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성 음료에 의한 법랑질의 침식과 인공타액에 의한 재광화

        안호영,이광희,김대업,Ahn, Ho-Young,Lee, Kwang-Hee,Kim, Dae-Eup 대한소아치과학회 2002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9 No.1

        The purpose of study was to assess the influence of acidic drinks on the erosion of tooth enamel and the effect of fluoridated saliva on the remineralization. Twenty five drinks were sampled. The erosive potential and remineralizing effect were measured by the tooth surface microhardness test. The pH of most drinks were below pH 5.5. Reduction rates of enamel surface hardness by the flavored carbonated drink were 16.90%, 25.11%, 35.10%, and 41.62% after 5, 10, 30, and 60 minutes of demineralization, and recovery rates by remineralizaing solution were 61.52%, 67.96%, 72.13% and 75.93% after 1, 24, 48, and 72 hours of remineralization,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ost drinks in the markets have the potential to erode the teeth and that erosion occurs fast but remineralization proceeds slowly. 연구 목적은 시중 음료의 산성도를 조사하고 산성 음료가 유치 법랑질의 침식에 미치는 영향 및 침식된 법랑질에 대한 인공 타액과 불소의 재광화 효과를 연구하는 것이었다. 시중의 25 종류의 음료를 표집한 후 pH를 측정하였고, 표면미세경도측정법으로 유치 법랑질의 침식 및 재광화 실험을 시행하였다. 음료의 pH는 대부분의 음료가 pH 5.5이하였다. 산성 음료에 의한 유치 법랑질 표면미세경도의 감소율은 착향탄산음료의 경우 5분 후가 16.90%, 10분 후가 25.11%, 30분 후가 35.10%, 60분 후가 41.62%이었고, 재광화용액에 담갔을 때 표면미세경도의 회복률은 1시간 후에 61.52%, 24시간 후에 67.96%, 48시간 후에 72.13%, 72시간 후에 75.93%이었다. 결과는 시중 음료의 대부분이 산성 음료이며 치아침식증의 발생은 빠르게 일어나는 반면에 재광화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일어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식의 관념성과 외계실재론 비판

        안호영(Ahn, Ho-young)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코기토 Vol.- No.84

        ‘외부대상은 존재하지 않고, 단지 식뿐(唯識無境)’이라는 주장은 불교적 관념론의 선언으로 비춰질 소지가 많고 우리의 구체적인 경험과도 다르다. 또한, 오늘날 우리가 마주하는 현대문명을 기초지우는 자연과학 법칙은 우연적인 것이 되고, 이 법칙이 우리에게 알려지게 된 것은 기적에 가까운 일이 될 것이다. 따라서 중관 및 유식사상에 대한 관념론적 해석은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우리의 경험을 포괄하지 못한다는 비판에 직면하며, 차라리 자연과학 법칙의 필연성 내지는 보편성을 긍정하는 외계실재에 대한 논의가 힘을 얻게 되는 것이다. 논자는 육근(六根)의 이중성을 새롭게 조망함으로써 논의의 방향을 완전히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한다. 즉, 육근이 육경(六境)과 육식(六識)의 속성을 모두 가진다면 어떤 논의가 가능할지를 검토해야 한다. 먼저, 외계실재를 인정하는 설일체유부와 경량부 등과의 대론을 통해 논증을 다듬어 가는 중관 및 유식사상의 주요 경전인 『중론』과 『유식이십론』에서 외계실재를 어떻게 부정하는지를 정리한다. 이어서 있는 그대로의 유동하는 물질세계를 인정하고, 이를 전제로 의식의 물질적 속성을 연역해내는 베르그손의 사유가 물질과 기억을 통해 재구성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외계실재에 대한 관념론적 및 실재론적 해석이 갖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중관 및 유식의 관념론적 해석과 물질에 대한 실재론적 해석을 제고한다. 끝으로 물질적 이미지들이 상호작용하는 방식과는 다르지만 여러 이미지들과 영향을 주고받는 신체-이미지를 통해 외계실재론과 관념론의 몇몇 난점을 해소할 수 있음을 논구한 후, ‘유식무경’을 새롭게 논의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나아갈 것이다. 이처럼 ‘식(識)의 관념성’과 ‘외계의 실재’ 문제를 베르그손의 이미지론과 더불어 비판적으로 논의할 수 있다면, 식과 물질의 간극은 그리 크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외계실재의 극한인 극미를 부정하고 의식을 강조할 것이 아니라, 물질에서 식을 연역할 수 있다는 사실을 수용한다면, 논의의 방향이 완전히 달라진다. 결국 물질은 의식만큼이나 관념적인 것이며, 의식은 물질만큼 실재적인 것임이 드러나게 될 것이다. The statement ‘no external object, cognition only(唯識無境)’, it looks like the declaration of the buddhist idealism and does not correspond with our ordinary experiences. And also the natural laws which provide a solid foundation for our modern culture could be completely coincidental, then the knowledge of these laws would be little short of a miracle. It would confront the critique which the idealistic interpretations on mādhyamika and vijñānavādin could not embrace our concrete and real experiences, it would rather draw support the arguments to approve the external objects as the inevitability or universality of the natural law. It changes direction of our discussion if we shed light on the duality of the six roots. That is, if mano-vijñãna have six sense-objects of sense and six cognitions, we need to review what is possible. First, we summarize how to dismiss the external world at Mūlamadhyamakakārikā and Viṃśatikā-vijñaptimātratāsidhi-śāstra which are the main sutras of mādhyamika and vijñānavādin through debating with Sarvastivada and Sautrantika which accept the external objects. In succession, recognizing the moving world as it is, and by this premise, then deducing the materiality of consciousness with Matière et mémoire, we reconstitute the thought of Bergson. Based on this discussion, we have examined both objections of the idealistic and realistic interpretation on external objects, then reconsidered the idealistic interpretation of mādhyamika and vijñānavādin and the realistic one on the material world. Finally, After arguing that we eliminate problems both of the theory of external object and of the idealism through the body-image which interact with various images differently with material images interacting each other, we will move on to the possibility of new discussions on ‘no external object, cognition only’. Likewise, if we could discuss critically problems of the idealism of vijnana and of the external realism with the theory of Bergson’s image, the gap of vijnana and matter will not so large. Accordingly it is not concentrate on the cognition without the paramanu, If we accepted the fact deducing the cognition from the matter, the direction of the discussion is completely different. Eventually it could be revealed that the matter is idealistic like vijnana, and vijnana is realistic like the matter.

      • KCI등재

        진화하는 콤플렉스티(Complexity) 또는 복잡성(複雜性) 개념

        안호영(Ahn, Ho-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2 문화와 융합 Vol.34 No.-

        본 논문에서는 콤플렉스티 개념과 연관이 있는 연구에 대한 영어권과 라틴계 전통을 통합하는 연구들을 검토함으로써, 복잡성이라는 용어를 좀 더 미묘하게 사용하기를 제안한다. 이렇게 할 때 우리는 복잡성을 특정된 또는 한정된 것들로 표현하려는 개념의 단순화를 피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우선‘ 콤플렉스티’의 어원을 검토함으로써, 이 개념을 통해 영미권에서 형성된 세 세대에 걸친 이론의 연대기적인 성격, 그리고 인식적이고 사회문화적인 근원을 논의할 것이다. 인식론적인 관점에서는‘ 콤플렉스(Complex)’에 대한 경쟁적인 해석들을 조명하고,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는 모호하기 때문에 콤플렉스티가 자유롭지만 낯설기까지 하다는 것을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모호성으로부터 복잡성의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때, 콤플렉스티는 복잡성으로 온전하게 번역될 수 없음을 지적할 것이다. 오히려 콤플렉스티와 복잡성은 고정된 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그 자체로 재귀적인 되먹임이며 스스로 운동하고 있음을 주장함으로써 진화하는 개념으로 받아들여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복잡성에 기초한 교육과 연구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수업을 진행하거나 과제를 수행할 때, 복잡성에 대한 적대감을 배움의 한 과정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나아가 그들 자신이 이러한 복잡성 개념의 진화에 동참하고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investigating on the study which integrates the both American and Latin traditions about the concept of complexity, we would suggest the more delicate using of the term Bokjabsung. With this consideration, we could avoiding the simplicity of this concept when expressing the specific and limited things. It further explores the etymology of complexity and offers a chronological presentation of three generations of theories that have shaped its uses, and then epistemic and socio-cultural roots of these theories are also introduced. we address, from an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that this reflection sheds light on the competing interpretations underlying the definition of what is considered as complex, and from an socio-cultural point of view, that the ambiguity gives us the feeling of free but that of unfamiliar. When we examine critically the concept of Bokjabsung with this ambiguity, we could indicate that the term complexity could not translate to the term Bokjabsung entirely. On the contrary, no more static for the concept of complexity and Bokjabsung, we should accept as the evolving things that these are recurrently feed-back and floting by itself. Therefore, when the men who have interested in the education and research based on the term Bokjabsung are teaching and researching, they should adopt the rejection of the term Bokjabsung as one process of the learning, furthermore they should notice that they are participating these evoluving concepts of Bokjabsung by themselves.

      • 고정된 카메라 내부 속성을 가정한 Self-Calibration

        안호영 ( Ho-young Ahn ),박종승 ( Jong-seong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7 No.2

        Self-calibration에서 3차원 좌표의 복원은 호모그래피 행렬 H를 계산하면 얻을 수 있다. 이 호모그래피 행렬을 얻는 방법은 dual absolute quadric, Kruppa Equation(dual conic), plane at infinity(modulus constraint)를 사용하는 방법과 같이 세 가지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제안하는 방식은 dual absolute quadric을 사용한다. 카메라 내부 속성이 모든 뷰에서 동일하고 비틀림이나 영상의 원점이 중심이라는 가정을 두고 호모그래피 행렬 H를 계산한다. 실험을 통해서 주어진 가정으로 정밀한 복원이 가능함을 보였다.

      • 한국이 추진할 가치외교

        안호영 ( Ahn Ho-young ) 한국외교협회 2023 외교 Vol.145 No.0

        1948년 이후, 한국 정부는 주어진 시기의 국제 정세를 있는 그대로 평가하고, 그에 따라 안보와 경제 발전을 담보할 수 있는 외교 정책의 큰 방향을 정하고, 실천하였다. 냉전시기에는 제헌 헌법 제정, 한국 전쟁, 한·미 상호 방위 조약 체결 등을 거치면서 해방후의 사상과 체제의 혼란을 극복하고 자유민주주의, 시장 경제, 법치주의에 따라 국가를 발전시켜 나가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였다. 이는 산업화, 그리고 민주화 라는 세계가 주목하는 발전의 기초가 되었다. 1990년에 시작된 탈냉전시대, 대부분 공산주의 국가들이 개혁과 개방에 나서고, ‘자유주의적 국제질서’는 전 세계로 확장하게 되었다. 우리 정부는 ‘북방정책’을 선언하였고, 이는 우리 외교, 경제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로부터 30년이 지난 현재, 지난 70년간 우리나라 발전의 기초가 되었던 자유민주주의를 비롯한 가치들이 엄중한 도전을 받는 시기에 직면하고 있다. 12월 28일 정부가 발표한 ‘인도·태평양 전략’은 당면한 현실에 대응하여 뜻을 같이 하는 국가들과 함께 이러한 가치를 지켜 나가겠다는 대응 방안, 즉 한국판 ‘가치외교’를 선언한 것이고, 이것이 ‘전략’의 외교사적 함의이다. ‘전략’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많은 과제가 있다. ‘가치외교’의 필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 이를 실천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거버넌스 체제 구축, ‘가치’ 추구 과정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문제 해결, ‘가치’를 달리하는 국가와의 상호 호혜적인 관계 유지 등이 그것이다. After 1948, the Korean government has successfully adjusted the basic orientation of its foreign and security policy at each important juncture in international relations. During the Cold War, Korea based its foreign and security policy on liberal democracy, market economy, human rights and the rule of law, the values underlying the rules-based international order. That orientation enabled Korea’s economic development and political democratization. Forty years later, the Cold War came to an end. Former communist countries rushed to seek reform and liberalization. It looked possible to expand the “rules-based international order” to the whole world. This time, Korea declared its “Northern Policy” aimed at normalizing relations with former communist countries. The policy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to further accelerate Korea’s economic growth. Unfortunately, that era is coming to an end. The “rules-based international order” is meeting with huge challenges. President Biden calls these challenges a fight “between democracy and autocracy.” German Chancellor Olaf Scholz calls them “Zeitenwende,” meaning an inflection point in history. Korea has to brace itself for fundamental changes in the security and economic environment of the world and the Indo-Pacific. It was against such a backdrop that Korea declared its Indo-Pacific Strategy on Dec. 28, last year. The declaration emphasizes the importance for Korea to work to preserve the “rules-based international order,” and concludes with nine core lines of effort that need to be made. The first core line is “Building regional order based on norms and rules”; “In realizing the vision for a free Indo-Pacific, the Republic of Korea is committed to partnering with like-minded countries that share the values of freedom, the rule of law and human rights as well as international norms to contribute to the stability and prosperity of the Indo-Pacific region.” The Korean government has to do a lot of homework to advance the “Strategy”; broadening public support for the “Strategy”; establishing the whole of the government governance system for implementation; ability to deal with various issues rais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and maintaining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 with countries not sharing our values.

      • KCI등재

        <특집논문 2> 깨달음에 대한 현대적 해석과 선불교 : 직접성(直接性)의 문제와 『육조단경(六祖壇經)』의 "자성자도(自性自度)"

        안호영 ( Ho Young Ah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0

        불교는 自覺의 종교이며, 깨달음의 종교이기 때문에 ``나``와 ``깨달음``의 문제가 가장 중요하다. ``나``와 ``깨달음``의 문제가 『六祖壇經』에서는 ``自性自度``라는 한 句를 통해서 드러난다. 그러나 만약 이 句를 형식적인 측면에서의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의 방법론과 내용적인 측면에서의 깨달음의 본질로 구분하여 표현함으로써 두 가지로 나누어 본다면, 깨달음은 간접적이며 매개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이 된다. 이런 이유로 우리는 어떤 매개도 없는 ``直接性``의 문제를 마주해야 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自性自度``는 의미와 논의의 영역으로 들어올 수 있게 된다. 본 논의의 목적은 慧能이 설하는 실천적인 의미에서 ``자성 보는 법``의 대의가 ``自性自度``라는 한 句에 담겨있음을 논증하려는 것이다. 먼저 자성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실천[行]과 ``자성 보는 법``이 동시적인 것이며, 따라서 ``실천적으로 자성 보는 법``으로 나아가게 된다는 것을 논의한다. 이어서 이러한 실천[行]은 慧能의 삶에서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으며, ``자성 보는 법``을 체득하는 과정을 재구성함으로써 ``자성 보는 법``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로 이어진다. 그리고 慧能이 ``실천적으로 자성 보는 법``을 ``自性自度``와 연결시킴으로써, 自性을 건네야 할 필요성은 무엇이며 어떻게 건넬 것인가에 대해서 논의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건네다[渡]에서 비롯된 옮김의 개념을 건네다[度]와 直接性을 어떻게 연결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For the buddhism is the religion which is self-awakening and accomplishes the nirvana, the problem of both ``I`` and the ``nirvana`` is particularly important. This problem is disclosed through the one phrase as the ``Cross-the-Self- Nature-Over(自性自度)`` in Altar Sutra of Hui-Neng(『六祖壇經』). But if we would see this phrase separately by expressing between the methodology of the process which approaches to the nirvana in the formal aspects and the essence of the nirvana in the contextual aspects, the nirvana would be going to the indirect and mediated thing. By this reason, we should confront the problem of the ``immediacy`` without any mediated things, then we could immediately enter into the region of the meaning and the discussion on the ``Cross-the-Self-Nature-Over``.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argue in practical aspects Hui-Neng(慧 能)``s addressing the primary summary of the ``how to examine the self-nature(自性)`` which is contained in that one phrase. First of all, considering the meaning of the self-nature, it is simultaneously both the practice[行] and the ``how to examine the self-nature``, therefore we could discuss the argument which is related to the ``how to practically examine the self-nature``. Then we could find intactly this practice[行] in Hui-Neng``s life, accordingly reconstituting the self-experience of the ``how to examine the self-nature``, we could go forward the argument on the importance of this way. And then by connecting the ``how to examine practically the self-nature`` to the ``Cross-the-Self-Nature-Over``, we would discuss what is the necessity to cross the self-nature over and how is to cross over. Finally we would discuss how we could connect the cross-over[度] and the immediacy through the concept of the move based on the cross-over[渡].

      • KCI등재

        ‘복잡성 논증’의 일상언어적 이해와 INUS조건

        안호영(Ahn, Ho-Young)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코기토 Vol.- No.82

        오늘날 복잡계가 과학을 넘어 인문 및 사회과학에서도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음에도, 질서의 범주 속에서 복잡계를 설명하고 이해하려는 시도는 여전히 많은 논쟁거리를 양산하고 있다. 논자는 이러한 논쟁이 형식적으로는 ‘인공언어’와 ‘일상언어’의 충돌이었고, 내용적으로는 ‘법칙적 질서의 일상성’ 대 ‘질서 일반의 비법칙적 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대결로 규정하려고 한다. 내용적 불일치는 차치하더라도 오히려 논쟁의 형식적인 측면, 즉 양자 간 사용하는 언어체계의 상이함에 그 주된 원인이 놓여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복잡계는 지극히 일상언어적 측면에서 환원과 창발의 주된 원인이 무엇인지에 초점이 맞추고 있는 반면에, 물리학과 수학으로 대표되는 과학은 이것을 인공언어적 측면에서 설명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인공언어적 측면만으로 이해하려고 할 때, 복잡계가 보여주는 질서는 우연적이고 일회적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복잡계가 여전히 질서의 범주에 속하면서도 일상언어적 특징도 함께 드러낼 수 있겠는가? 논자는 분석철학에서 사용하는 ‘INUS조건’이 복잡계의 일상언어적 특징을 극명하게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INUS조건이란 ‘어떤 결과의 발생에 대해 필요하다기보다는 충분한 조건들 속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요인’을 가리킨다. 복잡계의 논의에서 등장하는 ‘단순’ 관념 및 ‘상향적’ 용어와 ‘복잡’ 관념 및 ‘하향적’ 용어는 환원과 창발의 논의에서 각각 ‘결정적인 역할을 한 요인’을 의미한다. 즉 환원에서는 ‘단순’ 관념이 창발에서는 ‘복잡’ 관념이 INUS조건이다. 이때 ‘단순’ 관념에 창발과 관련된 조건이, ‘복잡’ 관념에 환원과 관련된 조건이 없다는 말이 아니다. 이렇게 이해할 때 복잡성의 창발은 기존 과학의 관점을 배재하지 않는다. 다만 일상언어의 측면에서 무엇이 창발 혹은 환원의 주된 원인인지를 밝히고 있을 뿐인 것이다. Whether a complex system could be included in the criterion of the order or not, it looks like the crash between the ‘artificial language’ and the ‘ordinary language’ in the view of the form, and also ‘everydayness of lawful order’ and ‘anxiety for the orderless possibility of the order in general’ in the view of the context. But this disputes are sustained not by the contextual disagreement but mainly by the formal respect,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systems of adopted languages by them. Whereas the complex system would focus on what it is the prime origin of the reduction and emergence in the aspect of the ordinary language, the science like physics and mathematics would focus on this in the aspect of the artificial language. However, orders of the complex system could be contingent and disposable in the respect of artificial language. Then how could we reveal characteristics of the ordinary language even including in the criterion of the order altogether? I think that it could reveal these characteristics by using the ‘INUS conditions’ in the analytic philosophy, where INUS stands for “Insufficient and Non-redundant parts of Unnecessary but Sufficient causes”. In ‘complexity argument’, the concept of ‘simpleness’ & ‘bottom-up’ term and the concept of ‘complexness’ & ‘top-down’ term are ‘Insufficient and Non-redundant parts’ in the view of the reduction and the emergence respectively, it is the INUS conditions that is ‘simpleness’ and ‘complexness’ in the view of the reduction and the emergence respectively. But it is not saying that there is not emergent conditions in ‘simpleness’ or reductionist conditions in ‘complexness’. On the contrary, the emergence of complexity is consistent with the traditional sciences. It just turns out only what the prime origin is in the aspect of the ordinary language.

      • KCI등재후보

        양자역학 태동기의 이원론에 관한 역사적 연구

        안호영(Ahn, Ho-young)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코기토 Vol.- No.70

        베르그송은 당대의 과학적 결과를 끊임없이 참조했으며, 뛰어난 분석력을 바탕으로 이를 자신의 사유 속에서 오랜 시간 응축시켜낸 놀라운 통찰력을 우리에게 제시했다. 물론 이것은 베르그송에게만 해당되는 사실은 아니다. 칸트의 비판철학은 뉴턴의 고전역학을 경이롭게 바라본 철학자가 제시하는 놀라운 사색의 결과물로서, 그의 철학은 과학적 결과를 어떻게 성공적으로 수용할 것인가를 보여준 좋은 선례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우리는 그 반대 방향에 대해서도 물을 수 있을 것이다. 즉, 과학이 철학적 결과를 수용한다면 어떤 모습일까? 본 논의는 이러한 질문을 베르그송의 사유에 대해 제기하고, 양자역학의 개념을 베르그송의 사유 속에서 이해하려는 시도를 담고 있다. 본 논의는 제기된 질문을 두 가지 방향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베르그송이 자신의 사유를 전개했을 당시의 시대상과 새로운 과학이 태동하여 전개되는 시기의 시대상을 역사적으로 조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베르그송은 자신이 직면한 시대적 한계와의 대결을 통해 새로운 형이상학을 전개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의 사유는 새로운 과학이 출현하는 시기와 맞물려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과학적 시도의 한계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로서, 양자역학에 등장한 이원론 문제를 살펴보려고 한다. 이원론은 양자역학의 형성과정에서 주조된 개념인 ‘입자-파동 이중성’ 문제 그리고 ‘불확정성의 원리’에서 정형화되었는데, 우리는 이러한 개념이 베르그송의 사유와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드러내고자 한다. Bergson had presented us the outstanding insights through the condensed thinking which is based on the remarkable analysis of the contemporary science. Definitely, this is not suitable only for Bergson" philosophy. Kant"s Critique Philosophy is good example for how philosophy which has received the result of science could give new perspective to our thoughts. Then we could ask on the contrary to this: when the science could absorb certain philosophical thoughts, what does it look like? In this paper, we would apply this question to Bergson"s philosophy, and then we would try to understand the concepts of quantum mechanics within Bergson"s thoughts. We have two directions to look into for above question. First, we would take historically a view of the circumstances in which both Bergson had lived and the new science, quantum mechanics, had evolved. Through this, we would identify that Bergson who had confronted the contemporary science has brought out novel metaphysics as well, and that the period of his thoughts progress coincided with that during the advent of quantum mechanics. Second, as a critical example of the limit of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we would examine the dualism which is observed and formulated at quantum mechanics. We would reveal the resemblance between Bergson"s philosophy and the concepts of quantum mechanics which are known as "wave-particle duality" and "uncertainty principle".

      • KCI등재후보

        융복합 교육으로서의 과학 교양교육-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안호영(Ahn, Ho 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5 문화와 융합 Vol.37 No.2

        본 논문에서는 시대정신으로서 융복합 교양교육을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을 통해 검토한 후,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의 중심에는 STEAM 교육과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의 접목, 그리고 융복합적 글쓰기를 통해 소통을 강화하려는 시도가 있음을 논의할 것이다. 또한 동국대의 진행 사례를 들어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의 특징에 대한 검토로 나아갈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동국대의 과학 융복합 교양교과목의 특징을 세 가지로 요약할 것이다. 첫째, 문·이과 분리의 폐해가 매우 심각하다는 데 문제의식을 공유하며, 이러한 폐해를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을 통해 해결하려 한다는 것이다. 이는 생명과 마음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설명하고 인문학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교과목들에서 분명해진다. 둘째, 동국대는 종립 대학으로서 학생 개개인이 자신의 심성을 스스로 돌이켜 볼 수 있도록 불교 정신을 융복합 교과목 속에서 구현하려고 한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과학과 인문학의 융합을 통해서 이런 특징들이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를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셋째, ‘인간’을 위한 융합 교육은 인간 자신을 탐구하는 학문이며, 따라서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은 인간학을 지향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는 것이다. 결국 융합이란 자신이 마주한 한계적 질문을 앞에 두고서, 융복합적 글쓰기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으로 구체화되는 것이다. In this paper, we review the converging general education as the spirit of the age by the science in general education, then we would research the direction which the science in general education should go toward. We would address that there are the conjunction between STEAM and the science in general education, and the attempt to intensify the communication through the converging writing. Also by examples from Dongguk University, we would examine how the science in general education could be characterized We summarize characteristics of examples from Dongguk University by giving its three ideas. First, we hold in common for bad influences of two cultures, these influences should be solved through the science in converging education. It is obvious at the educational courses which are explained by the science and reflected by the philosophy and the humanities. Second, since the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for students to introspect their born-nature by themselves, it is very distinctive to embody the spirit of Buddhist in the converging educational courses. We would explain by examples through the convergence of the science and the humanities how these features could be embodied. Third, the converging education for ‘human’ is the study for investigating by themselves, then it also is distinctive to accomplish the anthropology. After all, what the convergence is, while confronting the ultimate question by themselves, it is concretized by the attempt to solve this question through the converging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