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병원 중간관리 간호사의 영적성장 체험

        서임선(Im Sun Seo),용진선(Jinsun Yong) 영성과 보건복지학회 2020 영성과 보건복지 Vol.7 No.1

        본 연구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을 이용하여 병원 중간 관리 간호사가 체험한 영적 성장의 본질을 탐구하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c대학병원에 근무 중인 중간관리 간호사로서 8주간의 영성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 (Spirituality 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에 참여한 대상자 중 적절한 과제수행과 꾸준한 개인적 성장을 보여 온 13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기간은 2009년 6월부터 2011년 3월까지로 연구 자료는 참여자가 작성한 개인 일지와 체험 수기 및 참여자와의 심층 면담내용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병원 중간관리 간호사들이 경험한 영적 성장의 의미는 "삶을 변화시키고 싶은 갈망(Aspi rati on for changing life)", "영적 훈련(Spiritual training)", "영적 깨어남(Spiritual awakening)", "본질적 삶을 위한 고뇌(Struggling for essential life)", "영적 성숙으로 나아감(Spiritual maturing)", "평화롭게 살아감(Peaceful living)" 의 6가지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영적 성장에 대한 체험은 일련의 단계적 과정을 반복적으로 순환하며 나아가는 나선형적 순환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성찰과 실행을 반복하며 점진적으로 나아가게 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간호사의 영적 성장은 영적 돌봄과 간호의 돌봉 예술을 실현할 수 있는 하나의 역량으로 이해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임상에서 간호사의 영적 성장을 촉진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중재가 적용되어 간호의 돌봄 역량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spiritual growth in hospital middle manager nurses and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hermeneutic phenomenology by applying van Mana n's research method. Thirteen participants were enrolled this study and have been worked at C university hospital for an average of 147.9 months. They all completed spirituality 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for eight-weeks and have constantly practiced holy name repetition.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une 2009 to March 2011,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participant 's daily record, autobiography and semi- structured interviews. The lived experience themes of spiritual growth in middle manager nurses were extracted as "Aspiration for changing life", "Spiritual training", "Spiritual awakening", "Struggling for essential life", "Spiritual maturing", "Peaceful living". In conclusion, the experience of spiritual growth occurs as a gradually ascending spiral through repeated reflection and execution. Spiritual growth in middle manager nurses was integrated with their nursing care and have on effect competency to actualize spiritual care and "Art" of nursing .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various intervention should be adapted in clinical setting to increase spiritual growth in nurses.

      • KCI등재

        간호리더십 교과목에 적용한 디자인씽킹 교수학습법의 효과

        서임선(Seo Im 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본 연구는 간호리더십 교과목에 디자인씽킹 교수학습법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는 2019년 9월 5부터 2019년 11월 15월까지 G지역 소재의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에게 실시되었으며, 분석 자료는 최종 디자인씽킹 교수법을 적용한 실험군 25명과 이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 24명으로부터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두 군 간의 동질성 검정은 카이제곱 검정과 independent t-test를, 교수학습법 적용 전후 실험군과 대조군 내에서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고, 교수법 적용 후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변화 차이는 Mann 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다. 디자인씽킹 교수학습법을 적용한 결과 비판적사고성향은 실험군(p=.001)과 대조군(p=.004) 모두 사후 조사에서 향상되었으나, 팀 효능감(p=.004)과 문제해결과정(p=.055)은 실험군에서만 향상된 경향을 보였다. 교수학습법 적용 후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변화 차이는 비판적사고성향(p=.018)에서만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높게 상승되었다. 디자인씽킹과 같은 창의적 문제해결 기법을 저학년에서부터 반복적으로 적용하여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design thinking teaching method to the Nursing Leadership course.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September 5, 2019 to November 15, 2019 to a nursing college student in a G area. Data were collected form 25 experimental group and 24 control group using on-line questionnaires. The homogeneity test between the two groups was analyzed by the chi-square test and the independent t-test, and the difference within th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 was analyzed as the paired t-test. and the difference in change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applying the teaching method was analyzed by Mann Whitney U Test. As a result of applying the design thinking teaching method,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improved in the post-study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p=.001) and the control group (p=.004), but the team efficacy (p=.004) and problem solving process (p=. 055) improved only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difference in change between the two groups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only i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018). There is a need for a teaching-learning strategy that can improve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future society by repeatedly applying creative problem-solving techniques such as design thinking from the lower grades.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소명의식, 간호사이미지, 전공만족도 및 자기효능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이규은(Lee, Kyu Eun),서임선(Seo, Im Sun) 한국간호교육학회 2022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calling, nurse’s image, satisfaction in major, self-effica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nd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using convenience sampling.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online questionnaires completed by 358 nursing students in G c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Win 25.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of nursing professionalism was 3.56±0.55 out of a possible 5. Nursing professionalism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calling (r=.51, p<.001), nurse’s image (r=.53, p<.001), satisfaction in major (r=.65, p<.001) and self-efficacy (r=.20, p<.001). In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atisfaction in major (β=.44, p<.001), nurse’s image (β=.26, p<.001), calling (β=.21, p<.001), self-efficacy (β=.14, p=.002) and servable occupation (β=.15, p=.020) were significant predictors and explained 51% of nursing professionalism.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factors that influence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nursing professionalism education programs need to include factors that improve calling, nursing image, satisfaction in major and self-efficacy.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진경(Park Jin Kyoung),서임선(Seo Im Sun),김희숙(Kim Hee 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7년 3월부터 6월까지 C, G, I 지역 소재의 3개 대학교의 간호대학생 717명에게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제 변수별 기술통 계와 상관관계 분석, 일반적 특성과 형식적 교육에 따른 다문화 효능감의 평균차이 검증과 사후검증을 수행하였고,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는 다문화 인식의 하위영역인 인지적 요소(p=.001), 의식적 요소(p<.001), 행동적 요소(p<.001), 형식적 다문화 교육 중 대학전공과목(p=<.001), 대학교양과목 (p=.004),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의 하위 영역인 외국어를 통한 경험(p=.049), 학년 (p<.001)이였으며, 이들 변수들의 설명력은 39.1%였다. 향후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을 높이기 위하여 대학 내 다문화 관련 전공 및 교양 교과목을 개발 및 적용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ulticultural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717 nursing college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C, G, I area from March to June, 201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mean difference of multicultural effica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 of formal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variables influencing multicultural efficacy. The variables affecting the multicultural efficac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nclude subcategories of multicultural awareness(cognitive( p=.001), affective(p<.001), behavioral(p<.001)), experience of formal multicultural education(college major(p=<.001), college cultural(p=.004)), experience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p=.049) in informal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study grade(p<.001). The adjusted R 2 of these variables was 39.1%. In order to increase the multicultural efficac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multicultural education in nursing curriculum of formal and liberal arts courses.

      • KCI등재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진경(Park Jin Kyoung),서임선(Seo Im 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0

        본 연구는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사고 성향,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 환자안전에 대한 자신감 및 환자안전관리 행위 수준을 조사하고 환자안전관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수행을 위한 자료는 2018년 3월부터 6월까지 I지역과 G지역의 2개 대학 간호학과 3학년과 4학년 학생 227명으로부터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조사결과 대상자의 비판적사고 성향은 3.64점,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은 4.95점,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는 3.49점, 환자안전에 대한 수행자신감은 4.09점, 환자안전관리 행위 점수는 4.29점이었다.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 및 환자안전에 대한 수행자신감 이었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환자안전관리 행위를 33.3%(p<.001) 예측하였다. 환자안전관리 행위는 임상 실무에서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으므로 학부과정에서도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수행 자신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knowledge of patient safety, attitude of patient safety, confidence of patient safety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PSMA), and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n PSMA of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227 nursing students in third and fourth year at nursing colleges located in Incheon and Gangwon province from March to Jun in 2018. The level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3.64, knowledge of patient safety was 4.95, attitude of patient safety was 3.49, confidence of patient safety was 4.09 and PSMA was 4.29. Influencing factors on PSMA of nursing students were gender, attitude of patient safety and confidence of patient safety. The factors predicted PSMA as 33.3%(p<.001).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re increasingly emphasized in clinical practice,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atic curriculum that can increase knowledge, attitude and self-confidence.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병리검사 처방오류 개선 시스템 구축

        이현임,최영진,구숙희,양승주,김병로,김묘정,신일근,신미옥,서임선 한국의료QA학회 2006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13 No.2

        문제: 조직병리검사의 처방이 복잡하고 전문화됨에 따라 오류처방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이를 해결하기위한 프로세스가 복잡하여 부서간의 갈등과 업무의 가중, 또한 병원 수입 감소가 초래되었다. 목적: 발생된 오류처방의 유형과 발생율, 오류처방을 해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업무의 효율성과 관련부서간의 부가업무 감소와 갈등해소, 더불어 병원수익을 향상시키는 것에 목표를 두고 활동하였다. 의료기관: 서울시에 소재한 종합병원 질 향상 활동: 조직병리검사 처방의 오류처방 발생 원인과 유형, 발생율을 조사하여 원인을 파악하고 개선을 위한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질 향상을 도모하였다. 개선효과: 수술실에서 의뢰한 외과 입원환자의 일반조직병리검사 오류율은 개선 전 7.8%에서 개선 후 3.5%, 동결절편조직검사 오류율은 개선 전 28.6%에서 개선 후 0%로 이전보다 모두 개선되었다. 또한 수술실 간호사의 업무 만족도는 일반조직병리검사의 처방시 95%, 동결절편조직검사 처방시 90%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단 병리과의 경우 업무가 증가됨에 따라 초과근무시간이 증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