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중 고등학생의 일상적 행복 및 불행 경험

        신현숙(Hyeonsook Shin)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38 No.-

        행복에 대한 상향식 접근과 토착심리 관점에서는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가지는 구체적이고 소소한 행복 경험들에 주목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학년~고등학교 2학년 1,599명이 일상생활에서 가지는 주관적 행복감 수준과 일상적 행복 경험(행복한 이유, 활동, 장소, 대상) 및 불행 경험(행복하지 않은 이유, 활동, 장소, 대상)을 알아보는데 있다. 첫째, 주관적 행복감 수준에 대한 2원 분산분석 결과, 성별 주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지만 학교급 주효과는 유의하였고 성별과 학교급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남녀 두 집단에서 학교급이 높을 수록 주관적 행복감 수준이 낮았다. 둘째, 일상적 행복 및 불행 경험에 대한 개방형 자유응답의 내용을 범주화하고 각 학교급의 범주별 응답 빈도를 산출하였다. 모든 학교급에서 가장 많은 수가 원만한 인간관계를 행복의 이유로 기술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일상적 즐거움, 심리적 안정, 자율 및 자유, 성공경험 등이 언급되었다. 모든 학교급에서 가장 많은 수가 친구와 함께 활동이나 대화를 할 때 행복하다고 보고하였지만, 행복한 활동의 다음 순서는 학교급에 따라 달랐다. 행복을 느끼게 하는 장소로는 모든 학교급에서 가장 많은 수가 집을, 두 번째로 많은 수가 학교를 언급하였다. 행복을 느끼게 하는 대상으로는 초등학생 집단에서 가장 많은 수가 가족을, 중・고등학생 집단에서는 친구를 언급하였다. 셋째, 초등학생 집단에서 가장 많은 수가 인간관계 문제를, 중・고등학생 집단에서는 학업 및 입시 스트레스를 불행의 이유로 기술하였다. 불행한 활동으로는 모든 학교급에서 가장 많은 수가 학교공부를 언급하였고, 초등학생 집단에서 두 번째로 많은 수는 숙제를, 중・고등학생 집단에서 두 번째로 많은 수는 자유를 억압하고 강요하는 활동을 불행한 활동이라고 기술하였다. 불행을 느끼게 하는 장소로는 초등학생 집단에서 가장 많은 수가 학원을, 고등학생 집단에서 가장 많은 수가 학교를 언급하였다. 학교, 학원, 기타 공부장소를 모두 합하면, 각 학교급의 절반 정도가 공부와 관련된 장소에서 불행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초・중학생 집단에서 가장 많은 수가 또래를, 고등학생 집단에서는 낯설고 친하지 않은 사람을 불행의 대상으로 보고하였다. 요약하면, 일상적 행복 및 불행 경험의 범주 구분이 모든 학교급에서 비슷하지만, 일부 범주의 응답 빈도는 학교급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From the bottom-up perspective and indigenous psychological approach toward happiness, this study explored daily happiness and unhappiness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 single-item scale measuring the subjective sense of happiness and open-ended free-response questions inquiring daily happy and unhappy experiences were administered to 1,599 Korean students in Grades 5 through 11. First, in both genders the higher the school level the lower the level of the subjective sense of happiness. Second, the content analysis on free responses revealed that categorical classifications of daily happy and unhappy experiences are similar across school levels but response percentages per category are somewhat different among school levels. The majority of students stated that they felt happy because of good interpersonal relations, when engaging in activities and conversations with friends, and at home. The majo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elt happy with their family whereas tha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elt happy with their friends. Unhappiness was due to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academic stres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choolwork was the number one unhappy activity in all school levels. Homework was the second unhappy activ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freedom-stifling activitie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were the number one unhappy plac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schools for high school students. Those who feeling unhappy in schools,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and other study places totaled almost 50%. The largest number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 felt unhappy with peers but that in the high school level felt unhappy with strangers/unfamiliar people.

      • KCI등재

        대학생의 정신적 웰빙에 대한 사회정서적 발달자산의 공존활력 효과

        신현숙 ( Hyeonsook Shi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정서적 발달자산이 대학생의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공존활력 효과와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전국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모집된 4년제 대학생 1,000명에게 대학생용 사회정서건강검사, 삶의 의미 척도, 단축형 정신적 웰빙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주의하거나 일관성 없는 응답을 제외한 730명 자료에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행한 결과, 정신적 웰빙에 대한 사회정서적 발달자산의 공존활력 효과와 삶의 의미의 부분매개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사회정서적 발달자산의 공존활력 효과가 대학생들의 정신적 웰빙에도 유의하다는 점과 삶의 의미가 공존활력 효과를 설명한다는 점을 밝혔고, 정신적 웰빙 증진 방안의 구성 요소들을 제시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추가적 발달자산의 탐색과 종단자료의 분석을 위한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covitality effect of social-emotional developmental assets on college students’ mental well-being and the mediation effect of meaning in life. One-thousand 4-year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through a nationwide online platform where the Social Emotional Health Survey-Higher Education version,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and the Mental Health Continuum-Short Form were administer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the data from 730 students after excluding inattentive or inconsistent responses showed that the covitality effect of social-emotional developmental assets an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meaning in life were significant. The results imply that the developmental assets have the covitality effect even on college students’ mental well-being, the covitality effect be explained by meaning in life, and mental well-being enhancement strategies be developed. Further research on exploring additional developmental assets and analyzing longitudinal data was suggested.

      • KCI등재

        사회정서학습 시행의 저해요인과 성공요건

        신현숙 ( Hyeonsook Shi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4

        사회정서학습은 인성교육 및 교과학습과 더불어 학교교육의 핵심 요소로 고려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교사가 인식한 사회정서학습 시행의 저해요인과 성공요건을 탐색하는 데 있다. 교사 12명 대상의 초점집단면담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합의적 질적 연구법으로 분석하였다. 저해요인과 성공요건이 학교 밖, 학교, 자원, 교사, 수업·평가의 5영역으로 분류되었다. 교사의 인식 부족이 일반적 저해요인이고, 체계적 교사 연수 실시가 일반적 성공요건으로 나타났다. 전형적 빈도의 저해요인과 성공요건을 추가로 검토하면, 지속가능하고 통합된 학교 시스템, 교사 연수와 연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교사 인식과 사회정서능력 실천의 증진, 교육과정 재구성과 프로그램 개발, 학교관리자의 지원과 리더십이 사회정서학습의 효과적 시행에 중요함을 알 수 있다. 후속연구에서 사회정서학습 시행학교와 미시행 학교 간 비교, 다층모형분석의 적용, 교사 역량의 탐구가 요구된다.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 as well as character education and academic learning is considered as an essential part of schooling. This study explored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barriers to and requirements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SEL. Data were collected from 12 teacher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Both barriers and requirements were grouped into 5 categories (out-of-school, in-school, resource, teacher, instruction and evaluation). Lack of teachers’ understanding was a general barrier and a systematic teacher training was a general requirement. An additional review of typical barriers and requirements implies that a sustainable and integrated school system, enhancement of teachers’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social-emotional competencies through teacher training and inquiry community activities,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program development, and school administrators’ support and leadership may be important to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EL. More research comparing SEL schools with non-SEL schools, conducting multilevel modeling, and delving into teachers’ competencies was suggested.

      • KCI등재

        교사의 사회정서학습 시행의도와 영향요인: 계획된 행동이론에 기초한 증강 모형의 탐색

        신현숙 ( Hyeonsook Shi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5

        계획된 행동이론은 태도, 주관적 사회규범, 지각된 행동통제가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지만, 교사의 사회정서학습 시행의도를 더 잘 예측하려면 영향요인의 추가가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도덕적 의무감과 예상된 후회의 추가적 효과를 검증하여 계획된 행동이론의 증강 모형을 구축하는 데 있다. 이끌어내기 면담과 예비연구를 통해 제작한 질문지를 중학교 교사 270명에게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도덕적 의무감과 예상된 후회가 추가된 후에는 주관적 사회규범의 효과가 더 이상 유의하지 않았고, 도덕적 의무감과 예상된 후회의 추가적 효과는 유의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계획된 행동이론의 기본 모형에 비해 증강 모형의 적합도가 상대적으로 더 양호하였다. 이는 사회정서학습 시행에 대한 태도, 지각된 행동통제, 도덕적 의무감, 예상된 후회를 다루는 교사자문이 교사의 사회정서학습 시행의도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assumes that attitude toward the behavior, subjective social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fluence behavioral intention; however, a better prediction of teachers’ intention to implement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 requires additional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ugment TPB with moral obligation and anticipated regret as additional predictors. Elicitation interviews and pilot studies were conducted to develop questionnaire items, which were administered to 270 middle school teacher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effect of subjective social norms was no longer significant after the addition of moral obligation and anticipated regret but their additive effects were significan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the augmented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basic model.

      • KCI등재

        목표달성을 추구하는 대학생들의 지각된 진로 불확실성, 심리적 적응과 미래목표

        신현숙 ( Hyeonsook Shi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이루지 못한 목표의 달성을 추구하는 대학생들의 지각된 진로 불확실성, 심리적 적응, 미래목표, 목표동기, 목표평가를 목표달성 집단과 비교하여 알아보는 데 있다. 전국 4년제 대학교 재학생 755명으로부터 온라인 조사 자료를 수집하였다. 첫째, 독립표본 t 검증 결과, 지각된 진로 불확실성 수준, 사회적 변화에 대한 1차 평가, 불안, 미래목표를 추구하는 외적 이유, 동일시 이유, 내적 이유, 미래목표의 중요성 평가에서 목표추구 집단과 목표달성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목표달성 집단에 비해 목표추구 집단의 사회적 변화에 대한 2차 평가, 삶의 만족도, 미래목표의 달성가능성 평가, 미래목표에 대한 긍정적 감정 수준이 유의하게 낮은 반면에 우울, 스트레스, 내사된 이유 수준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미래목표 내용의 질적 분석 결과, 두 집단에서 취업 관련 미래목표가 가장 많이 진술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목표추구 대학생들의 심리적 적응 지원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oal striving college students’ perceived career uncertainty, psychological adjustment, future goals, goal motives and goal appraisals compared to goal completion students. Onlin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a nationwide sample of 755 college students. First, independent samples t-tests revealed that group differences in perceived career uncertainty, primary appraisal of social change, anxiety, extrinsic/identified/intrinsic reasons, and appraisal of future goal importance were not significant. However, the goal striving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in secondary appraisal of social change, life satisfaction, appraisal of future goal attainability, and positive feeling toward future goals bu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depression, stress, and introjected reasons than the goal completion group. Second, a qualitative analysis indicated that both groups most frequently stated future goals related to employment. Implications for enhancing psychological adjustment of goal striving college stud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정신건강 유형별 진로 불확실성 조절전략의 차이

        신현숙 ( Hyeonsook Shi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Keyes의 정신건강 2요인 모형에 따라 정신병리 수준(60T이상, 60T미만)과 정신적 웰빙 수준(높음, 중간, 낮음)을 구분하여 대학생의 정신건강 유형을 분류하고, 진로 불확실성 조절전략에서 정신건강 유형 간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DASS-21, 정신적 웰빙 척도, 진로 불확실성 조절전략 15문항으로 구성된 온라인 조사로 전국 4년제 대학생 687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정신건강 5유형(빈도순으로 양호, 단순병리, 쇠약·병리, 쇠약, 번영 유형)이 분류되었다. 분산분석 결과, 선택적 1차 조절전략, 선택적 2차 조절전략, 보상적 1차 조절전략, 보상적 2차 조절전략(자기보호)에서 정신건강 유형 간 차이가 유의한 반면, 보상적 2차 조절전략(목표와 거리두기)에서는 정신건강 유형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정신건강 2요인 모형을 지지하고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진로 불확실성 조절전략의 관계를 시사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mental health types based on the levels of mental illness (≥60T, <60T) and mental well-being (high, moderate, low) according to Keyes’ dual-factor mental health model and to test differences in career uncertainty control strategies among mental health types. Data were collected from 687 university students through the online survey consisting of DASS-21, Mental Well-being Scale and 15 control strategy items. Five mental health types (moderate mental health, pure mental illness, languishing & mental illness, languishing, flourishing) were classified. Analyses of variance revealed that mental health type differences in selective primary control, selective secondary control, compensatory primary control, and compensatory secondary control 1 (self-protection) were significant but differences in compensatory secondary control 2 (goal distancing) were not significant. The results support the dual-factor model and imply the relation between mental health and control strategies.

      • KCI등재

        청소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의 요인구조

        강병은 ( Byeongeun Kang ),신현숙 ( Hyeonsook Shi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3

        이 연구는 청소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의 요인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먼저, Hewitt 등(2011)의 척도를 번역하여 중학생 591명(남학생 277명, 여학생 314명)에게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요인수를 2, 3, 4개로 지정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요인부하량이 낮은 문항과 교차적재된 문항이 제거된 16문항 2요인구조(완벽함 제시, 불완전함 은폐)와 교차적재된 문항이 제거된 17문항 3요인구조(완벽함 제시, 불완전함 은폐, 공적 실수 염려)가 도출되었고, 해석 불가능한 4요인구조는 제외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17문항 3요인구조와 Hewitt 등(2011)의 18문항 3요인구조보다 16문항 2요인구조의 적합도가 더 양호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청소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두 요인과 완벽주의, 사회불안, 우울 간의 정적 상관이 모두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 structure of Hewitt et al.’s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cale for Junior (PSPS-Jr) in Korean adolescents. First, the PSPS-Jr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the final form of the PSPS-Jr was administered to 591 students in Grades 7 to 9 (277 boys, 314 girls). Data were analyz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es,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nd correlational analyses. Exploratory factor analyses yielded two factors (perfectionistic self-promotion, nondisclosure of imperfection) and three factors (perfectionistic self-promotion, nondisclosure of imperfection, concern over public mistake). However, the four-factor structure was not found interpretable. After one item with a low factor loading(below .40) and one cross-loaded item were removed, the two-factor structure was composed of 16 items.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revealed that the two-factor structure has a better fit to the observed data than three-factor structures. The two factor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erfectionism,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기돌봄 서클프로세스가 교사의 자기돌봄과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효과

        현광미(Gwangmi /Hyeon),신현숙(Hyeonsook Shin) 한국교원교육학회 202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 대상의 자기돌봄 서클프로세스를 개발하고 자기돌봄과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교사 대상의 자기돌봄 서클프로세스는 자기돌봄의 6요인(신체적 자기돌봄, 심리적 자기돌봄, 정서적 자기돌봄, 영적 자기돌봄, 관계적 자기돌봄, 직무적 자기돌봄)을 이해하고 실천하는 활동 요소들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 소재 초·중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중에서 프로그램 참여 의사를 밝힌 48명이다. 이 가운데 동계 방학 중에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한 교사 23명은 실험집단에, 다음 시기에 참여를 원하는 대기자 25명은 통제집단에 배정되었다. 자기돌봄 서클프로세스는 3주간 16회기(회기 당 50분)로 실시되었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로 수집한 자료에 다변량 공분산분석을 실행한 결과,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심리적, 정서적, 영적, 관계적, 직무적 자기돌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신체적 자기돌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심리적 소진 요인들 중에서 개인적 성취감 감소의 정도가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나 정서적 고갈과 비인격화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개별적 자기돌봄의 방식이 아닌 교사공동체의 상호작용과 역동을 이용한 자기돌봄 서클프로세스의 의의와 이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유능성 욕구 충족의 조절효과

        강병은(Byeongeun Kang),신현숙(Hyeonsook Shin)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38 No.-

        이 연구의 목적은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유능성 욕구 충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대학생 287명에게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 간 관계에서 유능성 욕구 충족의 조절효과를 가정한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조절효과를 가정하지 않은 경합모형의 적합도보다 자료에 더 양호하였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 간 관계에서 유능성 욕구 충족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유능성 욕구 충족이 높은 집단에서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 간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유능성 욕구 충족이 낮은 집단에서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높을수록 사회불안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능성 욕구 충족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충하는 요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need for competence on the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87 college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the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SE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the models with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s predictor, the need for competence as moderator and social anxiety as outcome variable, the moderation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non-moderation model.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need for competence on the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was significant. In the high need for competence group, the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was not significant. In contrast, in the low need for competence group,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was significant. That is, in the low need for competence group, the higher the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anxiety.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need for competence serve as a buffer against the negative effects of the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interpersonal relations such as social anxiety.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갈등전환을 위한 중학생 대상 회복적 서클 수업의 개발과 효과 검증

        정혜경(Jeong, Hyegyeong),신현숙(Shin, Hyeonsook)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미래교육학연구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estorative circle class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conflict transformation and to test their effect. Conflict transformation was conceptualized a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consisting of four factors (i.e., positive perception of conflict, relationship-considering attitude in conflict situations, contextual approach toward conflict, incompatibility-overcoming solution). Restorative circle classe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such conflict transformation concepts and the perspective toward restorative justice. Seventh graders attending middle schools in G City, who chose restorative circle classes for conflict transformation as the class subject for the free-grade system,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n=33) or a wait-list comparison group (n=31). During the second semester in 2019, after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8 restorative circle classes (90 min. per class), the comparison group received the same classes from the same instructor.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as a pretest and a posttest to assess each factor of conflict transformation. The results of analyses of covariance showed that the restorative circle classes for conflict transformation we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positive perception of conflict and the relationship-considering attitude in conflict situations. Expectations for the discourse on the universal adoption of restorative circle classes targeting conflict transformation in schools in Korea,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educational practice were pres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갈등전환을 위한 회복적 서클 수업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갈등전환은 4요인(갈등에 대한 긍정적 인식, 갈등상황에서 관계를 고려하는 태도, 갈등에 대한 맥락적 접근, 비양립성 극복)으로 이루어진 구인으로 개념화하였고, 회복적 정의의 관점을 토대로 회복적 서클 수업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소재 중학교에서 1학년 대상의 자유학년제 주제별 수업으로 갈등전환을 위한 회복적 서클 수업을 선택한 학생들이다. 이들을 실험집단(n=33)과 대기자명단 비교집단(n=31)에 무선적으로 배정하였고, 2019년 2학기에 8회기 분량의 수업을 실시하였다(회기당 90분). 자기보고식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로 수집한 자료에 대한 공분산분석 결과, 비교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에서 갈등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갈등상황에서 관계를 고려하는 태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갈등전환의 주제와 회복적 서클 수업의 활동이 우리나라 교육현장에 보편적으로 도입되는데 대한 담론 조성의 기대, 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와 교육 실제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