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스테인리스 박판의 CW 레이저 절단공정에 관한 기초연구

        윤정로(Jung-Lo Yoon),이수진(Su-jin Lee),송단비(Danbi Song),김륜한(Ryoonhan Kim),최광덕(Kwang-Deok Choi) 대한용접·접합학회 2021 대한용접학회 특별강연 및 학술발표대회 개요집 Vol.2021 No.5

        근 세계 각국에서는 온실가스 허용기준과 자동차 연비규정과 같은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친환경차 개발에 관심이 많아졌고, 그 중 연료전지 분리막 소재로 내부식성이 강한 스테인리스강의 정밀가공 공정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발표 논문에서는 수소 연료 전지 자동차(Hydrogen Fueled Car, FCEV) 연료전지의 핵심부품 중 하나인 분리막에 요구되는 소재의 물성과 싱글 모드 파이버 레이저에 대하여 소개하고, 싱글 모드 파이버 레이저를 이용한 스테인리스 가공 및 절단 연구 결과를 고찰한다. FCEV의 연료전지에 구성부품인 분리막을 제작에 활용될 수 있는 레이저 가공법으로서 스테인리스 소재의 절단에 대하여 기초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소재는 두께 0.075mm SUS316L로 고휘도 레이저의 반응성 및 절단 가능성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절단 속도와 출력에 따른 절단성능에 대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레이저 출력 1~3 kW, 절단 속도 100mm/s~3000mm/s 수행 후 SUS316L 소재 절단품질을 검토하였다.

      • 4차 산업혁명의 기술 동인과 산업 파급 전망

        김석관(Seok-Kwan Kim),최병삼(Byong-Sam Choi),양희태(Hee Tae Yang),장필성(Pilseong Jang),손수정(Soo J. Sohn),장병열(Pyoung Yol Jang),이제영(Jei Young Lee),김승현(SeungHyun Kim),이다은(Daeun Lee),단비(Danbi Kim),성수(Sungsoo Song)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7 정책연구 Vol.- No.-

        Sinc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as first introduced in January 2016, this new term has been rapidly adopted by the Korean policy scene and the public. But the doubts and conceptual controversies about its reality persisted for last two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lay the foundations for the related policy discussions to be made on a more sound theoretical and conceptual basis through the following works. First, we found the condi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industrial revolution from the history of industrial revolutions. Second, we redefined the technological driver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rom recent phenomena. Third, we made an outlook at what kind of industrial change this technological driver will bring and judged whether it would be a new industrial revolution. Fourth, policy implications for the respons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derived from th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industrial change. Through this work, we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we are open to the possibility that a new industrial revolution will come, but this has to be confirmed through increased productivity, and in that case it is more appropriate to call it third industrial revolution rather than fourth one. Based on the observation that there are two types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conclude that the most important challenge th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ring to Korea will be institutional innovation. In addition, 5 innovation policy agenda for accelerating digital transformation are proposed: mitigation of entry regulation, expanding data infrastructure, enhancing entrepreneurial ecosystem, launching the }R&D New Deal’, and developing SW tal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