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ZnSe/GaAs 이종접합 구조의 photoreflectance 연구

        손정식,문병연 경운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2 産業技術硏究論文誌 Vol.5 No.1(A)

        We have studied the interface characteristics of undoped ZnSe/GaAs heterostructure, resulting from the strain between ZnSe and GaAs, using photoreflectance (PR) spectroscopy. For PR spectra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the two peaks were observed at about 1.4 eV GaAs bandgap region originating from ZnSe/GaAs and GaAs/SI-GaAs interfaces and the shoulder peak was observed at about 2.7 eV ZnSe bandgap region originating from the separation between heavy hole and light hole. we could be determined the origin of two different features observed in the PR spectra by combining in-phase and out-phase measurements of Lock-in amplifier. From PR result, we knew that ZnSe epilayer was partially relaxed due to thick layer thickness over than the critical layer thickness (CLT) and the stress effect caused by these layer relaxation affected the ZnSe/GaAs heterointerface more than the interface of GaAs buffer/SI-GaAs substrate.

      • KCI등재

        사회적 배제(Social exclusion)와 수혜자의 표정이 공익광고 평가에 미치는 효과: 뒤센 미소(Duchenne smile)와 슬픈 표정을 중심으로

        손정식,이병관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7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social exclusion and facial expression on consumer responses to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Participants were primed with social exclusion(social inclusion) and evaluated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which includes recipient’s facial . Results indicate that social exclusion group showed non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 toward the ad, attitude toward the public organization and donate behavior between duchenne smile and sad face conditions. However, social inclusion group report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d and attitude toward the public organization in sad face condition than in the duchenne smile condition. Finding show that in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context, reconnection motivation of social exclusion may lead to diminishing effect in facial expression.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 social exclusion and recipient’s facial expression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 성향과 공익 광고 속 수혜자의 표정이 광고 및 단체 평가 그리고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실험에서 사회적 배제 조건과 사회적 수용 조건을 에세이 과업을 통해 점화한 후, 뒤센 미소와 슬픈 표정의 수혜자가 등장하는 공익광고를 제시한 후 광고 및 기관 평가, 기부의도를 평가하게 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배제의 경우 표정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사회적 수용 조건의 경우는 기부 의도를 제외하고 광고 및 기관 평가에서 슬픈 표정에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이를 통해서 사회적 배제 성향과 수혜자 표정이 공익광고 평가에 미치는 요인들을 중심으로 연구의 실무적 영역과 추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3D TV 근거리 시청에 따른 사위도와 조절성폭주비 평가

        손정식,김동수,김정호,김재도,Hamacher Alaric Carl,유동식 한국안광학회 2015 한국안광학회지 Vol.20 No.3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changes of phoria and calculated AC/A ratio, and their recovery time points by watching 3D television (3D TV). Methods: 50 subjects (male 30, female 20) of 20s to 40s ages who can watch 3D, were measured phoria using a Howell phoria card at 3 m for distance and 40 cm for near. The phoria was evaluated before watching 3D TV and every 10 minutes from starting of watching 3D TV for 30 minutes, and every 5 minutes after finishing of watching 3D TV for 30 minutes again. Results: For the distance phoria during and after watching 3D TV, it was increased to more exophoria −0.98±1.37 Δ (prism diopters) after 10 minutes from starting of 3D TV watching (p=0.063) and increased to more exophoria −1.00± 1.28 Δ after 30 minutes (p=0.024), and started to decrease after finishing of watching 3D TV and recovered to the level of before 3D TV watching (−0.78±1.11 Δ) after 20 minutes (p=0.32) with comparing to phoria of before watching 3D TV (−0.80±1.12 Δ). For the near phoria, it was also increased to more exophoria −5.71±4.45 Δ after 10 minutes from starting of watching 3D TV (p=0.000) and −6.58±4.36 Δ after 30 minutes (p=0.000), and started to decrease after finishing of watching 3D TV and recovered to the level of before watching 3D TV after 20 minutes (−4.34±3.67 Δ) (p=0.32) with comparing to the phoria of before watching 3D TV (−4.36±3.66 Δ). AC/A ratio was decreased from 4.92±1.17 Δ/D for before 3D TV watching to 4.11±1.50 Δ/D for after 30 minutes from starting of watching 3D TV (p=0.000), and increased after the end of watching 3D TV and recovered to the level of before 3D TV watching (4.93±1.18 Δ/D) after 25 minutes (p=0.598). Conclusions: During watching 3D TV at near, it showed a tendency of convergence insufficiency by decrease of calculated AC/A ratio as result that exophoria at near was higher increased than exophoria at distance. However, the increased exophoria at both near and distance was recovered to the level of base line after 25 minutes from the end of watching 3D TV. Through this study, it seems to need rational proposals of advice for watching 3D TV. 목적: 3D TV의 근거리 시청에 따른 사위와 조절성폭주비의 변화와 회복 시점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3D TV 시청이 가능한 20~40대의 50명(남 30명, 여 20명)을 대상으로 하웰(Howell) 사위 카드를 사용하여 원거리(3 m)와근거리(40 cm)에서 사위도를 측정하였다. 시청 거리는 1 m이며 시청 전, 시청 시간 30분 동안 10분 간격으로, 시청이후 30분 동안 5분 간격으로 사위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3D 영상 시청의 원거리 사위도 변화는 3D영상 시청 전−0.80±1.12 Δ과 비교하여 10분, 30분 후 각각 −0.98±1.37 Δ(p=0.063), −1.00±1.28 Δ(p=0.024)로 외사위 경향으로증가하였으며, 영상 시청 종료 후에는 외사위도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20분 이후에는 −0.78±1.11 Δ로 시청 전 사위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p=0.322). 근거리 사위도 역시 영상 시청 전 −4.36±3.66 Δ과 비교하여 10분, 30분 후 각각 −5.71±4.45 Δ(p=0.000)과 −6.58±4.63 Δ(p=0.000)으로 외사위 방향으로 증가하였으며, 영상 시청 종료 후에는외사위도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25분 이후에는 −4.34±3.67 Δ로 시청 전 사위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p=0.322). 조절성폭주비는 영상 시청 전 4.92±1.17 Δ/D과 비교하여 영상시청 30분 후 4.11±1.50 Δ/D로 낮아졌으며(p=0.000), 영상 시청 종료 후에는 증가하기 시작하여 25분 후 4.93±1.18 Δ/D으로 시청 전으로 회복되었다(p=0.598). 결론: 근거리 3D TV 시청 시에 원거리보다 근거리의 외사위도가 더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조절성폭주비는 낮아져폭주부족의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시청 후 25분 후에는 증가된 원거리와 근거리의 외사위도 모두 시청 전의 상태로 회복되었다. 따라서 3D TV 시청에 관한 합리적인 시청 권고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