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기 및 단계 양수시험 시 강변여과 지하수의 수질변화 특성

        김규범(Gyoobum Kim),신선호(Seonho Shin),김병우(Byungwoo Kim),박준형(Joonhyung Park)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3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4 No.8

        창녕군 낙동강변의 강변여과 예정 지점에서 양수시험 동안에 발생하는 지하수 내 철과 망간을 포함한 다양한 수질항목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5단계의 단계양수시험(500㎥/day∼900㎥/day) 및 26시간의 장기 양수시험(800㎥/day) 동안에 양수정과 10개의 관측정에서 지하수 시료를 채취하였다. 장기 양수시험보다는 단계양수시험 기간 동안에 이온 농도의 변화가 뚜렷하였다. 특히, 단계양수시험 동안의 철과 망간 농도의 감소는 양수지점과 대수층의 연결성이 좋아 영향반경이 작은 방향을 따라 뚜렷하게 나타났다. 양수량의 급변에 따라 지하수 흐름에 교란이 발생하고 공기 접촉 등을 통하여 용존 철과 망간의 침전산화가 촉진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향후 지하수 내 철과 망간 저감을 위한 효율적인 지중처리 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양수정의 운영 방법, 대수층의 공간적 분포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In-situ test to find the change of Fe<SUP>2+</SUP> and Mn<SUP>2+</SUP> concentrations and ion contents in groundwater was conducted during two pumping tests at the riverbank filtration site, where is the riverine area of the Nakdong River in Changnyeong-Gun. Groundwater was sampled at one pumping well and 10 monitoring wells during a 5 steps drawdown pumping test with the rates from 500㎥/day to 900㎥/day and a constant pumping test with 800㎥/day. The change in ion concentration of groundwater was more remarkable during a step drawdown pumping test than a constant pumping test. Especially, the decrease in Fe<SUP>2+</SUP> and Mn<SUP>2+</SUP> concentrations was distinct in a step drawdown pumping test and it happens predominantly along the direction that the radius of pumping influence was small due to a good aquifer connectivity to a pumping position. The precipitation and the oxidation of iron and manganese were caused by an air inflow and a disturbance in groundwater flow due to an abrupt change in pumping rate. The pumping rat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an aquifer around a pumping well need to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in-situ iron and manganese treatment technology.

      • 지하수 오염원에 지중확산제어시설 적용을 위한 최적 부지 평가

        장현우(Hyeonwoo Jang),윤병용(Byungyong Yoon),신선호(Seonho Shin),차용훈(Yonghoon Cha),김정우(Jeongwoo Kim),천정용(Jeongyong Cheon),이명재(Myeongjae Yi)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과거 국내 위해성 평가 시 부지 유형에 도로, 철도, 건축물하부 등 정화 어려운 부지에 대한 부분이 평가지침에 명시되어 있지 않아 오염정화 및 오염확산방지기술의 적용이 문제를 빚어왔다. 위해성 평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최근 토양오염 위해성 평가 대상 확대 및 토양환경보전법 하위법령 개정안이 발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화곤란부지에 대한 확산방지시설의 최적 설치위치 선정 및 설계사항에 관한 표준방안, 운영방안을 확립하기 위해 지하수 오염 분포 및 현황, 수리 특성, 확산방향 등을 고려하여 지하수 오염원 지중확산제어시설 적용에 적합한 최적부지를 선정 및 평가하였다. 지하수 오염농도분포 및 수리특성, 건물 밀집 등 종합적인 사항을 고려하여 산업단지 4지역, 공장부지 1지역으로 총 5지역의 기조사결과를 검토하고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최적의 실증부지를 선정하고자 한다. 향후 선정된 최적의 실증부지에 대한 현장 특성(불균질한 매질 특성)을 고려하여 지중확산제어시설의 설계, 시공 및 운영관리 기술의 최적화 및 표준화를 수행하고자 한다.

      • KCI등재

        갈수기와 홍수기의 김해 딴섬지역 지하수의 지구화학 특성

        김규범(Kim, Gyoobum),전항탁(Jeon, Hangtak),신선호(Shin, Seonho),박준형(Park, Joonhyeong)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2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3 No.9

        김해 딴섬 지역 지하수는 갈수기와 홍수기의 계절에 따른 지구화학 특성의 변화를 보인다. 농번기인 4월의 이온의 공간적 분포를 보면 Fe²?, Fe(total), Mn²?, Ca²?, Mg²?, SiO₂, HCO₃? 및 NO₃?는 딴섬의 중앙부에서 높고 Na? 및 K?는 딴섬 중앙부가 낮은 값을 보이는데 높은 HCO₃? 및 NO₃?는 딸기 재배용 비료에 의한 오염을 지시한다. 4월에 비하여 8월의 이온 농도의 지역별 편차가 적고 비료 등에 의한 인위적인 영향이 적어 강우에 의한 계절적 요인이 나타난다. 지하수의 수질 유형을 보면, 딴섬 중앙부는 함양특성을 부분적으로 보이며 외곽부는 하천수와 상호 혼합되는 특성을 보여준다. Fe 및 Mn 이온 종에 대한 포화지수 계산결과, Fe의 광물종인 적철석, 침철석은 모두 과포화상태에 있어서 침전 가능한 상태이며, 능철석과 Fe(OH)₃ 일부는 불포화 상태로써 용존 이온상태로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Mn의 광물종인 능망간석은 불포화상태 및 과포화상태가 공존하며, 수망간석, 연망간석 및 수산화망 간석은 불포화상태로써 용존 이온 상태로 존재할 가능성이 크다. Seasonal changes in groundwater geochemistry exist in Ddan-sum island. In the farming season of April, the spatial distribution of ions explains that Fe²?, Fe(total), Mn²?, Ca²?, Mg²?, SiO₂, HCO₃?, and NO₃? are high in the center of the island, but Na? and K? are relatively low and these high anions indicates the effect of fertilizer used for strawberry cultivation. Spatial variation of ion concentration is smaller in August than April because of low agricultural activity and heavy rainfall. Geochemical type of groundwater shows that the center of isl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recharge zone but the rim area corresponds to a mixing zone between groundwater and stream water.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aturation index for Fe and Mn ions, hematite, goethite, and rhodochrosite under supersaturation have a possibility of additional mineral deposition, and siderite, Fe(OH)₃, manganite, pyrolusite, and pyrochroite under unsaturation may exist as a type of dissolved ion.

      • KCI등재

        낙동강 하중도 딴섬의 지하수위 변동 및 수질 특성

        김규범(Kim Gyoobum),최두형(Choi Doohoung),신선호(Shin Seonho)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1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2 No.2

        낙동강 하류 딴섬 지역은 강변여과수 개발이 이루어지는 지역으로서 상부의 점토 및 실트질 퇴적층이 물의 상하 이동을 차단하여 하부 자갈층은 피압 대수층의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 총 13개소의 관측 지점에서 측정한 지하수위 조사 결과, 강우 요인과 농업활동에 의한 양수의 영향으로 계절에 따라 지하수위 유동 방향이 차이를 보인다. 7개 지점 9개의 장기 지하수위 관측 결과, 딴섬의 지하수위 변동은 주성분분석에 의하여 3개 유형으로 분류된다. 첫 번째 유형은 딴섬 중앙부에서 나타나며 하천의 영향이 적어 완만한 변동을 보이고, 두 번째 유형은 딴섬 외곽부에서 나타나며 강우 및 하천수위에 신속히 반응하는 뽀족한 형태의 그래프를 보여준다. 세 번째 유형은 하천수위 변동과 상관없이 일정한 주기를 갖는 경우로서 하천 본류와 떨어진 심부 자갈층에서 나타나는데, 심부 자갈층의 지하수위는 조석 영향에 의한 주기성을 보인다. 각 지점의 지화학 특성을 분석한 결과 딴섬 내부는 [Ca-HCO₃]인 천부 지하수 특성, 딴섬 외곽은 [Na-HCO₃], [Ca-SO₄(Cl)]로서 하천 영향을 받는 유형으로 나타나 수위 분류 유형과 관련성이 있다. Confined aquifer, which is separated with upper clayey or silty materials, is partially distributed at the depths of the sediments in Ddan-sum area on the lower Nakdong river. Measurements of groundwater levels at 13 sites explain that groundwater flow shows seasonally various due to seasonal rainfall and agricultural water use. From 9 long-term monitoring data of groundwater levels at 7 sites, 3 types of groundwater levels time series can be classifie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first type is seen in the center of Ddan-sum and has a round-shape graph due to a weak response to stream water levels. The second type exists in the outer part of Ddan-sum and shows sharply peak-shape graph due to a rapid and strong response to stream water levels and rainfall. The last type, which is seen in a deep layer, has a periodicity by tital effect. From geochemical analysis at each monitoring sites, [Ca-HCO₃] type happens in the center of Ddan-sum far from Nakdong river, and [Na-HCO₃] and [Ca-SO₄(Cl)] types exist in the outer of Ddan-sum affected by river quality.

      • 다중채널 기반의 안전한 금융거래 입력방식

        박영록(Park, YoungLok),손진우(Son, JinWoo),신선호(Shin, SeonHo),윤명근(Yoon, MyungKeun) 한국정보보호학회 2013 情報保護學會誌 Vol.23 No.1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전자금융거래가 보편화됨에 따라 안전한 거래를 위한 보안 기술이 중요해지고 있다. 현재 많은 보안 솔루션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PC만을 이용한 거래 혹은 스마트폰만 이용하는 거래는 공격자에게 단말기가 해킹당한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에 입력하는 정보가 공격자에게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정보 유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다중 채널을 이용하여 입력과 출력을 분리하는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안하고,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윈도우즈 기반의 PC에 직접 구현하여 인터넷뱅킹 시나리오에 적용하여 실효성을 검증한다. 제안하는 방식은 전자금융거래 뿐만 아니라 사용자 입력이 필요한 모든 입력방식의 안전성을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지하댐 설치 시 섬진강 하류 염수침입 방지 효과의 모델기반 분석

        김성윤(Kim Sungyun),김규범(Kim Gyoobum),박준형(Park Joonhyeong),신선호(Shin Seonho)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1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2 No.8

        섬진강 하류지역은 1978년 이후 지속적인 하상 세굴로 인하여 염수 침입이 확대된 지역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댐 설치 시의 염수침입 차단 효과를 수치모델로서 평가하였다. 현재 섬진강 하류 지표수의 염소이온농도는 상류로 가면서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며, 지하수내 농도는 지표수의 1/10 이내로 나타난다. 하구로부터 4.6㎞ 지점에 암반 상부로부터 25m 높이의 지하댐을 설치하는 조건으로 FEM 모델인 FEFLOW를 수행한 결과, 지하댐 상류의 퇴적 작용으로 현재보다 충적층의 두께가 5m 정도 두꺼워진다면 하구로부터 25㎞ 지점에서의 염소이온농도(0.25psu)가 하류로 약 3㎞ 정도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지하댐 상류에 퇴적물이 쌓이지 않을 경우에는 지하댐 설치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Surface water at the lower part of the Seom-jin river has a high salinity because the erosion at river bottom has made sea water move upstream continuously since 1978. The effect of underground dam on the prevention of sea water intrusion was modelled in this study. Present chloride concentration in surface water decreases exponentially along a river and in groundwater is about one-tenth of surface water’s. The finite element method model, FEFLOW, was conduct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underground dam with a height of 25m over a bedrock is located under a water surface at the site of 4.6㎞ from an estuary. The result shows that the position with chloride concentration of 0.25psu moves downstream from the sites of 25㎞ to 22㎞, if an enough sedimentation with 5m thickness happens in the upper reservoir of underground dam. On the other side, the underground dam is little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of sea water intrusion in case of non-sedimentation.

      • A Note on Discrete Logarithms with Two Exponents

        Lee, Kisuk,Lim, Seonju,Shin, Seonho 숙명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2 자연과학논문집 Vol.- No.13

        2개의 지수를 갖는 이산대수문제를 연구한다. We consider the discrete logarithm problem with two exponents (DLP(2)), i.e., given an element g_1^ag_2^b(mod n) in an abelian group G of order n, find the integers a and b. We also study the algorithms to compute discrete logarithms with two expon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