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오메가-3, -6 지방산 고 함유 급이가 돼지 등심의 지방산조성과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설국환(Kuk-Hwan Seo),김기현(Ki Hyun Kim),주범진(Bum Jin Joo),김조은(Jo Eun Kim),김광식(Kwang-Sik Kim),김영화(Young Hwa Kim),박준철(Jun Cheol Park),이무하(Mooha Lee)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4 농업과학연구 Vol.41 No.3

        본 실험은 비육돈 사료 중 오메가-3와 오메가-6 지방산의 증가가 돈육 등심 내 지방산 조성과 돈육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사료 중 유지의 조성은 대조구(우지5%), 아마인유(5%), 홍화씨유(5%) 및 혼합유(아마인유2.5%+홍화씨유2.5%)를 배합하여 비육기 삼원교잡돼지(LYD)에 4주간 급여하였다. 돼지 등심의 지방산 조성은 아마인유처리구(T1)에서 linolenic acid의 함량이 2.35±0.21%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홍화씨유처리구(T2)에서 linoleic acid의 함량이 35.26±1.9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Oleic acid의 함량은 대조구(C)에서 21.59±1.85%로 가장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전체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양은 홍화씨유처리구(T2)가 47.80±1.29%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p<0.05), n-6:n-3 비율은 11.57±0.90으로 아마인유처리구(T1)가 가장 낮은 값을 보였던 반면, 홍화씨유급여구(T2)는 오메가-6 지방산의 함량이 높아져서 37.56±12.51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p<0.05). 돈육의 pH와 명도, 적색도는 시험유지급여에 따른 변화가 없었으나, 황색도는 홍화씨유처리구(T2)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또한 보수력과 가열감량에 있어서도 시험유지의 급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p>0.05) 다가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시험유지의 급여가 돈육의 육질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식물성유지의 급여를 통해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소비자들로부터 각광받고 있는 오메가-3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n-6:n-3 비율이 권장되는 값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므로(11.57:1) 추후 이 비율을 낮추는 사양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high n-3 or n-6 diet on free fatty acid profile and meat quality traits of pork loin. The 20 heads of commercial Landrace × Yorkshire × Duroc (LYD) crossbreed pigs (90.9±2.4BWkg)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added fat and oils, such as 5% tallow (Control), 5% linseed oil (T1), 5% safflower oil (T2), and mixture of linseed oil (2.5%) + safflower oil (2.5%) (T3), then reared 4 weeks. Pork loins were taken after slaughter, then sliced in 2 cm thickness and put in low-density polyethylene (LDPE) bag for analysis. T1 showed significantly high concentration of linolenic acid (2.35±0.21%) (p<0.05). The total amount of saturated fatty acids (SFA),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was significantly high in T1 (36.05±1.18%), C (22.60±2.11%) and T2 (47.80±1.29%), respectively (p<0.05). However, the ratio of n-6:n-3 was significantly low in T1 (11.57±0.90) than that of T2 (37.56±12.51) (p<0.05). There was no signigicant difference in lightness, redness, pH, water holding capacity and cooking loss between treatments (p>0.05). However, the yellowness of T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s (p<0.05). From those results, it was considered that feeding high n-3 and n-6 fatty acid diet to pig enables modify fatty acid profile of pork without any side effect on meat quality.

      • SCOPUSKCI등재

        한우 거세 1<SUP>+</SUP>등급육의 대·소분할 부위별 일반성분, 무기질 및 비타민 조성

        조수현(Soohyun Cho),최용민(Yongmin Choi),설국환(Kuk-Hwan Seol),강선문(Sun Moon Kang),Hoa Ban Va,김윤석(Yoon-Seok Kim),김진형(Jin-Hyoung Kim),성필남(Pil-Nam Seong),문성실(Sung-Sil Moon),서현우(Hyun-Woo S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우고기 거세 1<SUP>+</SUP>등급육의 10개 대분할과 37개 소분할 부위에 대한 칼로리, 일반성분, 비타민 및 무기질 조성을 조사하여 소비자들에게 부위별 기초 영양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10개 대분할육 간 비교에서 등심, 채끝, 양지와 갈비는 에너지 함량(288.17~336.41 kcal) 및 지방 함량(23.61~29.36%)이 다른 부위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단백질 함량은 우둔육(22.14%)이 가장 높았고 갈비(16.05%)가 가장 낮았다(P<0.05). 10개 대분할육에 포함된 각 소분할육 간의 특성 비교는 다음과 같았다. 대분할 등심육 내 살치살은 에너지, 지방, 콜레스테롤 함량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P<0.05). 대분할 우둔육과 설도육 내에서 단백질 함량은 보섭살과 설깃살이 다른 소분할 부위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지방 함량은 설깃머리살과 삼각살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대분할 갈비육 내에서 제비추리는 수분, 단백질, 회분 함량이 가장 높았고, 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은 가장 낮았다(P<0.05). 철은 우둔(우둔살 2.64 mg), 설도(보섭살 2.87; 설깃머리살 2.75; 도가니살 2.86 mg), 양지(양지머리살 2.40; 업진안살 2.44; 치마살 2.46; 앞치마살 2.31 mg), 갈비(토시살 3.38; 안창살 3.25 mg)가 높았다(P<0.05). 티아민 함량은 설도육 0.062 mg으로 가장 많았고 리보플라빈 함량은 안심육이 0.231 mg으로 가장 많았다(P<0.05). 판토텐산 함량은 사태육이 2.89 mg으로 가장 높았다. 이러한 한우고기의 부위별 영양성분 분석 결과는 소비자들이 한우고기 섭취를 위한 부위 선택 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utritional composition (e.g., calories, vitamins, and minerals) of 10 primal cuts and 37 retail cuts of 1<SUP>+</SUP> grade Hanwoo beef. Out of 10 primal cuts, loin, striploin, brisket, and rib cuts had the highest energy (288.17∼336.41 kcal) and fat (23.61∼29.36%) content. Significantly lower and higher protein content was found in the ribs (16.05%) and top round (22.14%),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other cuts in the 10 primal cuts studied. An analysis of the retail cuts in each primal cut showed that the chuck flap had significantly higher energy, fat, and cholesterol than the loin cut. While studying the top round and bottom round cuts, no significant variations were observed among the retail cuts in terms of the energy and cholesterol content but higher protein content was found in the rump (21.82%) and the outside round (21.50%) and higher fat content in the outside round head (13.81%) and the tri-tip (13.74%). In the rib cuts, the neck chain was higher in protein (21.13%) and lower in fat and cholesterol than the other retail cuts. Among the primal cuts studied, the top round (top inside round, 2.64 mg), bottom round (rump, 2.87; outside round head, 2.75; knuckle, 2.86 mg) and ribs (hanging tender, 3.38; outside skirt, 3.25 mg) had significantly higher iron content than the other retail cuts in the same primal cuts. A study of the vitamin content showed that the highest thiamin, riboflavin, and pantothenic acid levels were found in the bottom round (0.062 mg), tenderloin (0.231 mg), and shank (2.89 mg) among 10 primal cuts, respectively. These results would be helpful in selecting retail cuts of Hanwoo beef based on nutritional information.

      • KCI등재

        한우고기 육질등급 선호도에 따른 구매성향 특성 분석연구

        조수현(Soohyun Cho),신정섭(Jeong-Seop Shin),설국환(Kuk-Hwan Seol),김윤석(Yoon-Seok Kim),강선문(Sun-Moon Kang),서현우(Hyun-Woo Se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3

        쇠고기 소비트랜드는 소비자 요구와 선호도 등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우고기 구매 소비자를 대상으로 구매성향 및 선호도 조사를 통해 쇠고기 등급제 보완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대상자는 2017년 7월 24일부터 8월 14일에 걸쳐 서울, 경기도 및 5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고, 무응답 등을 제외하고 최종 362명 데이터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1등급 선호집단의 구매빈도 증가에는 마블링 형태가, 1+등급에서는 지방색이, 1++등급에서는 소득, 등급제 개선 의견, 마블링 함량, 마블링 형태가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선호등급이 없는 집단에서는 구매빈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합적으로 살펴볼 때 구매빈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집단별로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소도체 등급기준은 축산농가 및 산업체의 경제적 이익과 소비자 구매력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 매우 중요한 제도이기 때문에 생산자와 소비자 의견을 적절하게 반영하여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방향으로 앞으로도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eef consumption trends are changing according to consumer needs and preferenc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fundamental information by investigating the consumer’s preference and purchase propensity of beef(Hanwoo beef) for improvement of Korean beef grading system. Consumers were recruited from Seoul, Gyeonggi-do, and 5 metropolitan cities, and surveyed from July 24 ~ August 14, 2017. The data obtained from 362 consumers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verification process. Results from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 that the increased purchasing frequency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following factors, in the consumer group showing preference in the Quality Grade (QG) of beef: marbling type 1QG, fat color 1+QG, and income, grade opinion, marbling contents and type 1++QG. Conversely, no factor affected the increased purchasing frequency in the consumer group having no preferred QG for beef (p>0.05). Our study determin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tors affecting increased purchase frequency of beef among the different groups, classified depending on their preferred QG. The grading system is important since it directly correlates with profit for livestock farmers and the industry. We therefore propose that the grading criteria need to be revised reasonably but scientifically, considering various opinions of the producers and consu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