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층화확률화 응답기법에 대한 동적 최적배분

        손창균,홍기학,이기성,Son, Chang-Kyoon,Hong, Ki-Hak,Lee, Gi-Sung 한국통계학회 2009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 Vol.16 No.4

        Typically the standard optimal allocation method distributes the sample for each stratum considering survey cost. In case of varying survey cost for each survey unit, we need to consider more practical allocation method. In other word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unit, we consider the optimal dynamic allocation method which first selects the survey unit having maximum value of benefit cost ratio. In terms of this, the proposed allocation method is different from standard optimal allocation method which allocate samples for each stratum and selects the random sample according to each size of sample. This paper is considered the dynamic optimal allocation method for the stratified randomized response technique which surveys for sensitive characteristic of survey units such as drug abuse, abortion, alcoholic. We prove the practical usefulness of proposed method using the numerical example. 통상적으로 표준적인 최적배분은 층별 조사비용을 고려하여 표본을 배분한다. 만일 조사단위당 비용이 서로 다를 경우 보다 현실적인 배분방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개별 조사단위의 특성에 따라 이익비용비를 최대로 하는 단위를 먼저 표본으로 고려하는 동적배분을 고려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층별 표본수를 배분하고, 배분된 표본규모에 따라 임의로 표본을 선정하는 방식인 표준적인 최적배분과는 차이가 있다. 이 논문은 약물오용, 낙태, 알콜중독 등과 같은 민감한 특성을 조사하는 층화확률화 응답기법에 대해 각 층별로 표본을 배분할 경우 최적 동적배분을 고려하여 보다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수치적 예제를 통해 동적배분 방법의 효과성을 증명하였다.

      • KCI등재

        확률화응답모형(RRM)을 활용한 성매매조사 분석

        손창균(Chang-Kyoon Son),주재진(Jae-Jin Joo)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0

        통계조사 또는 실태조사는 ‘어떤 조사자가?’, ‘어떤 목적으로?’, 그리고 ‘어떻게?’ 작성되었는가에 따라 왜곡의 가능성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심지어는 통계결과는 ‘거짓말’ 더 나아가서 범죄 또는 비행 등에 관한 통계는 ‘새빨간 거짓말’로 불리기도 한다. 범죄나 비행에 관한 통계를 신뢰하지 못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를 들 수 있겠지만 그 중 대표적인 원인중의 하나가 숨은 범죄(Hidden Crime) 또는 형사사법기관에 보고되지 않는 범죄(Unreported Crime)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숨은 범죄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피해자조사 또는 자기보고식 조사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범죄의 유형에 따라 과소보고 또는 과대보고의 문제가 있다. 범죄와 비행 그리고 일탈행동에 대한 조사는 매우 민감한 사항들이기 때문에, 조사대상자들은 심리적 부담을 가지게 된다. 이처럼 조사대상자들의 경험을 밝히는 것이 부담스러운 민감한 내용에 대해 진실한 답변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으로 통계학 분야에서 확률화응답모형(randomized response model)이 개발되어 사용되어왔다. 이 기법은 피해자조사 또는 자기보고식 조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범죄학 분야의 조사에서 사용된 경우는 매우 적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범죄학 분야연구에 있어 확률화응답모형의 적용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확률화응답모형을 활용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성매매에 대한 내용을 실제로 측정해 보고, 확률화응답모형의 유용성을 확인해 보았다. It is true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distortion in the statistical surveys or actual surveys depending on which investigator, what purpose, and how research method. Even statistical results are more likely to be ‘lying’, and statistics on crime or delinquent are sometimes referred to as ‘whopper’. There are many reasons for not trusting statistics on crime or delinquent, but one of the main causes is the existence of a hidden crime or an unreported crime. In order to overcome these hidden crime problems, victim surveys or self-report surveys are being used. However, this method also has the problem of underreporting or overreporting depending on the type of crime. Because investigations into crime, delinquency, and deviant behavior are very sensitive, the subjects have a psychological burden. A randomized response model has been developed and used in the field of statistics as a way to induce a true answer to the sensitive content which is burdensome to reveal the experiences of the survey subjects. This technique is a very useful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victim surveys or self-report surveys. Nevertheless, there are very few cases in the field of criminology in Korea. Therefore, in order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randomized response model in the field of criminology, this study used the randomized response model to actually measure the content of prostitution for college student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randomized response model was confirmed.

      • KCI등재

        보리, 밀, 감자, 고구마, 콩, 옥수수, 이탈리안라이글라스 작물재배 농가 조사를 위한 표본설계

        손창균(Chang Kyoon Son),홍기학(Ki Hak Hong),이기성(Gi Sung Lee)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6

        본 논문에서는 보리, 밀, 감자, 고구마 등 7종의 작물에 대한 수요자 맞춤형 품종별 기술개발을 위해 작물별로 주요 재배 지역을 선정하여 표본조사를 통해 작물의 품종별 통계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표본설계방안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농가별 면접(전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작물별 재배 면적과 재배규모 등을 추정하여 농가 보급중인 품종의 보급성과를 분석을 통해 작물에 대한 기초자료를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체 조사대상 13종의 작물 중에서 본 논문에서는 7종의 작물에 대해 2021년 기준 농업 경영체 DB를 모집단으로고려하여, 각 작물별 재배면적을 기반으로 작물별 기후 특성에 따른 주요 재배지역을 선정하고, 주요 생산지별로 작물별 재배면적에 따라 층화하고, 약 1,200개 농가를 전수 층과 표본 층으로구분하여 비례배분, 네이만배분, 멱등배분 등을 고려하여 층별로 상대표준오차의 변동이 작은 멱등배분으로 표본 농가를 배분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표본농가에 대한 가중치 조정과 추정 과정을제안하였다. In this paper, sample survey is considered for each crop to develop technologies tailored to the consumer for seven crops, including barley, wheat, potato, sweet potato, bean, corn and Itailan ryegrass to estimate the cultivation area and scale of cultivation for each crop, and to determine the spread and performance of varieties currently being distributed to far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nerate basic data base or crops by estimating the cultivation area and cultivation scale for each crop based on the results of interviews (telephone) surveys by farmhouse and analyzing the dissemination performance of the varieties being distributed to farmhouses. Among the 13 crops surveyed, this paper considers the 2021 farm management DB for 7 crops as the population, selects major cultivation areas according to the climate characteristics of each crop based on the cultivation area for each crop, Stratified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area for each crop by major production area, and about 1,200 farms were divided into a total layer and a sample layer, and the proportional distribution, Neiman distribution, and idempotent distribution were considered. Sample farm households were distributed. Finally, the weight adjustment and estimation process for sample farms were presented.

      • KCI등재

        벼, 팥, 들깨, 땅콩 작물 재배 농가 조사를 위한 표본설계

        손창균(Chang Kyoon Son),홍기학(Ki Hak Hong),이기성(Gi Sung Lee) 한국자료분석학회 202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6 No.1

        본 논문에서는 2022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농진청의 “수요자 맞춤형 품종육성지원 기술개발을 위한 작목 품종별 재배현황 통계구축연구”의 일환으로 벼, 팥, 들깨, 땅콩 등 4종의 식량작물에 대해 농가별 재배면적과 재배농가에 대한 통계를 과학적으로 산출하여 농가에 보급중인 작물품종에 대한 기초자료를 생성하기 위한 표본설계내용을 제시하였다. 2023년 전체 조사대상 15개 작목 중에서 주요 식량작물인 4종의 작물에 대해 2022년 기준 농업 경영체 데이터베이스를 모집단으로 고려하여, 각 작물별 재배농가 규모를 기반으로 주요 작물생산지역을 선정하고, 주요 산지별로 재배면적에 따라 층화하였다. 각 작물별로 재배 면적에 대해 전수 층과 표본 층으로 구분하였으며, 표본규모는 약 1,500개 농가를 비례배분, 네이만배분, 멱등배분 등을 고려하여 층별로 기대목표오차 값이 안정적으로 나타난 멱등배분을 적용하여 표본 농가를 배분하였다. 마지막으로 작물별 통계산출을 위해 모집단 농가를 기준으로 가중치 조정을 실시하고, 각 작물 및 품종에 대한 총계와 평균 추정량을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as part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s “Statistical Research on Cultivation Status by Crop Breed for Development of Consumer-Customized Breed Support Technology,” which is being carried out from 2022, we focused on the scientific estimation of statistics related to the cultivation area and households engaged in cultivating four food crops including rice, red beans, perilla seeds, and peanuts. In the 2023 survey, we deal with four major crops among the total of 15 subjects, which are considered key food crops. By the 2022 agricultural management database (DB) as the population, we selected major cultivation areas based on the scale of cultivation households for each crop. For each crop, we distinguished between the entire stratum and the sample stratum concerning the cultivation area. The sample size, approximately 1,500 households, was allocated using proportional allocation, Neyman allocation, and, notably, employing a power allocation method that ensured stable expected target error values for each stratum, known as power allocation. Subsequently, for the calculation of crop-specific statistics, we conducted a weight adjustment based on the population of households in the database. The results include estimates for the total and average quantities for each crop and variet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