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막투석 환자에서 간농양에 동반된 Klebsiella pneuoniae 복막염 1예

        안승재 ( Seoung Jae An ),김정섭 ( Jung Sub Kim ),손정민 ( Jung Min Son ),성은영 ( Eun Young Seong ),송상헌 ( Sang Heon Song ),이동원 ( Dong Won Lee ),이수봉 ( Soo Bong Lee ),곽임수 ( Ihm Soo Kwak ) 대한신장학회 2010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9 No.1

        A 42-year-old male was hospitalized with abdominal pain, dyspnea, and turbid peritoneal fluid. He was diagnosed with hypertension, diabetes and started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CAPD) 11 months ago. He was treated with intraperitoneal cefazolin and ceftazidime, and then white blood cell counts of dialysate decreased. Incidentally, liver abscess was found in chest CT performed for the evaluation of dyspnea, and patient was febrile persistently. So percutaneous abscess drainage was done by pigtail catheter. We changed the antibiotics to ceftriaxone and metronidazole, and hemodialysis was started. Klebsiella pneumoniae was cultured from peritoneal fluid and blood simultaneously. We concluded that liver abscess is a primary cause of CAPD peritonitis.

      • KCI등재후보

        만성 실질환 환자에서 허혈성 심질환에 대한 좌심실 이완기능 장애의 영향

        최보경 ( Bo Kyung Choi ),이경남 ( Kyung Nam Lee ),황인혜 ( In Hye Hwang ),김일영 ( Ii Young Kim ),이하린 ( Ha Rin Rhee ),성은영 ( Eun Young Seoung ),송상헌 ( Sang Heon Song ),이동원 ( Dong Won Lee ),이수봉 ( Soo Bong Lee ),곽임수 대한내과학회 2012 대한내과학회지 Vol.83 No.3

        목적: 만성 실질환 환자에서 허혈성 심질환은 주된 사망 원인으로, 이와 연관된 위험인자를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은 중요하다. 허혈성 심질환과 관련된 심장의 구조적인 변화 중특히 좌심실 이완기능 장애는 최근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예후 또한 불량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만성 실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심초음파를 이용하여 좌심실 이완기능 장애를 진단하고, 좌심실 이완기능 장애가 사망률 및 허혈성 심질환의 발생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0년 5월까지 본원에서 심초음파를 시행한 만성 실질환 환자 중, 좌심실 구혈률이 55% 미만, 중등도 이상의 판막질환이 있는 환자와 관찰기간이 6개월 미만인 환자를 제외한 7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지표들은 의무기록 조사를 통해 수집하였고, 심초음파 검사, 혈액검사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ROC curve를 이용한 허혈성 심질환과 연관된 좌심실 이완기능 장애의 진단 기준값은 E/E` = 15.55 (sensitivity: 100%, specificity: 64.7%, p = 0.005), E/A = 0.79 (sensitivity: 84.6%, specificity: 55.9%, p = 0.006)였다. 이 값을 기준으로 E/E` > 15.55, E/A > 0.79인 19명을 좌심실 이완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군, Group I으로 지정하였고, 그 외 나머지 환자 52명을 Group II로 나누었다. 심초음파에서 Group I의 E/A, DT, E/E`값은 각각 1.27, 184.21, 19.08이었고 Group II에서는 0.73, 225.19, 13.58이었다(E/A, p < 0.001; DT, p = 0.017; E/E`, p <0.001). 좌심실 이완기능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였고 연령, 허혈성 심질환의 병력, 낮은 혈색소 수치, 높은 저밀도 지단백 수치가 관련이 되었다. 또한 허혈성 심질환을 야기시키는 위험인자를 분석하였을 때는 좌심실 이완기능 장애, 흡연, 높은 저밀도 지단백 수치, 높은 부갑상선 호르몬수치가 상관관계가 있었다. 좌심실 이완기능 장애와 사망률 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보면, 전체 사망률은 Group I, II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p = 0.177), 허혈성 심질환을 나타내는 disease free survival로 비교하면 Group I이 Group II보다 의미있게 생존율이 감소하였다(p = 0.001). 결론: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좌심실 수축기능이 정상이라도 E/E` > 15.55, E/A > 0.79인 중등도 좌심실 이완기능 장애를 가진 환자는 허혈성 심질환의 발생률이 높았다. Background/Aims: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are commonly seen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CKD). Recently, the prevalence of left ventricular diastolic dysfunction (LVDD) has increased, and the importance of LVDD has emerged in patients with CK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diagnostic criteria for LVDD related to ischemic heart disease (IHD) and evaluate the prognostic impact of diastolic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CKD. Methods: A total of 71 patients with CKD who were evaluated between January 2005 and May 2010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se patients were evaluated by conventional echocardiography and tissue Doppler imaging (TDI) for diastolic dysfunction. Results: Diagnostic cutoff values for LVDD related to IHD were E/E` = 15.55 (sensitivity: 100%, specificity: 64.7%, p = 0.005) and E/A = 0.79 (sensitivity: 84.6%, specificity: 55.9%, p = 0.006), Group I consisted of 19 patients with an E/E` > 15.55 and E/A > 0.79. Group II consisted of the remaining patients. Factors contributing to LVDD were age, history of ischemic heart disease, anemia, and high low-density lipoprotein (LDL) level. Factors contributing to IHD were LVDD, smoking, high LDL level, and high parathyroid hormone (PTH) level. The disease-free survival for IHD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I compared to group II (p= 0.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survival between groups I and II (p = 0.177). Conclusions: Our study showed that moderate LVDD (E/E` > 15.55 and E/A > 0.79) in patients with CKD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H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