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NCS 커피 교육프로그램이 교육만족과 실무전이에 미치는 영향

        안창숙(An, Chang-Sook),전재균(Jun, Jae-Kyoon) 한국관광레저학회 2023 한국관광레저학회 학술발표대회 Vol.2023 No.2

        In the domestic coffee market, imports and consumption continued to increase even during the spread of COVID-19. Based on this, the number of coffee-related industries and coffee-related workers is also expanding. In line with the expansion and change of the coffee industry, the country has developed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which standardized the job of coffee, since 2013. We would like to confirm whether coffee education is currently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offee industry through NCS, how the NCS education is satisfied, and whether NCS education is possible to cultivate practical human resources required in the actual field. For this purpose,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tudents of universities and academies who experienced the NCS coffee education, and the final 204 questionnaires were empir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27.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components of the NCS coffee education program, educational method,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al instru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bu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so hypothesis 1 was partially adopted. Second,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transfer of training, so hypothesis 2 was adopted.

      • KCI등재
      • KCI등재

        배아 이식에서 임신율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 다변인 분석

        홍유경 ( Yu Kyung Hong ),서은지 ( Eun Jee Seo ),안창숙 ( Chang Sook An ),구지선 ( Jee Sun Gu ),차병헌 ( Byung Hun Cha ),박은주 ( Eun Joo Park ),박원일 ( Won Il Park ),이진용 ( Jin Yong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11

        목적: 배아 이식 단계는 보조 생식 시술의 성공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 왔지만, 그에 비해 그동안 배아 이식 기술에 대한 충분한 연구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식 시술의 다양한 요인들이 시술 성공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이식관의 종류 (부드러운 혹은 단단한), 이식관에 피가 묻었는지의 여부, 이식의 난이도 (쉬움, 중등도, 힘듦), 그리고 시술 의사를 변수로 하여 체외수정의 결과, 즉 임상적 임신율 (초음파로 태아 심박동 확인)과 출산 임신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외 환자의 나이, 총 획득 난자 수, 자궁내막 두께, 이식한 배아 중 최상급 배아의 질 등을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매개변수로 선정하였다. 단일 변인 분석은 카이자승 검정을, 다변인 분석은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결과를 얻었다. 결과: 배아 이식 시술의 여러 요인들 중에 임신율과 생존 출산율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시술 난이도로 나타났다. 쉬운 이식과 중등도 이식 사이의 시술 성공률은 차이가 있었으나, 중등도와 힘든 이식의 차이는 없었다. 또한 이식관에 피가 묻었는지의 여부가 생존 출산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이식관의 종류와 시술 의사는 임신율, 출산율에 의미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보조 생식 시술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이식관에 피가 묻었는지의 여부와 배아 이식 시술의 난이도를 들 수 있다. Objective: Embryo transfer is a critical step in assisted reproduction. However, the different aspects of the procedure were not fully estimat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pact of each aspect in the procedure to success of pregnancy. Methods: Medical records of 525 fresh IVF/ICSI cycle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ll embryo transfers were performed under ultrasonography guidance and after removal of cervical mucus. Assessed primary variables are difficulty of procedure (easy, moderate, and difficult), presence of blood in the catheter, types of catheter (soft or hard) and physician factor, and confounding variables are age of patient, total number of oocytes, number of transferred embryos, the highest grade of embryo, endometrial thickness. Measured outcomes were clinical pregnancy (visible fetal heart beat by ultrasonography) and live-birth rate. Univariate analysis and multivariate analysis by logistic regression test were used. Results: Among the variables of embryo transfer procedure, the difficulty of procedure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both clinical pregnancy (OR: 0.402, 95% CI: 0.205-0.789, easy vs. moderately difficult) and live birth rate (OR: 0.380, 95% CI: 0.178-0.841, easy vs. moderately difficult). The difference between moderately difficult and very difficult procedure was not significant. Presence of blood was significant for live-birth rate (OR: 0.512, 95% CI: 0.267-0.980). Types of catheter and physician factor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Conclusion: The difficulty of the transfer procedure and presence of blood in catheter a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ART out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