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FID 기반의 디지털 도슨트 시스템 설계 및 구현

        공은희 ( Eunhee Kong ),손철수 ( Cheolsu Son ),유남현 ( Namhyun Yoo ),이성재 ( Sungjae Lee ),김원중 ( Wonjung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2

        미술관 또는 박물관에 전시된 작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안내 책자를 배포하거나 안내원을 상주시키고 있다. 따라서 작품에 대한 정보가 수동적으로 전달되며 작품에 대한 설명을 해줄 안내 원들이 부족하다. 최근 들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외선 센서가 장착된 PDA 를 이용하여 작품을 식별하고 작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멀티미디어 형태로 제공하는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적외선 기반 작품 안내 시스템은 실외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적외선 장비의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안내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RFID 기반의 디지털 도슨트 시스템(A Digital Docent System Based on RFID)을 제안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DDS(Digital Docent System Based on RFID)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 원목 세일즈 문서, 생산 및 재고 관리 시스템에 대한 설계와 구현

        구희성 ( Heesung Koo ),손철수 ( Cheolsu Son ),김원중 ( Wonjung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9 No.1

        본 논문은 원목 세일즈 문서, 생산 및 재고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논의한다. 논문의 목적은 특수한 작업 환경, 생산부터 판매까지의 업무 처리 및 ERP 시스템인 ACCPAC 의 연동하는 시스템이다. 새로운 사업장, 판매 시장의 변화 및 전문 관리자의 부재의 경우 ERP 시스템을 활용하기가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이런 특수한 상황과 소스 데이터의 미표준화를 표준화한 인벤토리 데이터를 활용하여 판매 부서에 제공하고, 회계 소프트웨어에 자동으로 입력하여 기존 ERP 시스템을 최대한 활용하는 시스템이다.

      • 디지털 사진을 위한 위치 정보 및 음성 메모 관리 임베디드 시스템

        하수미 ( Sumi Ha ),손철수 ( Cheolsu Son ),박나연 ( Na-yeon Park ),황인문 ( Inmoon Hwang ),김원중 ( Wonjung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2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이 대중화되어 개인적으로 다수의 디지털 사진을 보관하여 관리하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사진 촬영시의 시간, 포커스, 카메라 종류 등의 추가적인 정보를 디지털사진에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 사진에 비하여 다양한 정보가 디지털 사진에 기록된다. 최근에는 사진을 촬영한 장소에 관한 정보까지도 관리하기 위하여 GPS 수신기와 연동된 카메라 또는 GPS 수신 자료 기록 장치와 연동하여 사진이 촬영된 장소를 자동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사진에 위치 정보를 태깅하는 시스템을 사용한다고 하더라고 위치 정보 이외의 상황을 기록하기 위해서 수작업으로 현장에서 기록 하거나 사진 촬영 후 기억을 살려서 기록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디지털 사진 촬영시 위치정보와 상황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디지털 사진 위치 정보 및 음성 메모 관리 임베디드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KCI등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농산물 재배관리 및 이력추적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유남현(Namhyun Yoo),송길종(Giljong Song),유주현(Juhyun Yoo),양수영(Suyeong Yang),손철수(Cheolsu Son),고진광(Jingwang Koh),김원중(Wonjung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5 No.9

        최근 군사, 의료, 환경, 산업 현장, 물류 분야 등에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와 같은 신기술을 적용한 진보된 IT융합 서비스들에 대한 연구와 시도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농업 분야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또한 실제로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농업 분야에서의 적용은 의료, 산업, 유통 분야 등과 같은 기존의 적용 환경과는 다른 고려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한 사용자(농민) 중심의 농산물 생산, 가공, 유통 및 판매가 통합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농작물의 최초 파종 단계에서부터 해당 농산물이 소비자에게 판매되기 이전까지 진행되는 모든 과정을 지원하는 통합화된 서비스이다. 사용자는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영농활동에 필요한 각종 재배력, 기상 상황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 받을 뿐 아니라, 재배되고 있는 농산물에 대한 각종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재배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영농 시설물들을 직접 혹은 원격지에서 제어하거나, 사용자가 지정한 임계값을 벗어나는 경우 자동으로 제어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농산물의 생산, 저장, 유통 및 최종 판매 단계까지 연결되고 일원화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농산물에 대한 신뢰도 및 품질의 향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Recently, there has been much research and many attempts to enhance converged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using new technology such as ubiquitous sensor networks (USN) in medical, environmental, industrial, and logistic areas. There has also been much research and various attempts to apply this new technology to agricultural areas. However, applications to the agricultural areas should be considered differently against the same areas such as medical, environmental, industrial, and logistic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at an agricultural cultivating management and traceability system. This system is a unified system that supports the processes sowing seeds through selling agricultural products to consumers. Farmers can be provided with an effective calendar for cultiv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in real time as well as the monitoring of the growth of farm products on the farm in real time using this system. Farmers can also control all equipment installed on the farm directly or remotely and the equipment can be controlled automatically when the measured values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ate from the decent criteria which are set by farmers or this system. Additionally, the reliability for and the better quality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can be improved because farmers can use this unified system to cover all processes from sowing seeds to selling to consu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