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기초시설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 5개 시설(하?폐수, 축산?분뇨 및 음식물) 처리장 중심으로

        전준민(Jun-Min Jeon),서윤섭(Yun-Seob Seo),정만호(Man-Ho Jeong),이학성(Hak-Sung Lee),이민도(Min-Do Lee),한진석(Jin-Seok Han),강병욱(Byung-Wook Kang) 한국냄새환경학회 2010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9 No.2

        본 연구는 5개 업종의 환경기초시설 중 대표적으로 관리가 우수하거나 미흡한 시설을 각 1개씩 선정하여 악취배출 특성을 파악하고, 시설별?공정별 주요 악취원인물질을 도출함과 아울러, 미흡시설에 대한 적합한 악취저감 및 관리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기초시설별 부지경계선에서 보인 직접 관능도(air direct sensory) 및 복합악취(air dilution value)는 J음식물자원화시설이 다른 기초시설에 비해 높았으며, 복합악취는 391배로서 악취방지법의 배출허용기준(15배)을 초과하고 있었다. 기초시설 중 미흡시설로 구분된 시설들의 직접관능도 및 복합악취는, 음식물자원화 > 축산폐수 > 하수 > 분뇨 > 폐수처리시설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J음식물자원화시설은 모든 공정에서 매우 강한 취기로서 직접관능도 5도, 복합악취는 1,800∼10,000배 범위로서 악취방지법상 배출허용기준(500배)을 초과하였다. 기초시설별 악취배출 특성 및 주요 악취원인물질은, 하?폐수처리시설 경우 1차침전지 및 농축조에서 복합악취도가 높았고, 황화합물과 알데하이드류 성분들이 주요 악취원인물질로 나타났으며, 축산?분뇨처리시설은 저류조 및 액상부식조에서 복합악취도가 높았고, 황화합물과 암모니아 성분이 주요 악취물질로 검출되었다. 음식물자원화시설은 다른 시설에 비해 전 공정에서 높은 복합악취를 보였고, 황화합물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물질이 주요 악취원인물질로 작용하고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how the odor emissio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well maintained environment fundamental facility and the poorly maintained environmental facility. It also draws major components of odor emission based on facilities, stages, and suggest the proper way to reduce the level of odor for insufficient facilities. Insufficient facilities' air direct sensory and air dilution value levels are following: foodwaste > livestock > wastewater > night-soil > sewage. For the sewage and waste water facilities,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odor emission on each fundamental facility showed higher air dilution value in depositing reservoir and concentrator. And sulfur and aldehyde compounds came out to be the major odor causing components. In the case of night-soil and livestock facilities, the air dilution value was high in flow equalization tank and liquid erosion tank. And sulfur as well as ammonia component was the major malodorous substance. Foodwaste facility showed higher air dilution value than other facility, which sulfur and acetaldehyde compounds were acting as major malodorous substances.

      • KCI등재

        논문 : 전남지역 숲길의 모노테르펜류 농도와 공기질 특성

        오길영 ( Gil Young Oh ),서윤규 ( Yun Gyu Seo ),박귀환 ( Gui Hwan Park ),김익산 ( Ik San Kim ),배주순 ( Ju Soon Bae ),박혜영 ( Hye Young Park ),양수인 ( Soo In Yang ),전준민 ( Jun Min Jeon ),정만호 ( Man Ho Jeong ),서윤섭 ( Yun Seo 한국임학회 201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1 No.2

        본 연구는 숲속 환경대기에서 모노테르펜류(a-Pinene, camphene, sabinene, b-pinene, myrcene, terpinolene, limonene, 1,8-cineol, linalool, camphor)의 농도분포, 숲속 대기의 청정도 및 공기음이온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전남도내 5개 유명 숲을 대상으로 3 계절(봄, 여름, 가을) 동안 수행하였다. 4 시간 평균농도 기준으로 대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죽녹원지점에서 b-pinene+myrcene이 958pptv, 우드랜드와 순천만에서 a-pinene(524pptv)과, limonene(445pptv) 이 각각 높은 농도로 나타났다. 계절별로는 우드랜드와 선암사는 봄, 죽녹원과 순천만은 여름에 가장 최고치를 보였다. 대기환경기준물질 농도는 환경정책기본법의 환경기준보다 매우 낮은 농도로 나타났다. 공기음이온은 지점별로 공기 1 mL당 최고 400~3,000개로 조사되었다. 모노테르펜과 공기음이온사이에 유의한 상관은 나타나지 않았다. Three-season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monoterpene (10) and air anion in ambient air at five forests. a-Pinene, camphene, sabinene, b-pinene, myrcene, terpinolene, limonene, 1,8-cineol, linalool, and camphor were quantified in the samples collected. The highest 4-hour mean concentration of total monoterpene were b-pinene+myrcene as 958pptv at Juknokwon dominated by bamboo and a-pinene (524pptv), limonene (445pptv) at Wood Land and Suncheon Bay, respectively. The seasonal means were observed to peak during spring with their maximum at Wood Land and Seonam Temple and during summer at Juknokwon and Suncheon Bay. The 24 hour concentration mean of atmosphere standards were found with much lower values than those by law.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air anion were measured 400~3,000 ea·mL-1 through the sites.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monoterpene and air an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