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벼이삭마름병의 국내 발생양상과 진균성 병원균

        송진주 ( Jin Ju Song ),이왕휴 ( Wang Hyu Lee ),심형권 ( Hyeong Kwon Shim )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1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1 No.1

        The fungal pathogens of rice ear blight were isolated from the samples collected in Jeallabukdo, Jeallanamdo, Gyeongsangbukdo and Gyeongsangnamdo from 2006 to 2007. The isolation of pathogen were individually surveyed and tested by pathogenicity. The occurrence of rice ear blight was the highest in Gyungbuk province in both surveyed years. There were some different rate of rice ear blight in Jeonnam, Gyeongnam, Jeonbuk in 2006, but found to be no difference among the province in 2007. Fusarium graminearum, Fusarium moniliforme, Pyricularia oryzae, Bipolaris oryzae, Nigrospora oryzae, and Curvularia, sp. were isolated from seed coat. F. graminearum, F. moniliforme, P. oryzae, B. oryzae were also isolated only from endosperm. However, F. graminearum, P. oryzae were isolated from embryo. As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F. graminearum was confirmed to be present in seed coat, endosperm and embryo. In the pathogenicity test, F. graminearum, B. oryzae caused discolotation of seed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compared with these of control.

      • 양파껍질 추출물을 첨가한 기능성 발효유 제조 및 품질 특성

        송진주 ( Jin Ju Song ),양은인 ( Eun In Yang ),김영수 ( Yeong Su Kim ),김용석 ( Yong Seok Kim ),정용섭 ( Yong Seob Jeong )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4 No.2

        양파껍질 추출물 첨가 발효유는 발효유 베이스 97.47g, 양파껍질 추출물 0.5g, 포도과즙 농축액 1g, 트레할로스 1g과 사과향 0.03g로 제조하였으며, 발효유의 pH와 적정산도는 각각 4.5와 0.97~1.4%였다. 무지유고형분(SNF) 함량은 8.59%로 농후 발효유로 구분 될 수 있으며, 수분 76.95%, 조단백질 2.17%, 조지방 0.03%와 조회분 0.81% 함량을 보였다. 유리당은 sucrose가, 유기산은 lactic acid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양파껍질 추출물 첨가 발효유의 무기질 함량은 대조구인 발효유 베이스에 비해 Ca, Mg과 Na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색도는 적색도와 황색도 값이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636.45±27.50mg/100g으로 발효유 베이스에 비해 10배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은 73.22±1.59%로 약 4.6배 정도 높았다. 발효유 베이스에는 함유되어있지 않은 quercetin 함량은 65.11±0.21mg/100g이었으며, 저장성은 4℃에서 16일 동안 조사한 결과, 색도, pH, 적정산도와 젖산균수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This study was to manufacture the functionality fermented milk using the yellow onion peel extract. The yellow onion peel extract was extracted by microwave. The mixing ratio of the final yogurt was the fermented milk base 97.47g, yellow onion peel extract 0.5g, grape concentration solution 1g, trehalose 1g, and flavor of apple 0.03g. The characteristic of yogurt with the yellow onion peel extract was the solids-not-fat (SNF) 8.59%, moisture 76.95%, crude protein 2.17%, crude fat 0.03%, and crude ash 0.81%. The contents of Ca, Mg, Na, sucrose, and lactic acid were higher than these of yogurt without yellow onion peel extrac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quercetin content were 636.45±27.50mg/100g, 73.22±1.59%, and 65.11±0.21mg/100g, respectively. The change of the quality of yogurt were not observed during the storage period ( ℃ and 16 days).

      • KCI등재

        진학 희망 고교 유형에 따른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교육비 격차 추이 분석 : 특목고와 자율형 사립고를 중심으로

        송진주(Song, Jin Ju),문인영(Moon, In Young),박세준(Park, Sei Jo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교육청의 특목고와 자사고 폐지 정책에 대한 실증을 위해 학생의 진학 희망 고교 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교육비의 격차 추이에 대해 분석하는 데 있다. 이 를 위해 경기도교육원에서 실시한 경기교육종단연구 1차년도(2012)부터 3차년도(2014)까지의 자료를 경향점수매칭(PSM)과 다층모형(HL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어, 영어, 수학, 국영수 평균 학업성취도의 초기치는 모두 특목고와 자사고 희 망 집단이 비희망 집단에 비해 높았다. 교육비 초기치 역시 희망 집단이 비희망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특히 집단 간 수학, 국영수 평균 성취도가 유의미한 변화율을 보여 집단 간 학업성취도 격차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심화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특목고와 자사고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의 성취도 격차와 교육비 격차가 존재하며, 학력 격차의 경우 심화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특목고·자사고 진학 희망에 있어 높은 학업성취도 뿐만 아니라 많은 교육비 를 감당할 수 있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존재함을 추론하게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특목고·자사고 폐지 정책의 시행 근거 및 고교 다양화 정책 재고, 나아가 고교 진학에서 교육 불평등 해소라는 정책적 배려에 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change i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educational expenses gap by their expected high school types in order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policy of abolishing special purpose and independent private high school in Gyeonggi.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data from 2012 to 2014 were analyzed by employing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and Hierarchical Linear Models(HLM). The result shows that students who wanted to enter into special purpose and independent private high schools had higher initial levels in Korean, English, Mathematics, average of all three subjects achievement, and educational expenses than the students who did not want to enter into those schools. Especially, Mathematics, and average of all three subjects achievement gap changed significantly across time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s were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verifi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o-economic gap between expected high school types, and the gap between those groups has widene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some grounds for the policy of abolishing special pupose and independent private high schools and suggestions for reconsidering the high school diversification policy to solve inequality.

      • KCI등재

        9시 등교 정책이 학생의 정의적 영역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송진주(Song, Jin Ju),이지영(Lee, Ji Y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4

        9시 등교 정책은 경기도 초․중등학교에서 아침 가용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수면시간 및 아침 식사 시간을 확보하고 삶의 질과 학습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시행한 정책이다. 본 연구 는 9시 등교 정책이 학생의 정의적 영역 및 학업성취도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경기교 육종단연구(GEPS)의 1차년도(정책 시행 전 중1)과 4차년도(정책 시행 후 중1) 학생을 정책 시 행 전후 집단으로 나누어 통상최소자승법(OLS)과 경향점수매칭(PS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경향점수매칭(PSM) 분석 결과, 정의적 영역의 모든 종속변수에서 정책 시행 후 유의한 차 이가 발생하였는데 학생들의 수업태도는 하락하였고, 자살충동은 감소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은 상승하였다. 학업성취도(T점수)의 경우, 국어 성취도는 상승하고, 국영수 세 과목 성취도 평균 은 하락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영어, 수학 성취도가 정책 시행 전에 비해 유의하게 하락하였다. 이는 9시 등교 정책이 자살 충동과 자기효능감에서는 긍정적 효 과를 보이고 있으나 수업 태도와 영어, 수학 성취도에는 유의하게 부적 영향을 끼치고 있음 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정책의 의도하지 않은 효과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 적 보완이 필요함을 제시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Attending School at 9AM” policy on students’ affective domain and academic achievements.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4th and 7th grade cohort from Gyeonggi Educational Panel Study (GEPS). The data was analyzed with Ordinary Least Squares(OLS)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for the rigid estimation. Our results, first, indicate that the “Attending School at 9AM” policy has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suicide impulse and self-efficacy while having negative effects on students’ learning attitudes. Secondly, “Attending School at 9AM” has negative effect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Students’ scores of English, Mathematics significantly when it was analyzed with both OLS and PSM. Even though the degree of academic achievement is not the most important goal of “Attending School at 9AM” policy, it is still an important index of education. Therefore, the policy makers should rethink about the relevance of policy goals and its means. Also,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students to utilize their extended time in the morning and support them with extra morning programs for students to make a productive use of it. These supports would eventually help students concentrate better during school hours and get positive effects from the “Attending School at 9AM” policy by helping students to have reduced level of stress and exhaustion and have breakfast more regula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