began to increase from 6 months before death and rose sharply from 3 months before death. Among the various cancer type, the EOL cancer care costs of leukemia were the highest at about 55.3 million won. The proportion of drug cost remained around 40% in the 10-12 months, 7-9months, and 4-6months before death, and the proportion of drug cost dropped to 28.8% in the remaining 3 months before death. Conclusion : The EOL cancer care costs were still high in Korea. The EOL cancer care costs var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cedent and the time to death.

      • 전계방출 광원용 플라나 게이트의 구동 특성 연구

        김광복(Kwang-Bok Kim),양동욱(Dong-Wook Yang),김태현(Tae-Hyeon Kim),김대준(Dae-Jun Kim)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8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5월

        In this paper, we report the improved driving methode using planar-gate for field emission light source. Due to the cold cathode in field emission device, it has advantage for driving system in terms of high speed pulse driving with narrow duty ratio. This paper shows that our driving method offers the stable and reliable driving system without rapid electric field variation for field emission light sour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