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서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시민단체 활동가의 정서조절,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손혜선(Son Hyeseon),고서영(Ko Seoyo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시민단체 활동가의 정서 조절, 스트레스 대처 전략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은 시민단체 활동가 18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9명씩 구성하여 총 10회기를 주 2회 100분씩 5주 동안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해 실험-통제집단 사전 동질성 검증 및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정서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프로그램 참여 후 정서조절이 증가되었다. 둘째, 정서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프로그램 참여 후 대처 전략을 향상시켰다. 셋째, 정서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 참여 후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시민단체 활동가의 정서적 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고 효과적인 스트레스 대처 전략을 활용하여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밝혀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Emotional 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emotion regulatio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ith NGO activists. To this end,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18 NGO activists, 9 people each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a total of 10 session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100 minutes for 5 week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experiment-control group pre-identity verification and covariance analysis (ANCOVA)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Emotional 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increased emotional regulation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Emotional 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 improved coping strategies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Emotional 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 improved psychological well-being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Based on these studies, it is meaningful that it is an effective program to improve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NGO activists and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by utilizing effec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국내 외상 후 성장 연구동향 분석

        손혜선(Son, Hye-Seon),천성문(Cheon, Seong-Moon) 한국교육치료학회 2022 교육치료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외상 후 성장 연구의 지식구조를 파악하였다. 외상 후 성장과 관련된 국내 연구에서 2010년부터 2021년까지 게재된 연구논문들 중 301편의 논문의 키워드 1,694개를 추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extom과 UCINET 6로 분석하였고, 전체 및 시기별, 대상별 네트워크별로 키워드간 구조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전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대상, 연구방법, 주요변인인 사회적 지지, 의도적 반추, 삶의 의미 등이 연구의 핵심주제로 나타났다. 둘째, 시기별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시기 1에서 시기 2를 지나면서 연구의 방향이 개인적 변인에서 사회적 환경에 따른 외상경험에 대한 사회적 요인으로 연구의 변인이 옮겨갔으며, 종단 및 관계 연구로 연구방법이 확대되었다. 셋째, 대상별로 청소년, 성인 네트위크에서는 각각 사회적 지지, 의도적 반추, 외상경험이 동일하게 핵심주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분석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외상 후 성장 연구에 대한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knowledge structure of domestic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In a domestic study related to post-traumatic growth, 1,694 keywords of 301 papers were extracted out of the research papers published from 2010 to 202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extom and UCINET 6, and the structure between keywords was analyzed in depth by network by overall, period, and target.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ntire network,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major variables such as social support, intentional reflection, and meaning of life were found to be key topics of the study.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network by period, the direction of the study shifted from the personal variable to the social factor for trauma experience according to the social environment from period 1 to period 2, and the research method was expanded to longitudinal and relationship research. Third, social support, intentional rumination, and trauma experience were the same key topics in youth and adult netweek, respective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ese studies,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post-traumatic growth studie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