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모빌리티와 IoT을 결합한 스마트 백팩

        박철훈 ( Cheol-hoon Park ),조용진 ( Yong-jin Cho ),신승혁 ( Seung-hyuk Shin ),정소리 ( So-ri Jeong ),조수현 ( Soo-hyun Cho ),허동우 ( Dong-woo He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2

        본 연구는 일상에서 길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은 보행자나 초행길이 낯선 여행자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과 더불어 사람들이 많이 지니고 다니는 가방을 가지고 적용하였다. 스마트폰의 LBS, 블루투스 기능과 가방에 부착된 진동 인터페이스가 연결되어 실시간 경로 안내를 받을 수 있는 제품이다. 부가적인 기능으로는 업 상에 회원관리 기능이 있어 개인의 이용 기록에 관한 데이터가 DB에 저장되며 DBMS를 통한 데이터 분석으로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여러 사용자들이 이용한 플랫폼에 쌓인 데이터를 가지고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면 신호의 강도가 약해지는 블루투스의 특성을 이용하여 이용자가 가방과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질 경우, 스마트폰으로 팝업 창을 띄워주는 형태로 분실 방지 기능을 제공해 줄 수도 있다.

      •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아이콘 디자인에 관한 연구

        신승혁 한국디자인과학학회 2000 디자인과학연구 Vol.5 No.-

        아이콘은 컴퓨터 존재물의 표시로서 인간과 컴퓨터의 인터페이스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한다. 사람들은 동일한 사물을 말로 표현하는 것보다 그림으로 표현한 것을 더 빨리 알아보고 이해한다. 예를 들어 심볼을 가지고 있는 교통표지판은 말로만 된 표지판보다 먼 거리에서 더 알아보기 쉽다고 여러 연구 결과는 입증하고 있다. 아이콘 인터페이스는 명령어와 같은 다른 매체들을 사용하지 않고 다른 매체들과 비교하여 같거나 아니면 더 작은 실질적인 표시 공간을 사용하면서도 더 풍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아이콘을 이용하여 더 쓰기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대화식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작업을 직접 조절하려는 욕망을 지니게 된다. 사용자는 컴퓨터를 완전히 제어하여 무언가를 직접 다룬다는 성취감을 느끼며 작업을 하고 싶어함에 따라 의미전달이 잘되는 아이콘을 제작하기 위해서 다양한 아이콘에 대해 알아보고 효율적인, 컴퓨터와 사용자간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제시하고 문제점과 개발방법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Icon is the sign for what computer exists and efficiently works as a interface between human and computer. People can understand what is expressed by picture easier than what is expressed Just by language. For example, several research prove that the traffic signal board which has a symbol is easer to understand than the sign board expressed by language. Icon provides much more convenient interface than other imperative terms, although it never uses other mediums and uses smaller space than other imperative terms. Users tend to have a desire to control operations completely when they use computer. That's why users always try to develop various cons which are useful in communication.

      • 디자인 교육의 아이디어를 위한 창조성에 관한 연구

        이관식,신승혁 경복대학 2002 京福論叢 Vol.6 No.-

        고도화된 현대 사회에서 점차 발전의 속도는 가속화 되고 있으며 새로움에 대한 인간의 욕구 역시 복잡 다양해지고 고도화 되고 있다. 특히 새로움이란 창조성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인식됨에 파라 창조성의 이해와 개발, 그 실천응용부분에 대한 연구는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창조성의 본질을 파악하고 디자인 초기단계에서의 문제형성을 위해 체계적이고 전반적인 창조성 접근을 실행하는 방법을 계발함으로써 문제를 발견하고 잠정적 해결안들 내포한 일차적 초기 컨셉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창조적, 종합적, 직관적 사고를 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제시 하고자 한다. In a high level of modern society, a face of growing is accelerating gradually. Desire of the human being for brand new is going to be complex, diverse and high level, too. Particularly, as the brand new is perceived the need and importance of creativity, the comprehension and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therefore the study on its practical application is required. At the first stage of design, this study focuses on grasping the essence of creativity and developing the program to practice a creative approachsystematically and generally. Hereupon, this thesis proposes the plan of Incitement to creative, comprehensive and imuitive consideration in the process of devising a primary concept.

      • 지방중소도시 환경개선을 위한 Super Graphic에 관한 연구 : 아파트를 중심으로 Focus On Apartments

        김기준,신승혁 경복대학 2001 京福論叢 Vol.5 No.-

        도시공간에 있어 수퍼그래픽은 시민의 정서적 안정과 도시 미관을 개선한다는 입장에서 제작되기 시작했고 지금에 와서는 도시 환경디자인의 빼놓을 수 없는 분야가 되었다. 도시환경을 개선한다는 일차적 목적 이외에도 지역주민의 상징과 공동체 의식을 높여주고 때에 따라서는 랜드마크나 광고선전 매체로 활용되며 도시환경의 시각요소로서 수퍼그래픽은 도시민들에게 친근감있게 부합 할 수 있어야 하며 주거환경과 지역적 특성을 살려 대중적인 의미로 전달 활용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도시 아파트 수퍼그래픽을 체계적으로 연구 조사하여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인간의 생활환경에 맞게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지방중소도시 아파트의 수퍼그래픽을 중심으로 문제점을 제기하고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여 특색있는 만드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In urban spaces, Super Graphic has been produced focusing on improving civil emotional stability and urban beauty, and now is an indispensable field of urban environmental design. This has to improve not only urban environment but also regional resident symbol and community consciousness, be used for a landmark or advertising media on occasions, be familiar with urban citizens as a visual element of urban environment, and be used for a popular meaning considering residential environment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systematically researching and investigating the Super Graphic that can harmonize with modem human living environment. And this is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a problems based on the Super Graphic of regional small and medium cities and analyzing their types and features to construct characteristic environment.

      • 커뮤니케이션과 타이포그라피 디자인의 상관성 연구

        조윤형,신승혁 경복대학 2004 京福論叢 Vol.8 No.-

        오늘날 타이포그래피 디자인은 예기치 못한 변화를 겪고 있다. 우리가 목격하는 첨단 테크놀리지의 혁명적인 시대에 있어서의 한글 타이포그래피는 그 문자적 기능과 심미성에 큰 도전을 받고 있다. 또한 디자인 물량의 급속한 경쟁과 더불어서 대중들의 높은 심미적 안목은 타이포그래피의 지속적인 발전을 재촉하고 있으며, 타이포그래피 커뮤니케이션은 정보를 전달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고, 메시지를 보여주는 방법이 대단히 중요해지고 있다. 타이포그래피는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예술이며 사람들이 인쇄물에 반응하는 방식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타이포그래퍼들은 타이포그래피는 '보이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철칙으로 하고 있다. 즉 타이포그래피는 독자들에 의해 인식되어서는 안된다는 뜻이며 타이포그래피 자체가 관심을 끌어서는 안된다는 의미이다. 이에 대한 원칙성을 기본으로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다 잘 읽혀질 자료를 생상해낼 수 있는 타이포그라피의 연구를 그 목적으로 하여 논문을 진행하여 보았다. The typographic design experiences unexpected changes nowadays. It is also facing some challenges in its an aesthetic point of veiw and literal function in revolutionary age of up-to-date-technology. The rapid changes of design requirment and a higher easihetic sense of the public is pressing for a continuous development. Typography coummunication is playing an important part for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it means the way to show the message is very important. Typography is an Art in high level and it plays an important role to form reactions of the prople those who see the printed matter. Typographers say that "Typography should not be shown" and typography should not be recognized by their readers.. Typography, so to speak, should not attract public attention because the aim of printing is to produce the materials to be read.

      • 컴퓨터 도입에 따른 디자인 교육의 변화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성기혁,신승혁 경복대학 2000 京福論叢 Vol.4 No.-

        급속한 과학의 발달과 컴퓨터의 대중화에 따른 다양한 문화와 정보의 변화가 21세기에는 현실화되고 컴퓨터 성능의 급진전은 디자인 분야에 수요적인 면이나 공급적인 면에서 교육의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하게 만들었다. 특히 디자인에 있어서 컴퓨터 정보인 디지털 신경체계를 이용하여 건축, 방송, 의학, 항공, 국방, 교육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아직 컴퓨터 디자인 교육이 성숙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과도기적인 상태에서 교육내용의 부실, 교육시설의 부족, 산학연계 교육의 미흡 등으로 인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여러 측면에 있어서 해결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교육 내용과 컴퓨터 도입에 의한 교육의 방향으로 제시해 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의 진행 방법으로는 디자인 교육의 이념과 디자인 교육의 변천과정, 컴퓨터 개념과 시스템 구성을 살펴봄으로써 디자인 교육과 컴퓨터 도입으로 인한 디자인 교육의 변화를 이해 하고자 하였다. As science develops rapidly and popularization of computer use, various cultures and change of information are realized, rapid progress of computers let us try to find new methodology of education in design field in the demand or supply side. Especially, digital nerve system : computer information is used in many field-architecture, broadcasting, movie, medical science, aviation, national defence, education and so on. At this point, computer design education has not reached Its maturity level and is in age of transition and get into difficulty because of sufficient of education contents, lack of education facility. unsatisfied of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and there are problems awakening solutions. Therefor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of design education contents and change education with introduction of computers, so plan to present problem of design education and develop a plan. So progress way of this research is that looking into transition process of design education. computer concept and system organization. And then plan to understand of design education and change of design education as introduction of compu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