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비면역성 태아수종 1 례

        정호순,양거승,배현영,김덕례,황우열,유혜경 대한산부인과학회 199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6 No.11

        저자들은 본원에서 1992년 2월29세의 초산부에서 임신 27주에 관찰된 비면역성 태아수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 case of nonimmunologic hydrops fetalis observed in a 29 years old woman was reported with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저등급 자궁내막 간질성육종 1 례

        정호순,양거승,윤재호,김덕례,송귀한,김기남,이효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2

        최근 본원 산부인과에서 자궁체부에서 발생한 희귀한 저등급 자궁내막 간질성육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low grade endometrial stromal sarcoma is very rare. It has occasional local recurrence, which might be arisen from endometrial stroma, from adenomyosis, rarely from endometriosis. The authors recently experienced a case of low grade endometrial stromal sarcoma in a 36 years old woman. These case was treated by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It was revealed low grade endometrial stromal sarcoma, showing myometrial invasion. The authors briefly described the clinical and pathologic findings of low grade endometrial stromal sarcoma with a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복강경을 이용한 난소임신의 보존적 수술 1 예

        정호순,양거승,김경모,김성태,유호근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6

        난소임신은 자궁외임신의 드문 형태이다. 최근, 난소임신 이환 여성의 빈도는 증가되고 그 연령은 낮아지는 추세이다. 과거 난소임신의 수술적 치료로 환측 난소절제술이 주종이었으나 임신능력 유지를 원하는 젊은 여성의 증가에 따른 환측난소의 설상절개나 출혈낭종절제와 같은 보존적 수술 이 늘고 있다. 더욱이 복강경수술의 발달과 장점으로 인해 자궁외임신의 수술적치료에 개복수술보다는 복강경수술이 증가하고있고 난소임신 또한, 예외는 아니다. 본원 산부인과에서는 복강경을 이용한 난소임신의 보존적 수술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Ovarian pregnancy is a rare form of ectopic pregnancy. Lately, prevalence of ovarian pregnancy is on the increase, the age is tending younger. In the past, oopherectomy was a major part as a surgical management of ovarian pregnancy. But, by young women who want to keep ability for pregnancy are on the increase, conservative surgery like, wedge resection or cystectomy is on the increase. All the more because of the development and merit of laparoscopy, laparoscopy than laparotomy is on the increase in the surgical management of ectopic pregnancy, and ovarian pregnancy is no an exception. One case of ovarian pregnancy that treated by conservative surgery under the surgical laparoscopy are presented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 (TLH) 40 예에 대한 고찰 및 복식 전자궁적출술과의 비교

        정호순,양거승,임동율,박평식,탁병모,김경모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4

        서울위생병원 산부인과에서는 1997년 1월부터 1997년 8월까지 40예의 TLH 수술을 시도하였고 75예의 복식 전자궁적출술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환자의 평균 나이는 45.9세였다. 2. 수술 적응증은 자궁 근종이 22예로 가장 많았 고, 자궁선근종이 13예,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종이 동 반된 경우가 3예 등이었다. 3. 평균 수술 시간은 126.6±33.7분이었다. 4. 평균 출혈량은 210.2±101.2 ml이었다. 5. 평균 자궁 무게는 222.2±98.6 gm이었다. 6. 평균 입원 일수는 6.1±1.0일이었다. 7. 합병증으로는 intraoperative bleeding 2예, trocar site hemorrhage 1예, headache 1예, disuria 1예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써 전체 수술 시간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이는 수술자의 훈련과 숙련으로 수 술 시간 감소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또한 입원 기간 단축 효과가 적은 것은 learning curve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수술중 체위 변화 없이 수술을 마 칠 수 있고 질외번을 막아 수술 후 질 단축을 방지 할 수 있고 후복막 구조물 중 요관을 분리함으로써 수술중 원치 않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TLH 술식 으로 전 과정을 복강경으로 실시 가능하였다. TLH 술식에 숙련된 수술 팀에 의하여 수술중 큰 합병 없 이 전 과정을 실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임신 12주 이상 크기의 자궁에도 가능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수술 후 회복이 빠르며 정상적인 사회 생활로 의 복귀를 촉진할 수 있었다. 위에서 언급한 장점들 을 좀더 확실하게 규명하기 위해서는 계속 추적 관 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 clinical evaluation was attempted to analyze 40 cases of TLH which was performed at Seoul Adventist Hospital from January 1997 to August 1997, and to compare them with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of 75 cases at the same hospita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for TLH was 45.9 years. 2. The most common indication for TLH was myoma (55%), and other indication were adenomyosis (32.5%), myoma with adenomyosis (7.5%) and CIS (5%). 3. The mean operative time for TLH was 126.6±33.7 minute (80∼245 min). 4. The mean estimated blood loss for TLH was 210.2±101.2 ml (30∼800 ml). 5. The mean uterine weight for TLH was 222.2±98.6 gm (100∼849 gm). 6. The mean hospital stay of TLH was 6.1±1.0 days. 7. The complications were intraoperative bleeding (2 cases), trocar site hemorrhage (1 case), headache (1 case) and disuria (1 case). In our conclusion, TLH technique shows minimal postoperative hemorrhage, postoperative discomfort, low incidence of complications and short duration of hospitalization. TLH will be a standard operation for hysterectomy in the near future, but the procedures demand sophisticated instrumentation and a dedicated endoscopyteam to ensure safe and efficient performance.

      • KCI등재

        자궁외임신의 임상적 고찰

        정호순,양거승,탁병모,김경모,류호근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3

        1992년 1월 1일부터 1996년 12월 31일까지 만 5년간 서울위생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외임신 진단하에 입원 수술 후 병리학적 검사로 확인되었던 환자 278예 대하여 임상적 고찰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기간 중 총 분만수에 대한 자궁외임신의 빈도는 1: 26 이었다[278예/7,232 분만]. 2. 호발연령군은 30∼34세가 34.9%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 3. 분만 횟수와의 관계는 분만을 1회 경험한 경산부가 22.0%로 가장 많았고, 미산부가 19.7%를 차지하였다. 또한 유산 횟수와의 관계는 1회의 유산 경험이 있었던 경우가 31.5%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유산의 횟수가 자궁외임신 빈도의 증가와는 관계가 없었다. 4. 기왕력을 보면 유산의 경험이 있었던 경우가 59.3%, 복강내 수술 41%, 복강경 불임술 13.7%, 임상적으로 골반내염증으로 진단된 경우가 9.4%였다. 5. 초기 혈색소 측정치는 12.0 mg/㎗ 이상이 38.8 %로 가장 많았으며, 8.0 mg/㎗ 미만인 경우는 3.6%로 아주 드물었다. 6. 내원 당시의 수축기 혈압은 100 mmHg 이상이 전체의 82.7%를 차지하였으며, 70 mmHg 이하인 경우는 3.2%였다. 7. 임상증상의 발현시기는 최종월경 제1일부터 증상 발현하여 내원하기까지의 기간은 6∼8주 사이가 46.8%로 가장 많았다. 8. 자궁외임신 환자의 90.6%에서 하복부 동통이 있었고, 무월경이 85.3%, 질출혈이 45.3%에서 나타났다. 9. 자궁외임신의 진단 방법으로는 요 임신반응검사가 91.7%에서 양성률을 보였고, 더글라스와 천자의 양성률은 86.9%, 초음파 진단상 양성률은 87.7%였다. 10. 자궁외임신 환자의 수정란 착상 부위는 난관 이 95.8%로 가장 많았으며, 그 중에서도 팽대부가 72.3 %로 가장 많았다. 난관은 2.9%, 자궁경부 1.0%, 그 외 0.3%의 순서로 나타났다. 그리고 형태에 따라 파열형이 52.5%, 사산형이 47.5%에서 나타났다. 11. 복강내 출혈량은 수정란 착상 부위의 파열 유무, 파열 후 시간경과에 따라 출혈량의 정도가 다양하지만 500 ml 이하가 51.8%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500∼1000 ml로 15.5%였으며, 2000 ml 이상도 12.6%를 보였다. 12. 자궁외임신의 치료 방법은 근본적 치료로 복 강경수술 및 개복수술을 시행하였으며, 환측 난관절제술이 79.5%로 가장 많았고, 환측 난관난소절제술이 10.4%에서 시행되었다. 또한 본원에서 시행한 복강경수술과 개복수술에서 평균 수술 소요시간은 42분과 59분 이었으며, 평균 입원기간은 3.3일과 6.9일 이었다. 복강경수술의 합병증은 trocar 삽입 부위의 출혈이 1.4%였고, 개복수술의 합병증은 창상감염 2.3 %와 혈종 0.8%가 있었다. 13. 자궁외임신으로 입원 후 경과는 278예에서 수술 중, 후 사망한 예는 없었으며, 모든 예에서 특별한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다. The incidence of ectopic pregnancy is a marked increase in both the absolute number and rate in recent years. But dramatic decrease in death from ectopic pregnancies probably due to improved diagnosis and management. This study is a clinical evalua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on 278 cases of ectopic pregnancies who were admitted and treated a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Seoul Adventist Hospital from January 1, 1992 to December 31, 1996.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ectopic pregnancy was 1 in 26 deliveries[278/7,232]. 2. The most frequent age group was in 30∼34 years of age[34.95]. 3. Nullipara was 19.7% and the case who experienced artificial abortion was 75%. 4. A previous history of abdominal or pelvic surgery was in 41% and tubal sterilization was in 13.7%, pelvic inflammatory disease in 9.4%. 5. Hemoglobin value over 10.0 gm/㎗ was in 79.8% and below 8/0 gm/㎗ in 3.6%. 6. Initial systolic blood pressure rise above 100 mmHg was in 82.7%. 7. The most frequent interval between last menstrual period and the onset of symptom was 6∼8 weeks in 46.8%. The clinical manifestations were appeared in 70.6% from the last menstrual period to the next 4∼8 weeks. 8. On symptomatological analysis, lower abdominal pain was encountered in 90.6%, amenorrhea in 85.3%, and vaginal spotting in 45.3%. 9. The diagnostic positive rate was 91.7% in urine hCG test, 86.9% in culdocentesis, and 87.7% in ultrasonogram. 10. Ectopic gestation was implantated on the fallopian thbe in 95.8%, on the ovary in 2.9% and 0.3% was Douglas`s cul-de-sac. In tubal pregnancy, the most implantation site was ampullar portion 201 cases[72.3%]. Ruptured tubal pregnancy was 146 cases[52.5%]. 11. Total amount of intraperitoneal hemorrhage between 100∼999ml was in 67.3%, above 1,000 ml was in 32.7% and less than 100 ml was in 17.3% 12. Most common used operative procedure was salpingectomy in 79.5%, salpingoophrectomy in 10.4%, cornual resection in 5.8%. 13. Of total 278 cases, laparotomy in 130 cases[46.8%], pelvisopic surgery in 148 cases[53.2%],the mean hospital stay of pelviscopic procedure was 3.3 days, the mean operation time for pelviscopic operation was 42 minutes, the mean hospital stay of laparotomy was 6.9 days, the mean operation time for lparotomy was 59 minutes. 14. The complications for laparotomy were wound infection in 2.2%, hematoma in 0.8%. The complications for pelviscopic surgery were trocar insertion site hemorrhage in 2%. 15. In the 278 cases, no death occured.

      • KCI등재

        골반경 자궁적출술 (CISH) 72 예에 대한 고찰 및 복식 전자궁적출술과의 비교

        정호순,임영미,양거승,탁병모,김경모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5

        A clinical evaluation was attempted to anlaysis 72 cases of CISH which was performed at Seoul Adventist Hospital from October, 1994 to August, 1996 and to compare with total abdominal hysteretomy of 78 cases at same hospita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patients for CISH was 42.1 years. 2. The mean operation time for CISH was 127.5 minutes. 3. The common indications for CISH were myoma uteri(47.2%), adenomyosis(19.4%) and myoma uteri with adenomyosis(33.3%). 4. The mean duration of hospital for CISH was 5.3 days. 5. The complications were coring site bleeding(4 cases), trocar site hemorrhage(2 cases), headache(5 cases), dysuria(1 case) and intraoperative bleeding(2 cases). In our conclusion, CISH technique is a minimally invasive & organ-preserving surgery. Because there are no abdominal or vaginal incisions and pelvic floor support is maintained, physical & psychological stress to the patient can be minimized. This operation has advantages of shorter hospitalization, smaller blood loss, shorter operation times and reduce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 KCI등재

        제왕절개술 후 복벽반흔에 발생한 자궁내막증 1 예

        정호순,임영미,양거승,윤형기,박평식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2

        Although benign, endometriosis possesses the unique ability to invade tissue and to disseminate or metastasize by hematogeneous, lymphatic route, or direct implantation. Scar from operations are occasionally the site of endometriosis implatation. A case of endometriosis in the abdominal scar following cesarean section was experienced and treatd with complete surgical excision. We reported this case with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Turner씨증후군 2 예

        한원희,박용해,최석조,정은주,양거승,배영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10

        저자들은 본원 산부인과 외래를 통하여 원발성무월경, 단구증, 성적소아증을 주소로 내원한, 약물투여 경험이 없는 Turner씨증후군 45,XP핵형 1례와 mosaicism(45,X/46,X,i(Xq))1례를 경험하여 이를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term Turners syndrome refer to those intences of gonadal dysgenesis associated with somatic anomalies such as sexual infantilism, secondary to failure of ovarian development, short stature, webbing of the neck, cubitus valgus and others. The external genitalias are female and the uterus and the tubes are normal, although often rather small. The authers have recently experienced such these patients as gonadal dysgensesis with primary amenorrhea, sexual infantilism and whort stature than their chrocological age, and we report these cases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