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과학기술자 사회의 특성 분석

        송위진,이은경,송성수,김병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3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그 동안 과학기술의 경제/사회적 중요성을 지적하고 과학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어왔지만 정작 과학기술활동을 수행하는주체인 과학기술자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음 □ 그 동안의 산업화 과정에서 한국 과학기술자사회가 주로 수행해야했던 일들은 외국 기술을 도입·소화·개량하는 활동이었음. 따라서 이미 문제와답이 주어진 상황에서 우리의 조건에 맞게 변형시켜 문제를 해결하는 활동이 과학기술활동의 중심을 이루었음 □ 그런데 1990년대를 거치면서 선진국을 제치고 선두로 진입하는 분야들이 나타나게 되었고 이로 인해 해결해야하는 문제의 성격이 바뀌기 시작하고 있음 □ 이제 선진국에서 관련 기술을 도입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으며 선진국도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풀어야 하거나 스스로 문제를 만들어서 해결해야하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음. 모방적 혁신에서 창조적 혁신으로 기술혁신패턴의 변화가 시작되고 있으며 재빠른 추격자에서 리더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음 □ 본 연구에서는 추격체제를 넘어서야 하는 전환기에 처한 한국 과학기술자사회의 현황과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서 분석을 수행함. 이를 위해 모방에서 창조단계로의 전환기까지 한국 과학기술자사회가 진화해온 과정을 정리하고, 이러한 전환과정에서 발생한 ‘이공계 기피’의 내용을 살펴보면서 한국 과학기술자사회의 특성들을 살펴보게 될 것임. 그리고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에서 추격체제를 넘어 탈추격체제로 진입하게 되면서 나타나는 일하는방식 변화들을 논의할 것임 과학기술자사회의 형성과 특징 □ 대학의 경우 18세기 말의 프랑스에서 과학교육이 제도화되기 시작했고 19세기 중엽의 독일에서 과학연구가 제도화되었음 □ 20세기에 들어서는 기업연구소가 본격적으로 설립되고 정부의 과학연구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면서 대학에 이어 기업과 정부에서도 과학기술이 제도화되었음 □ 미국과 일본은 모두 후발국으로서 과학기술을 제도화시켜 왔으며 한국의 과학기술활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음 □ 한국의 경우에는 해방 후 1960년대 전반까지의 과학기술활동은 산만하였고,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까지는 과학기술활동의 기반이 구축되었으며, 1980년대 이후에는 본격적인 과학기술활동이 전개되었음 □ 한국 과학기술자사회의 내부적 특성으로는 조직의 신설을 통해 성장해 왔다는 점, 기초연구가 경시되어 왔다는 점, 산학연 협동이 미흡하다는 점, 과학기술자 리더 그룹의 형성이 미진하다는 점 등을 들 수 있음 □ 과학기술자사회의 위상 및 역할과 관련된 특징으로는 사회적 중요성에 비해 대우가 부족하다는 점, 주로 기능적 활동을 수행해 왔다는 점, 과학기술자 중심의 사고를 가지고 있다는 점, 사회문화활동에 대한 참여도가 저조하다는 점 등을 들 수 있음 이공계 기피현상을 통해 본 한국 과학기술자사회의 특성 □ 이공계 기피 현상은 2001년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자연계열 지원자 수가 급격히 감소함으로써 사회적 이슈가 되었고 원인 분석과 대안에 대한 논의가진행되는 동안 중요한 과학기술정책 의제로 부상했음 □ 이공계 기피 담론 분석을 통해 이공계 기피 현상에 대한 사회적 이해와 대응이 전개된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과학기술자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이해할 수 있음 <이공계 기피 현상의 ‘발견’과 문제제기> □ 1997년 이래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자연계열 지원자 수의 지속적 감소’ 문제에 주목하고 이를 청소년의 이공계 기피의 지표로 해석하는 주장이 2001년 6월에 처음 제기되었음 □ ‘자연계열 지원자 수 감소’를 ‘이공계 기피’로 해석함으로써 문제의 영역을 이학과 공학으로 한정하는 동시에 과학기술계의 여러 문제와 연결시킬 수있는 고리가 마련됨 <‘이공계 기피 현상’ 담론의 폭발과 정책의제화> □ 2001년 12월부터 이공계 기피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논의가 폭발적으로 전개되었으며, 주요 이공계 대학과 의약학 대학의 경쟁률 및 등록율의 차이가 중요한 계기 중 하나였음 □ 이공계 기피 담론의 진행에 따라 정부의 대응 방안의 영역도 확대되었음 <이공계 기피 현상의 사회적 구성과 한국 과학기술자사회> □ 이공계 기피 현상은 처음에 자연계열 지원자 수 감소에서 시작되었지만,원인 분석을 하는 과정에서 과학기술계의 여러 집단의 관심사가 포함되면서 외연이 확장되었음 □ 이공계 기피 현상의 사회적 구성 과정을 통해 한국 과학기술자사회의 몇가지 특성을 추출해 볼 수 있음 <민간부문 과학기술활동의 특성과 변화 : 휴대전화 산업을 중심으로> □ 이 장에서는 민간부문에서 과학기술활동이 이루어지는 방식의 특성과 변화에 대해 논의함 <휴대전화 산업의 성과와 능력> □ 우리나라 휴대전화의 경쟁력은 세계적 수준에 도달하였음 □ 이러한 성과는 우리나라 기업들의 제품개발능력이 선진 기업들과 어깨를 겨룰만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나타난 것임 <추격체제에서의 기술혁신활동: 기술모방과 점진적 혁신> □ 추격의 발판 구축 □ 기술추격 과정의 특성 <새로운 모습들: 아키텍처 혁신과 탈추격체제의 맹아들> □ 기술소화/흡수단계를 마치고 선진국을 추격하기 시작한 국내 휴대전화 업체들은 2000년대에 들어서서는 선두그룹으로 부상함. 이에 결부되어 과거모방형 단계와는 다른 일하는 방식들이 등장하고 있음 □ 기획활동의 강화 □ 조직간 협력 강화 □ 실패의 용인 □ 원천기술의 확보 문제 <공공부문 과학기술활동의 특성과 변화> □ 공공부문의 과학기술활동은 공공의 목적을 위해 공공자금을 지원받아 수행하는 연구개발관련활동으로 정부출연연구기관이나 대학에서 주로 수행하는 활동임 □ 우리나라의 과학기술활동은 후발국 경제성장과정의 특성과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음. 현재 추격체제를 거쳐 탈추격체제로 전환하는 상황에서 특징적인 변화가 관찰되고 있음 <공공부문 과학기술활동 분석을 위한 틀> □ 본 글에서는 공공부문 과학기술활동을 분석하기 위해 과학기술활동의 규율과 경제/사회에의 기여를 주요 변수로 설정 □ 미국에서는 2차 대전 이후에는 과학기술활동의 규율 면에서는 과학기술자 사회의 자율규율이 강조되었고, 기초과학이 기술혁신을 이끌고 기술혁신이 경제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선형모델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에 경제/사회적 기여에 대해서는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확대라는 현상으로 나타났음 □ 선진국의 경험과는 달리 후발국에서는 과학기술의 발전양상이 선진국과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음 <한국 공공부문 과학기술활동의 변화> □ 현대의 공공부문 과학기술활동은 기획/관리/평가활동이 뒤따르고 있음.이러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방식은 국가와 시기별로 차이가 나고 있음 □ 한국의 과학기술활동은 추격단계에서부터 학문적인 관심이나 문화적인 가치보다는 경제적인 목표를 위한 요소로 강하게 인식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탈추격단계에도 여전히 관철되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경제/사회와 관계를 맺는 방식은 차이가 있음 □ 현재 공공부문 과학기술활동에서 관찰되고 있는 변화들은 탈추격단계에 적합한 새로운 연구개발체제를 모색하려는 실험임. 이와 더불어 과학기술과사회, 과학기술자사회와 정치공간이 새로운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 KCI등재
      • KCI등재

        '전환적 혁신정책'의 관점에서 본 사회문제 해결형 R&D정책: '제2차 과학기술기반 사회문제 해결 종합계획'을 중심으로

        송위진,성지은 한국과학기술학회 2019 과학기술학연구 Vol.19 No.2

        This research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emerging 'transformative innovation policy' and discusses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Korean social problem solving R & D policy. Transformative innovation policy is a new paradigm that aims to transform socio-technical systems to address societal challeng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olicy plan for solving social problems ba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Policy Plan", efforts are being made to establish new direction of scienc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such as emphasis on social values, network formation of innovation actors, and spreading of social impact. But in this "Policy Plan", the perspective of transformative innovation policy is weakly reflected. The Policy Plan refers to system improvement that adds new elements to existing system, but it is not discussing system transformation. In order to develop social problem solving R & D policy from the viewpoint of the transformative innovation policy,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innovation platform deliberating vision and prospect for the socio-technical transformation. 이 연구에서는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전환적 혁신정책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것에 입각해서한국 사회문제 해결형 R&D정책을 분석한다. 전환적 혁신정책은 사회적 도전과제 해결을위해 사회․기술시스템 전환을 지향하는 정책이다. 이 연구에서는 전환적 혁신정책론의 틀에서‘제2차 과학기술기반 사회문제 해결 종합계획’을 분석했다. '종합계획'에서는 사회적 가치의강조, 관련 주체들의 네트워크 형성, 사회적 성과 확산 등 과학기술혁신 활동의 새로운방향성을 설정하고 관련 생태계를 형성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렇게 '종합계획'에서는과학기술혁신에서 사회․기술혁신까지 시야를 확대하고 있지만 사회․기술시스템 전체를 조망하면서 시스템 전환을 지향하는 관점은 약하다. 이 때문에 ‘종합계획’은 기존 시스템에새로운 요소를 부가하는 시스템 개선을 이야기하고 있지 시스템 전환을 논의하고 있지는않다. 전환적 혁신정책의 관점에서 사회문제 해결형 R&D정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사회․ 기술시스템 전환에 대한 비전과 전망을 구성하는 것이 최우선적으로 요구된다.

      • KCI등재

        사회·기술시스템 전환을 지향하는 기업의 혁신활동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개념적 틀과 사례분석

        송위진,성지은 기술경영경제학회 2021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9 No.4

        This article discusses the innovation activities of firms that aim for system trans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formative Innovation Policies’. Here, for the sustainable transformation of our society, a firm that finds the 'purpose' of business activities in solving social problems and implements a new business model is defined as a 'transition-oriented firm'. The main characteristics of a transition-oriented firm are examined in terms of 1) transition vision and mission setting, 2) business model innovation for transition, 3) network formation for system transition, and 4) securing legitimacy of transition. And through case studies, the approach,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transition-oriented corporate innovation theory are discussed. The case study is from a Eisai Korea, which aims for an integrated prevention, treatment, and care system centered on residents and citizens. 이 논문은 지속가능한 사회·기술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지향하는 기업의 혁신활동 특성을 논의한다.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한 전환을 위해 사회문제 해결에서 기업활동의 ‘목적’을 찾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현하고 있는 기업을 ‘전환지향적 기업’으로 정의한다. 이 논문은 시스템 전환론의 틀을 활용해서 1) 전환비전과 임무설정, 2) 전환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혁신, 3) 전환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 4) 전환의 정당성 확보 측면에서 전환지향적 기업 혁신활동의 주요 특성을 살펴본다. 그리고 사례연구를 통해 전환지향적 기업혁신 활동에 대한 가설과 이슈를 토의한다. 사례연구 기업은 생활자·시민중심의 예방·치료·돌봄통합시스템을 지향하고 있는 한국에자이다.

      • KCI등재

        시스템 전환론의 관점에서 본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의 발전 방향

        송위진,성지은 기술경영경제학회 2014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2 No.4

        과학적⋅산업적 목표를 넘어 사회문제 해결이라는 사회적 목표를 내세우는 사 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이 등장하고 있다. 사회문제는 여러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에 난제인 경우가 많다. 한 번의 사업으로 해결되지 않으며 장기적인 과정을 거치 게 된다. 따라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은 대증적 접근이 아니라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 전환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시스템 전환의 관점에 서 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의 발전방향을 다룬다. 이를 위해 ‘전 환실험화’라는 개념을 토대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을 전환실험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검토한다. ‘전환 거버넌스 구축’, ‘전환비전 형성과 전환실험 기획’을 연구개발사업 의 전환실험화를 위한 핵심 과정으로 설정하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 발사업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살펴보았다 Socially-oriented R&D programs aimed at solving societal problem rather than scientific and industrial fruits have started recently. Societal problem is recognized as dilemma since this problem related to various stakeholders. And this is not solved with single program and needed long-term process. So the perspective of socio-technical system transition including technological and institutional change is needed. This paper suggests policy implication of Socially-oriented R&D programs from socio-technical system transition perspective. ‘Transitioning of Socially-oriented R&D program’ is the key concept of restructuring the program for the system transition. The establishment of multi-layer transition governance and the transition vision-making and transition experiment planning are the key process of transitioning the R&D program. This paper suggests the ways and issues of implementing this process in Socially-oriented R&D program

      • KCI등재

        혁신 연구와 사회 혁신론

        송위진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6 동향과 전망 Vol.- No.98

        This is a review article for exploring the research agenda of social innovation theory. Social innovation is to solve wicked social problems and emerging new problems such as youth and aging problems with new idea and method. Social innovation is different from business innovation for solving techno- economic problems. The researches on social innovation don’t make full use of the existing knowledge of ‘innovation studies’. This article searches for the research agenda of social innovation with the several issues of innovation studies. This will broaden and enrich of the studies of social innovation. 이 글은 ‘혁신 연구(innovation studies)’의 성과를 바탕으로 사회 혁신론의 연구방향을 검토하는 논문이다. 사회 혁신은 삶의 현장에서 잘 해결되지 않는 사회문제나, 고령화 · 청년 문제 · 기후 변화 등 새롭게 나타난 사회 문제를 신규 아이디어와 방법을 통해서 해결하는 활동을 지칭한다. 사회 문제 해결이 사회 혁신의출발점이기 때문에 경제적 · 기술적 문제 해결에서 시작하는 비즈니스 혁신, 산업 혁신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사회 혁신에 대한 이론화 작업이 이루어지고있지만 현재까지는 ‘혁신 연구’의 성과를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는 못하다. 비즈니스 혁신 · 산업 혁신과 사회 혁신을 차별화하는 과정에서 기존 논의와 거리를두면서 이런 모습이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혁신 연구’의 성과를 활용해서 사회 혁신론의 연구 방향을 탐색하는 작업을 한다. 혁신 연구의 주요 이슈를 검토해 사회 혁신론을 심화시킬 수 있는 연구 분야를 제시한다. 이는 사회혁신론의 시야와 범위를 풍부히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과학기술과 사회"의 주요 쟁점 분석 연구

        송위진,이은경,송성수,김병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3 정책연구 Vol.- No.-

        □ 본 연구는 과학기술과 사회의 주요 이슈들에 대한 리뷰 연구임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과학기술과 사회의 이슈들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이슈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논의에서 출발하여, 다른 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례, 그것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들을 검토하는 작업이 필요함 ○각 연구에서는 기존의 이론적 논의의 검토, 의미 있는 사례 분석, 시사점 도출이 이루어질 것임 □ 각 연구에서 다루는 내용들은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과학기술관련 의사결정구조의 변화: 사용자와 시민 불러오기에서는 기존의 과학기술계 중심, 공급자 중심의 과학기술관련 의사결정구조가 새로운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고 파악하면서 그 변화의 내용들을 다룸 ○대중과 과학기술: 대중의 과학이해와 과학기술문화시스템에서는 과학기술과 대중과의 관계가 과학기술을 대중에게 계몽하는 과학대중화에서 과학기술계와 대중이 상호작용하는 대중의 과학이해(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로 변화하고 있다고 파악하면서 대중의 과학이해의 내용을 분석하고 있음. 그리고 과학기술과 대중과의 관계를 좀 더 넓고 분석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기 위해 과학기술문화시스템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한국의 과학기술문화시스템에 대한 논의를 전개 ○기술영향평가의 역사와 쟁점 에서는 기술발전으로 인해 나타나는 사회적 효과를 사전적·사후적으로 평가하는 기술영향평가의 개념과 내용이 어떻게 진화되어 왔는가를 살펴보고 바람직한 기술영향평가를 위한 제도적 조건을 논의함. 이를 위해 미국 OTA(Office of Technology Assessment )의 기술영향 평가 방식과 유럽지역의 기술영향평가 방식들을 비교하고 OTA가 해체된 이후 나타난 기술영향평가 방식의 변화를 살펴보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기술영향평가가 진화해오는 과정에서 형성된 기술영향평가의 제도적 조건과 방법론을 둘러싼 쟁점들을 살펴봄 ○과학기술자사회 연구의 동향과 쟁점 에서는 과학기술자사회의 개념 및 과학 기술자사회의 형성과 관련된 이론적, 역사적 논의를 검토하는데 중점을 둠. 이를 위해 전문직업으로서 과학기술자에 대한 논의들과 과학기술자 사회에 대한 기존 논의들을 검토하고 각 국에서 전문직업으로서의 과학기술자사회가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봄. 그리고 이러한 이론적·역사적 논의에 바탕해서 후발국인 한국의 과학기술자사회를 분석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음 □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다양한 주제들을 독립적인 글로 다루고 있지만 각 주 제들을 통합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시각들이 있음. 과학기술발전과 정책결정에 대한 사용자, 수요자 중심의 관점이라고 할 수 있는 이들 시각들은 다음과 같음 ○첫째, 일반인인 시민들도 과학기술의 발전 방향과 과정에 대해 자신들의 관점을 표현하고 반영할 수 있는 권리와 능력을 가질 수 있음. 비록 시민들은 과학기술에 대한 비전문가이지만 사려 깊은(informed) 성찰과정을 통해 과학 기술이 활용되는 국지적인 상황에서 자신들이 실천을 통해 경험한 사실들을 바탕으로 과학기술의 발전 방향에 대해 발언할 수 있으며, 기술의 구체적인 설계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 그리고 사회적 자원배분이 필요한 과학기술활동에 대해 세금을 내는 이해당사자로서 관여할 수 있는 권한과 능 력이 있음 ○둘째, 시민사회의 요구들을 잘 반영하고 수용할 수 있는 기술영향평가나 시민참여 프로그램과 같은 제도적 틀을 적극적으로 구축하고 활용할 수 있을 때,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적 정당성도 제고될 수 있으며 사회적 자원배분도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음.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사회가 요구하는 과학기술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 1. 과학기술관련 의사결정구조의 변화 : 사용자와 시민 불러오기 □ 새로운 과학기술관련 의사결정 모델을 탐색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음 □ 이 장에서는 새로운 의사결정 모델들의 내용과 의의를 검토 < 사용자 주도형 기술혁신모델의 등장 > < 새로운 시민참여 프로그램의 등장 > 2 . 대중과 과학기술 : 대중의 과학이해 (PUS )와 과학기술문화시스템 < 대중과 과학기술 > < 과학기술문화시스템의 특성 > 3 . 기술영향평가의 역사와 쟁점 □ 과학기술로 인한 부작용에 대한 극복 방안의 하나로 논의되었던 기술영향평가(Technology Assessment )가 한국에서도 시행되려고 하지만 기술영향평가 범위와 내용에 대한 논의는 매우 부족함 □ 이 글에서는 기술영향평가의 역사와 쟁점을 검토함으로써 기술영향평가의 내용과 범위에 대한 공통의 인식기반을 구축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함 < 기술영향평가의 역사 > < 기술영향평가의 주요 쟁점 > 4 . 과학기술자사회 연구의 동향과 쟁점 □ 과학기술자사회가 전문가 집단으로서 과학기술 관련 사회 문제에 대해 책임있는 판단을 내리고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와 필요가 있음 □ 이 연구에서는 선진국과 후발국의 전문직 연구와 과학기술자 사회의 특징과 형성 과정에 대한 기존 논의를 정리하고 그로부터 향후 우리나라 과학기술자 사회 분석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함 < 전문직업 형성과 과학기술자 > < 과학자사회 연구 > < 후발국의 과학자사회 연구 >

      • 논문 : 디지털화에 따른 조직혁신의 전개과정 -개념적 준거틀의 개발-

        송위진,박진서 기술경영경제학회 2002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0 No.1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the Internet on the organizational innova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chnology, the entire organizational process and structure is now being restructu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ramework to help classify the organizational innovations and underst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process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wide diffusion of digital technology has affected the modularization of the organizational routines and processes. The modularization of knowledge and organization give rise to a new organizational architecture, a modular architecture. In the Fordist regime,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s were depicted as vertically integrated and tightly coupled system. The organizational processes and routines were tightly linked and integrated. However, the diffusion of Internet, which has a tendency to disassemble this tightly coupled system, has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loosely coupled and vertically disintegrated system. Eventually the modular architectures are emerging as a new organizational paradigm in the post-Fordist regime. In this study, the modes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is classified as follows. If the organizational innovation enhances both existing organizational components and the tightly coupled architecture, it is incremental innovation (Mode 1); if it destroys both existing components and the tightly coupled architecture, it is radical innovation (Mode 4); however if only the tightly coupled architecture is transformed into the modular architecture and the codification of organizational component is enhanced, the innovation is architectural (Mode 3). The last one is component innovation (Mode 2), in which existing organizational components are destroyed but tightly coupled architecture is enhanced. It is argued that the organizational innovation process follows Mode I → Mode II → Mode III → Mode IV in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