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논문 1> 화엄사상과 통합의 시대 -분단과 분열의 시대에 화엄학의 의의- : "내가 보는" 세계의 실상에 대한 화엄교학적 성찰

        신규탁 ( Gyoo Tag Shi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0

        본 논문에서 필자는 ``인식의 대상``에 대한 불교학적 성찰을 하려 한다. 여기에서 필자가 말하는 ``인식의 대상``은 우리들의 ``인식활동``과 상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그런 ``인식대상``이다. 역으로 ``인식활동``도 역시 ``인식대상``과 관계를 맺고 있다. 불교학의 하위 범주에 속하는 화엄교학은 불교학에서 대전제로 사용하는 연기론을 수용하고 있다. 모든 현상은 조건들 속에서 만들어진다. ``인식주관``과 ``인식대상``도 조건 속에서 만들어진다. 이렇게 조건 속에서 만들어진 현상을 필자는 ``연기구성체(緣起構成體)``라는 용어로 명명하기로 한다. 이 ``연기구성체``야말로 세계의 실질적 현상인데, 이런 세계의 실질적 현상을 필자는 ``세계의 실상``이라는 개념으로도 사용했다. ``연기구성체``인 인식 주관과 인식 대상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인식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를 성찰할 필요가 있다. 물론이 경우에도 성찰하는 주체가 비록 가설적이지만 설정될 수밖에 없다. 위의 문단에서 필자가 사용한 ``인식활동``이란 용어가 바로 그렇게 가설된 것이다. 이렇게 가설된 ``인식활동``에 근거하여 ``인식주관``과 ``인식대상``을 성찰하는 것이다. 화엄교학에서는 반성적 성찰 방법으로 4종류를 전통적으로 사용해왔다. 첫째 비록 가설적이기는 하지만 ``연기구성체``를 설정하는 행위이고, 둘째는 조건 속에 만들어진 ``인식주관``과 ``인식대상``은 실체가 없는 공한 존재라고 설정하는 행위이고, 셋째는 ``인식주관``과 ``인식대상``은 모두 ``인식활동`` 위에서 만들어진다고 설정하는 행위이고, 넷째는 무수히 많은 ``연기구성체``들은 상호간에 관계를 맺는다고 설정하는 행위이다. 이상의 네 종류의 성찰방법을 통해서, 우리들은 이 ``연기구성체`` 즉 ``세계의 실상``에 대해서 점점 바른 인식으로 향해 나아갈 수 있다. 당연하지만 ``세계의 실상``은 고정된 실체는 아니다. 그것은 순간순간 계속적으로 재구성되어진다. 그런 ``연기구성체``를 인식하기 위해서 우리의 반성적 성찰도 순간순간 계속되어야 한다. In this paper I examine ``the objects of cogn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t philosophy. ``The objects of cognition`` I refer to here are those that are inter-related to our ``cognitive activity; and our ``cognitive activity`` is in turn related to ``the objects of cognition.`` The Hua-yen Thought, a sub-discipline of Buddhist philosophy adopts ``the theory of dependent arising(緣起論)``, the major premise of Buddhism. All things, including ``the subject of cognition`` and ``the object of cognition``, arise in dependence upon multiple conditions. I suggest the term ``construct-of-dependent-arising(緣起構成體)`` to address everything that arises in dependence upon conditions. This ``construct-of-dependent-arising`` is in effect the actual image of the world. This image of the world, in my view, is interchangeable with the concept of ``the reality of the world.`` In order to perceive the subject and the object of cognition as they are, one needs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the cognitive process. For this purpose, however, one needs to postulate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albeit hypothetically. The term ``cognitive activity`` I used in the previous paragraph is likewise a postulated concept as well. It is through this postulated ``cognitive activity`` that one can contemplate on ``the subject of cognition`` and ``the object of cognition.`` Hua-yen Thought has traditionally employed four methods of reflective thinking. The first is to postulate the ``constructof- dependent-arising`` although hypothetically; the second is to regard ``the subject of cognition`` and ``the object of cognition`` as unsubstantial emptiness; the third is to consider that ``the subject of cognition`` and ``the object of cognition`` are formed upon ``the cognitive activity``; the fourth is to assume that innumerable ``constructs-of-dependentarising`` are related to one another. These four methods of reflective thinking may enable us to head for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reality of the world.`` Nevertheless, ``the reality of the world`` is not a fixed entity. It reconstructs itself every moment. Our reflective thinking needs to continue from one moment to another so as to grasp the fleeting ``construct-of-dependent-arising.``

      • KCI등재

        운허의 생애와 불교사상 소고 - 불교의 경학 방면을 중심으로

        신규탁(Shin Gyoo-tag) 불교학연구회 2008 불교학연구 Vol.19 No.-

          This is the first thesis ever written about Ven. Wun-Her (耘虛, 1892-1980) as a scholar. Thus, I suppose 4 objective studies and expression of Wun-Her’s thought, thus inspiring confidence in 10 side in general his pas?da.<BR>  However, I go to the exam his Buddhism philosophy through 10 sides is then repeated result of analysis as follow.<BR>  Firstly, the Wun-Her’s idea of using language and letter in Buddhism Sutra. Even though his language and letter are not truth itself, the material of these approached to truth world and ensures that Buddha’s word dwells on the meaning of Korean through his translate enthusiasm.<BR>  Secondly, his towards to the pedigree of Korean Buddhism. Basically he is regarded whit the Zen sect of Buddhism as Korean Buddhism pedigree. But among the Zen Buddhism monks, there are study Sutra according to their ability. There is the very man who is Wun-Her. His value is denoted by Sutra that is known as Hua-Yen schola.<BR>  Thirdly, his ideas in nevertheless and existing Buddha. He is primarily the faith Buddha and the ‘Buddha’ referred to the world by itself whit salvation human and guidance as various type of Buddha’s truth.<BR>  Fortly, it is his idea of truth world. As the same of traditional Hua-Yen philosopher, he has the realm of Buddhism. Thus he is remarkable explained the realm influnced by wisdom of vij?aptiphilosophy.<BR>  Fifthly, it is his practical method who expressed their own observation to their body and mind. Through simply keep going to practical of his practice way, anyone can grasp their nature. The notion of practice, here, is not birth or hide, but of something the though of purifies and the heart. Developing towards these guides to a better way of living is experience various compassion inspired by their wisdom.

      • KCI등재

        『십현담주해, 十玄談註解(십현담주해)』에 나타난 만해 한용운 선사의 선사상

        신규탁 ( Gyoo Tag Shin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4 禪文化硏究 Vol.16 No.-

        중국의 오대시대에 활동한 동안 상찰(同安常察, ?~961) 선사의 작품 중에 『십현담(十玄談)』이 있다. 동안 선사는 이 책 속에서 모두 10개의 주제어를 제시하고, 그 각각에 대한 의미를 시(詩)로 적었다. 물론 동안 선사는 조동종(曺洞宗)의 입장 에서 선의 수행과 교육을 순서적으로 설명했다. 이 책이 세상에 나오자, 이 책의 본문에 대해 청량 문익(淸凉文益, 885~958) 선사가 주석을 붙였고, 이 책의 본문과 주석은 다시 조선에도 전래되었다. 이렇게 전래된 본문과 주석에 대해 김시습(金時 習, 1435~1493)은 청량 선사와는 다른 입장에서 주석을 붙였다. 이 주석서가 바로『십현담요해(十玄談要解)』이다. 이 책은 훈민정음(訓民正音)으로 번역되기도 했을 정도로, 조선시대 독서인들에게 많이 읽혀졌다. 이런 전통 속에서 만해 한용운(萬海 韓龍雲, 1897~1944) 선사도 이 책을 독서하였다. 독서 과정에서, 한용은 과거 두 종류의 주석과 자신의 입장이 다름을 느꼈다. 그리하여 마침내 자신만의 독자적인 주석서를 출판했다. 그 주석서가 바로 『십현담주해(十玄談註解)』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이상의 여러 텍스트를 분석 비교하여 본문을 번역했고, 그 과정에서 한용운 만의 고유한 견해를 뽑아보았다. 그리고 이렇게 뽑은 한용운의 견해가 본문의 내용과 일치하는지를 검토했다. 그 결과, 한용운의 본문 이해가 김시습 보다 본문 내용에 더 일치함을 밝혔다. 그리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한용운의 선사상을 제시하고, 한용운의 선사상을 조동종의 입장에서 평가하는 현행 한국 학계의 학설을 시정할것을 제안했다. The Ten Profound Verses(十玄談) is a book written by the Buddhist monk Dong-an Sang-chal(同安常察, ?~961) from the Five Dynasties in China. In this book, Dong-an suggested ten different themes and delineated their meanings in poems. He illustrated the process of Buddhist practice and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Caodong sect(曺洞宗). On its publication, the Buddhist monk Cheong-ryang Moon - ik(淸凉文益, 885~958) commented on the original text, and the original text and his annotations were introduced to Joseon. The Korean scholar Kim Si - seup(金時習, 1435~1493) then commented on the original text and Cheong - ryang`s annotations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 this is called Commentary on The Ten Profound Verses(十玄談要解). This book was widely read among the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even translated into Korean. Inheriting this tradition, the Buddhist monk Manhae Han Yong - un(萬海 韓龍雲, 1897~1944) also read this book and realized that his own perspective on the original text is different from these two commentaries. Therefore, he ultimately published his own independent commentary called Annotation to The Ten Profound Verses(十玄談註解).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aforementioned texts in comparison to each other, translated the original text and highlighted Han Yong - un`s unique views. Moreover, I examined how Han`s perspective corresponds with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text. As a result, I conclude that Han`s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text accords more with the original text than that of Kim`s. Based on this finding, I have elucidated Han Yong - un`s Zen philosophy suggesting the current theory in Korean academia that evaluate Han`s philosophy from the perspective of Caodong sect needs to be rectified.

      • KCI등재

        『法界觀門』의 ‘觀’의 機能에 關한 試論

        신규탁(Shin Gyoo-Tag) 보조사상연구원 2007 보조사상 Vol.28 No.-

        본 논문은 『法界觀門』에 나오는 ‘觀’의 기능이 무엇인가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일반적으로 ‘觀’은 화엄종의 수행방법으로 알려져 왔다. 필자도 이 점에 대해서는 기존의 연구자들과 마찬가지 입장이다. 그런데 필자가 보기에는, ??法界觀門??에 나오는 ‘觀‘은 수행의 방법으로서도 역할도 있지만, 동시에 ‘觀’에는 불교의 각종 경전에 나오는 교리를 설명하는 해석적 요소도 있다는 것이다. 『法界觀門』에는 세 종류의 ‘觀’이 제시된다. ‘眞空觀’을 활용하면 반야 계열에의 경전에 나오는 空思想을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理事無?觀’을 활용하면 여래장 계열의 경전에 나오는 아뢰야식 緣起를 해석할 수 있다. 끝으로 ‘周?含容觀’을 활용하면 화엄의 法界緣起를 해석할 수 있다. 그런데, ‘주변함용관’으로는 앞의 두 ‘觀’을 모두 포괄할 수 있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이상의 입장에서 보면, 『法界觀門』이라는 작품은 궁극적으로는 ‘주변함용관’을 주장하기 위해서 쓰여진 것임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주변함용관’의 관법을 이용하지 않고는 華嚴의 ‘法界’를 완전하게 설명할 수가 없다. 이것은 마치 10玄門으로 화엄의 교리를 설명하는 것과도 같은 논리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문자로 표현된 ??화엄경?이란 ‘法界’를 묘사한 것임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法界’란 결국은 인간이 사유하는 활동 가운데 나타나는 일체의 현상이다. 다시 말하면 『화엄경』의 내용은 인간의 사유 활동에 나타나는 세계의 참 모습이다. 우리는 이러한 『화엄경』의 문헌에 대한 바른 지식을 갖게 되면, 곧 그것이 세계에 대한 바른 지식을 갖는 것과 동일하다. 그리고 세계에 대한 바른 지식을 갖는다는 것은 그 자체가 바로 실천과 연결된다. 이러한 실천의 구체적인 표현이 보살의 각종 실천이다.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he function of ‘Method of contemplation’ which is from Fajieguanmen". Generally that ‘Method of contemplation’ is the way of The Huayen school"s practical method. The point of my view is the same thought as any other scholars. However the ‘Method of contemplation’ in Fajieguanmen has role of practical way and it has interpretation factor through explain of Buddhism"s several scriptures. There are three types ‘Method of contemplation’ in Fajieguanmen; First, the use of ‘Contemplation on the emptiness’ can interpretate in ?unya from Prajn? Scripture. Second, the use of ‘Contemplation on the noumenon and phenomena are not differnet’ is based ‘Dependent origination of vijn?na’ which follow Tath?gata-garbha Scripture. Finally, the use of ‘Contemplation on the unhinderness’, it can interpretate Dharma-realm in The world of Flower Garland Sutra. Yet, these ‘Method of contemplation’ as previous mention have include all ‘Contemplation on the unhinderness’, the opposition is not equal at all. The point of view as previous mention, the text which is called Fajieguanmen wrote basically for insisting on ‘Contemplation on the unhinderness’. Moreover Dharma-datu of The world of flower garland cannot completely explain without ‘Method of contemplation’ in ‘Contemplation on the unhinderness’. It is the same logic that explain the Flower Garland Sutra through using as like 10 types"Xuan-men(玄門). It is necessary to remember that the Flower Garland Sutra is the text of Dharma-realm. Eventually the Dharma-realm is the phenomenon that human has private behaviour. Another word, the contents of Flower Garland Sutra is the real figure of the world. If we have righteousness knowledge about Flower Garland Sutra, it is the same we have righteousness knowledge about world. Also having righteousness knowledge about the world is the connecting to practice. These expression of actual practice is the Bodhisattva"s practice.

      • KCI등재
      • KCI등재
      • 송월주 스님의 사상과 보현행

        신규탁(Gyoo-Tag Shin)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8 불교와 사회 Vol.10 No.1

        세상에는 다양한 종류의 봉사활동, 복지활동, 구호활동, 더 나아가 이름은 다르지만 남을 위한 일들이 많이 있다. 송월주 스님도 그런 일을 하신 한 분이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월주 스님의 그런 실천 활동을 대승불교 실천운동의 연장선에서 이해하고 평가하고 있다. 그런데, 남을 위하는 월주 스님의 실천운동에는 이런 운동을 하는 일반 사람들과 공통적인 면모도 있지만, 스님에게만 나타나는 독특한 점이 있다. 그것은 ‘보현행’이다. 즉, ‘보현의 보살행’이 있다. ‘보현행’은 대승불자들에게는 공통적인 이상인 동시에 또 이념이기도 하다. 월주 스님은 불교적인 체험에 입각한 보살행을 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그는 비로법계의 진리를 체험하고, 그 체험에 입각한 보살행을 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그의 구호활동에 특징이 있다. In this paper, I understand and evaluate his ideas in the extension line of the Buddhist practice movement of the Mahayana. There are various types of service, welfare and relief activities in the world. By the way, This is the same in that the names are different but intended for others. He is the one who did it. He has something in common, but there is something special about him that can not be seen by others. That is the practice of Samantabhadra. The practice of Samantabhadra is a common ideology and ideology of Mahayana Buddhism. He has a bodhisattvas based on Buddhist experience. His Buddhist experience is the cause of Huayan philosophy (華嚴哲學), which is characteristic of his philosophy of practice.

      • KCI등재
      • KCI등재

        숭산 행원(崇山行願) 선사의 선사상

        신규탁 ( Shin Gyoo - Tag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6 禪文化硏究 Vol.21 No.-

        이 논문에서 필자는 숭산 행원(崇山行願, 1927~2004) 선사의 선사상을 두 방면에서 분석하였다. 첫째는 역사적 방면인데, 이 방면에서 보자면 숭산 선사는 불교의 텍스트 속에 등장하는 선사상을 `점수선`으로 이름 붙이고, 텍스트를 초월하는 가르침을 전하려는 달마 선사 제자들의 선사상을 `돈오선`으로 이름 붙이고 있다. 물론 숭산 선사는 이 둘 사이의 우열을 논하지는 않았다. 그의 이런 태도는 조사선(祖師禪)을 여래선(如來禪) 보다 높이 평가하는 선사들과는 입장을 달리한다. 둘째는 사상적 방면인데, 이 방면에서 보자면 숭산 선사는 송나라 시대 이후 전개된 다양한 선사상의 근본적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그의 주장에 따르자면, 비록 스승과 제자들마다 서로 전승하는 방식에 외형적 차이는 있지만, 그 근본에는 차이가 없다고 한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그는 한국불교 전통으로 평가되는 `통합불교`의 전통을 계승하려고 노력한 선사라고 평가할 수 있다. 통합적 성격이 진한 한국불교의 전통 속에서는 `참되고 여여한 마음`을 전제하고, 그것을 체험할 것을 강조한다. 숭산 선사 역시 이런 전제 위에서, 화두(話頭)를 관찰하는 수행을 강조하고 있다. 숭산선사가 고유하게 사용하는 화두의 일종인 “오직 모를 뿐(Only don`t know)”도 궁극적으로는 `참된 여여한 마음`을 체험하게 하기 위한 일종의 화두 관찰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zen master Seung Sahn(崇山行願, 1927~2004)`s Seon thought from two different perspectives. First, from a historical view, master Seung Sahn called the zen thoughts in Buddhist scriptures as “Seon of Gradual Cultivation(漸修禪),” and the zen thoughts of Bodhidharma`s disciples as “Seon of Sudden Enlightenment(頓悟禪).” Yet, he did not saw them as superior or inferior to one another. This egalitarian view is distinguished from that of other zen masters who saw “Patriarch Zen(祖師禪)” superior to “Tathagata Zen(如來禪).” Second,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master Seung Sahn did not consider various zen thoughts developed since the Song Dynasty fundamentally disparate. He argued, despite the various methods of different masters and disciples, there is no fundamental difference in their basic thought. Seen in this light, he was one of the zen masters who inherited and advocated the spirit of “integrative Buddhism” intrinsic to the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In the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leaning towards integration, the “true suchness of the mind” is premised as something that one should experience through practice. Based on this premise, master Seung Sahn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ntemplation of a hwadu(話頭禪).” Master Seung Sahn`s own hwadu “Only don`t know” is also a method of “contemplation of a hwadu” that ultimately pursues the experience of the “true suchness of the m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