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존 미혼독신들의 생활양식 연구

        안은미,허정무,An, Eun-Mi,Hurh, Jeong-M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

        이 연구에서는 부모의존 미혼독신들의 생활양식이 어떠한가를 규명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혼독신들이 결혼을 결심하고 생애설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 구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대도시와 도농복합도시에 거주하는 30대와 50대의 성인 남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최근들어 결혼은 필수가 아닌 선택이라는 결혼가치관이 형성되면서 결혼 연령 상승에 따른 미혼남녀 인구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결혼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부정적이다. 여성들의 생활능력이 변화되면서 고학력주의, 저임금 문제, 높은 결혼비용 등으로 인해 결혼기피현상이 생기게 되었다. 여성에게 있어서는 출산과 자녀양육(성 역할)에 대한 두려움, 자기 계발과 성취에 방해된다는 두려움, 왜곡된 결혼관에서 오는 두려움이 결혼가치관의 변화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둘째, 부모로부터 충분한 원조를 받는 대신에 부모로부터의 구속은 줄어든 경제적·물질적으로 풍족한 미혼독신들의 생활양식이 나타나고 있다. 부모와 함께 살면서 기본적인 생활을 부모에게 의존하는 결혼하지 않는 성인인 부모의존 미혼독신이 증가하고 있다. 셋째, 도시 중상류계층의 고학력 청년세대에게서 보여지는 부모 의존 미혼독신들의 생활양식은 해주고 싶은 부모세대와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자녀세대의 세대간 동시집단의 조합에 의해 출현한 것이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인자녀가 부모에게 의존하는 데서 벗어나 결혼을 통해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surveyed the lifestyles of parent-dependent parasite sing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obtain basic data on the composition of a marriage-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that supports unmarried singles to decide on marriage and design their live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30s and 50s living in large cities and urban complex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as the marriage value view, marriage is not a necessity, was formed recently, the proportion of unmarried men and women is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marriage age. As the women's ability to change their lives, high schooling, low wages, and high marriage costs have led to the avoidance of marriage. Second, economically and materially rich unmarried singles are showing their lifestyles instead of receiving sufficient support from their parents. Third, the parent-dependent unmarried lifestyles of high-educated young generations in the urban upper middle class appeared by the combination of intergenerational group of a generation of parents wanting to help and a child generation who take that for granted.

      •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또래관계가 학교적응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

        안은미(An, Eunmi),조수민(Cho, Soomin),정익중(Chung, Ick-Jo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또래관계가 학교적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아동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지원센터를 군집표집한 5년간의 종단 자료를 활용하여 분할함수 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변화에 대한 분석모형은 분할함수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변화 추세는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에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학교적응 수준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중학교 입학 후 중 1, 2학년을 기점으로 학교적응 수준이 향상되는 추세로 V 형태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 또래관계와 부정적 또래관계 모두 학교적응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향상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함의 및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at peer relationship would have an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rajectories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To analyze discontinuous changes, we applied the piecewise growth modeling to the five waves of data collected from adolescents living in residential institutions, group homes or foster homes by using cluster sampling methods. The results of growth-curve longitudinal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piecewise growth function was most adequate to explain changes i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Second, levels of school adjustment had decreased through the higher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rebounded back in middle school. Third, positive and negative attitudes of peer group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itial status and slope of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further suggestions to increas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또래관계가 학교적응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

        안은미 ( An Eunmi ),조수민 ( Cho Soomin ),정익중 ( Chung Ick-joo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6 청소년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또래관계가 학교적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아동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지원센터를 군집표집한 5년간의 종단 자료를 활용하여 분할함수 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변화에 대한 분석모형은 분할함수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변화 추세는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에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학교적응 수준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중학교 입학 후 중 1, 2학년을 기점으로 학교적응 수준이 향상되는 추세로 V 형태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 또래관계와 부정적 또래관계 모두 학교적응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향상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함의 및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peer relationship has an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rajectories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To analyze discontinuous changes, we applied the piecewise growth modeling to the five waves of data collected from adolescents living in residential institutions, group homes or foster homes by using cluster sampling methods. The results of growth-curve longitudinal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piecewise growth function was most adequate to explain changes of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Second, levels of school adjustment had decreased through the higher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rebounded back in middle school. Third, positive and negative attitudes of peer group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itial status and slope of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discussed further suggestions to improv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propos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창의적 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자기해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안은미(Eun Mi An),이병관(Byung Kwan Le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2 광고연구 Vol.0 No.92

        본 연구는 창의성의 두 가지 차원인 확산성과 관련성이 창의적 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효과가 소비자의 자기해석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1a에서는 확산성과 관련성의 고저에 따라 4개의 조건에 각기 다른 4개의 브랜드 광고를 선정하였고, 연구1b에서는 브랜드의 영향력을 통제하기 위해 동일한 브랜드에 대해 확산성과 관련성의 고저에 따른 4개의 광고 자극을 구성하여 자기 해석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확산성과 관련성이 모두 높은 창의적 광고가 그렇지 않은 광고보다 더 창의적으로 인식되고 광고 태도도 더 호의적이었다(연구 1a와 연구1b). 확산성이 창의성 인식에 미치는 효과는 독립적 자기해석자와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자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관련성이 창의성 인식에 미치는 효과는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자가 독립적 자기해석자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연구 1b). 마지막으로, 고 확산성 광고에 대한 태도는 독립적 자기해석자와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자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고 관련성 광고에 대한 태도는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자가 독립적 자기해석자보다 유의미하게 호의적이었다(연구 1a와 1b). 연구 1a와 1b의 결과를 토대로 창의적 광고의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자기해석의 영향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추후 연구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ole of consumer self-construal in moderating the effect of two factors in ad creativity (divergence and relevance) on consumer responses to ads. In experiment 1, four different brand ads were used to represent each of the four experiment conditions (i.e., high vs low divergence X high vs low relevance). In experiment 2, four versions of the same brand ad were used in order to control brand effect. Results show that stimulus ad high in both divergence and relevance was perceived to be more creative and was evaluated to be more favorably than other stimulus ads (experiments 1a and 1b). The study also finds that the effect of divergence on perception of ad creativity was not different between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 participants, whereas the effect of relevance on creativity perception of ad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interdependent self participants than for independent self participants (experiment 1b). Finally, while attitude toward the high relevance ad was more positive in interdependent self-costrual condition than independent self-construal condition, attitude toward the high divergence ad was not different between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 participants (experiments 1a and 1b).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on ad creativity and the moderating role of self-construal were discussed.

      • KCI등재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낙인감 발달궤적이 학교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안은미(Eunmi An),정익중(Ick-Joong Chung)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사회과학연구 Vol.30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stigma trajectory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on their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lationships were analyzed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from the 3-year data during middle school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in Out-of-Home Care (PSKCOC). The PSKCOC is a nationally representative longitudinal study that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of youth in out-of-home care. The longitudinal data were collected using clustering sampling methods from 341 adolescents living in residential institutions, group homes, or foster homes. The results of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stigma trajectory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As they aged, the overall development of stigma trajectory appeared to decrease during middle school. Second, the initial stigma of out-of-home-care adolescents in the 1st year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ir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s in the 3<SUP>rd</SUP> year of middle school. In addition, the stigma slope appear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ir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s of out-of-home-care adolescents. As stigmatization decreases rapidly for 3 years, the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in their 3<SUP>rd</SUP> year of middle school become higher.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intervention to deal with the stigmatization of out-of-home-care adolescents, and the need for practical efforts to reduce the stigma attached to the out-of-home care system and improve its service quality.

      • KCI등재

        팬덤활동 참여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안은미(Eun Mi An),김소희(So Hee Kim),전선율(Sun Yul Jeun),진성미(Sung Mi Jin),정익중(Ick-Joong Chu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社會科學硏究 Vol.28 No.2

        청소년의 팬덤문화는 오래전부터 학교생활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 팬덤활동의 특성을 살펴보고 팬덤활동을 오프라인 팬덤활동과 온라인 팬덤활동으로 구분하여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청소년의 팬덤문화를 깊게 이해하며 학교적응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 2010(KCYPS: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의 자료를 사용하였고, 분석대상은 중학교 1학년 학생 2,351명이었다. 연구결과, 팬덤활동은 학교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오프라인 팬덤활동은 학습활동에 부적(-)인 영향을, 온라인 팬덤활동은 학교규칙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등 팬덤활동의 유형에 따라 결과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청소년의 온라인 팬덤활동은 인터넷 사용유형 중 오락활동 유형과 유사하게 학교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 팬덤활동의 이해를 통해 학교적응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으며, 추후 팬덤활동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Fandom culture is a phenomenon which has variously affected adolescent school life for a long time. However, there is currently a paucity of research on the effect of fandom activity participation on adolescent school adjustment. Considering the prosperity of fandom culture and the lack of research, this study examines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fandom activity and investigates an effect of fandom activity on adolescent school adjustment by classifying fandom activity into two sub-categories: off-line fandom activity and on-line fandom activity. Data was obtained from the first wave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0 administer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Subjects consist of 2,351 first 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ndom activity had negative effects on adolescent school adjustment. Second, the resul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ypes of fandom activity. Off-line fandom activ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adolescent academic activities, but on-line fandom activity had a negative effect on compliance of school regulation. Third, on-line fandom activity had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fun activity among Internet usage type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in youth welfare practice were discussed to improve adolescent school adjustment, an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further research on fandom activity.

      • KCI등재

        아동의 그림으로부터 감성인식 및 색채심리 파악에 관한 연구

        안은미(Eun-Mi An),신성윤(Seong-Yoon Shi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7 No.2

        작금의 현대 사회는 바쁜 일상 속 부모들의 관심이 부족한 자녀들에 대한 심리적 안정과 환경 적응력을 위한 색채심리치료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우리는 아동의 그림 등으로 아동의 감성상태를 파악하여야 한다. 현재 진행 중인 감성의 실증적 연구는 크게 심리학적 관점과 공학적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심리학분야에서 이해하고 있는 감성은 감정에 가깝다고 할 수 있고, 한편 공학적 관점에서 이해되는 감성은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의한 감각, 지각으로부터 인간의 내부에 야기되는 고도의 심리적 체험'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색채 이미지 공간에서의 단색, 배색의 정보를 활용하여 색채조화를 식별하고, 아동의 그림에서의 심리를 추출해내는 시스템을 제공하며, 색채 이미지공간을 기반으로 감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이후에 영상을 K-Means알고리즘을 이용해 클러스터링 하여 방대한 컬러 값들을 그룹화 시킨 후에 데이터베이스와 매칭을 시켜 감성을 추출해 내고, 아동의 그림에서의 컬러 분포도를 이용하여 아동색채심리를 알아보았다. In modern society, the necessity of Color and Psychology Therapy is increasing for psychologically calm children who are less taken care by their parents in busy daily life, and helping them adapt to the environment. Therefore, we need to understand sensitivity status of children with paintings that they draw. Currently, most of empirical studies on their sensitivities are based on psychological and engineering persp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a system to extract psychological status of children from their pictures by distinguishing harmony of colors using information of solid colors and arrangement of colors in the image space. For achieving this research purpose, first of all, sensitivity database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image space of colors. Then, using the K-Means algorithm, the image was clustered and a wide amount of color values were divided into groups. After that, children's sensitivities were extracted by matching groups of color values with database, and color psychological status of children was observed using the color distribution chart in their paintings.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 코로나19 전후비교를 중심으로

        안은미(An, Eunmi),안영미(An, Youngmi),정익중(Chung, Ick-Joo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2

        코로나19 이후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는 변화된 환경에서 소진을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영향요인으로 개인특성, 센터특성, 업무특성, 코로나19 특성을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2019년과 2020년에 각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두 자료를 병합하여 총 500명의 종사자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코로나19발생 전후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는 동일하게 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 전후 차이를 보이는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코로나19 이전에는 소진에 교육문화프로그램 만족도가 부적(-)영향, 정서지원프로그램 만족도는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코로나19 이후에는 보호프로그램 만족도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 특성 중 코로나 스트레스, 온라인교육 경험, 온라인 교육 어려움이 종사자의 소진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사회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Coinciding with the advent of COVID-19, burnout in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is on the ri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burnout of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exhaustion problems. For this purpose, we categorized the factors in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center characteristics, work characteristics, and COVID-19 characteristics. This study conducted survey interviews with 500 workers at community child centers for the years of 2019 and 2020.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of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before and after had the same negative(-) effect on the burnout. Second, prior to the COVID-19, satisfaction of educational and cultural programs had a negative(-) effect, and satisfaction of emotional support programs had a positive(+) effect on burnout. However after COVID-19, satisfaction of protection programs had a negative(-) effect on burnout. Third, COVID-19 stress, online education experience, and difficulty in online education of characteristics of COVID-19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urnout of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at community child centers in order to prevent workers’ burnout.

      • KCI등재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의 관계에서 부정적 교우관계의 조절효과

        안은미(Eunmi An),정익중(Ick-Joong Chung)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사회과학연구 Vol.28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negative attitudes of peer groups and the difference of the interaction effect in affecting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between general adolescents and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For this purpose, data was obtained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in Out-of-home care (PSKCOC) and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influenced positively on school violence perpetration. Second, the effect of negative attitudes of peer groups was dependent on the level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In particular, in the group with a high-level of negative attitudes of peer groups,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highly increased school violence perpetration. Third, there was the moderating effect of negative attitudes of peer group in both general adolescents and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but concerning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the moderating effect was more promin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youth welfare practic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주양육자의 양육태도가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

        안은미(Eunmi An),강현아(Hyunah Kang),노충래(Choong Rai Nho),우석진(Seokjin Woo),전종설(Jongserl Chun),정익중(Ick Joong Chu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6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4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외 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발달궤적을 추적하고 그에 대한 예측요인으로 주양육자의 양육태도의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주양육자의 양육태도가 가정외 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성차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아동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지원센터를 군집표집한 종단자료 중 중학교 1학년∼3학년까지 341명의 3차년도 자료를 활용한 잠재성장모형과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가정외 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주양육자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학교적응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부정적 양육태도는 학교적응의 초기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양육자의 긍정적 양육태도에 따라 남학생과 여학생의 학교적응 초기값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외 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parenting attitudes would have an effect on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school adjustment for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Additionally, we hypothesized that this model would be different between boys and girl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ree waves of data collected from 341 adolescent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group homes or foster homes by using cluster sampling methods. Growth-curve longitudinal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levels of school adjustment had increased from the 1st through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had a positive impact on initial school adjustment and rate of change, wherea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had a negative impact only on the initial school adjustment. Second, multi-group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group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ir initial school adjustment by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further suggestions to increase school adjustments for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