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소득층 청소년의 재무적 트라우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손상희 ( Sohn¸ Sang-hee ),서원영 ( Seo¸ Wonyeong ),손성보 ( Son¸ Seongbo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6

        본 연구는 개인의 경험을 이야기 형식을 통해 분석-해석-의미구성의 과정을 거쳐 이해에 도달하는 질적 연구방법인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저소득층 청소년의 재무적 트라우마 경험과 그 의미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득기준에 따라 저소득층에 해당하는 4명의 고등학생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각 참여자에 대해부모 1회 면담을 포함하여 총 7-8회의 개별심층면담을 통해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수집한 면담자료를 바탕으로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자들의 내러티브에서 도출된 재무적 트라우마 경험의 주제는 ‘가정폭력과 불화: 아버지처럼은 살지 않겠다’,‘부채와 질병: 돈 없으면 아무것도 안 되잖아요’, ‘가계파산과 결핍: 돈 달라고 하면 욕 먹어요’, ‘불안정한 거주와 삶: 임대료가 밀리는 집’의 네 가지로 발견되었다. 각 주제들은 재무적 트라우마의 과정과 결과를 시사하는데, 재무적인 문제로 인해서 가정의 존립과 생계가 위협받는 상황들은 참여자들의 정서적 반응, 돈에 대한 신념, 소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재무적 트라우마 경험의 의미는 다음 세 가지로 도출되었다. 첫째, 재무적 트라우마는 현재까지 계속되면서 돈을 만능으로 여기는 돈 숭배적 신념으로 이어지는 등 위험요인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둘째, 재무적인 불안과 나아가서 실존적인 불안을 겪음에 따라 소비에 대한 과도한 억압 혹은 집착을 일으킬 위험이 제기되었다. 셋째, 저소득층 청소년들의 재무적 트라우마 경험은 이른 나이에 자립에 대한 의지를 갖고 향후의 직업적 성취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게 하는 동력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긍정적 반응은 긍정적인 가족역동과 사회적 지지 유무에 의해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저소득층 청소년의 재무적 트라우마 극복을 위해서는 부모를 위한 심리적인 지원과 건강한 가족관계를 촉진하는 개입, 그리고 저소득층 청소년들에게 경제적인 역할모델과 멘토링 같은 실질적인 사회적 지지를 제공해주는 정책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또한 재무적 트라우마와 돈에 대한 신념을 직접 다룰 수 있는 재무치료적 개입과, 빈곤이라는 트라우마 사건을 사회적 맥락에서 해석하고 통찰할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financial trauma experience of low-income adolescents through narrative inquiry,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help shape new understandings by ways of analyzing, interpreting, and meaning-constructing individual experiences with a story format. four high school students in low-income families were interviewed in depth 6 to 7 times and ones of their parents were interviewed once respectively.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llected interview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narratives that derived from the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were ‘Domestic violence and Neglect: I don't want to live the way you live,’ ‘Debt and Illness: I can't do anything without money,’ ‘Foreclosure signs and A Denied desire to spend money: I get blamed when I ask for money,’ ‘Unstable residence: A House with arrears of rent.’ Each topic suggests the process and outcome that resulted from financial trauma. financial problems that threaten the survival and livelihood of families have been shown to affect participants' emotional reactions, beliefs about money, and financial behaviors. The implications of this financial trauma experiences were derived in three ways: First, the financial trauma continued to this day, leading to risk factors like a money-worshiping belief that money is omnipotent. Second, the risk of causing excessive repression or obsession with spending money was raised, which occurs through financial anxiety and existential unrest. Third, the financial trauma experience of low-income adolescents served as a driving force to strive for future career achievements with a willingness to stand on their own feet at an early age. These positive responses have been shown to depend on positive family dynamics and the presence of social support.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are necessary to overcome the financial trauma of low-income adolescents. Psychological support for their parents, interventions to promote healthy family relationships, and policies to strengthen their social support such as economic role models and mentoring programs should be provided. There is also a need to provide financial therapy interventions that can directly treat financial trauma and beliefs about money, and to help them have an insight that the trauma of poverty can be interpreted in the social context.

      • KCI등재

        화폐장애에서 나타나는 재무행동 특성 및 형성배경에 대한 질적 연구

        손상희 ( Sohn Sang-hee ),서원영 ( Seo Wonyeong ),박종옥 ( Park Jong Ok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인지행동접근에 기초하여 화폐장애를 경험하는 소비자들의 역기능적 재무행동과 그 형성배경을 탐구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화폐장애의 이면에 있는 신념과 그 신념이 행동에 영향을 주는 기제를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화폐장애행동을 보이는 성인 8명(화폐숭배장애 5인, 화폐회피장애 3인)을 대상으로 개별심층면접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과소비 및 강박적 구매, 재무적 부인, 퍼주기 등의 역기능적 재무행동을 보였다. 과소비 및 강박적 구매, 재무적 부인은 각각 ‘화폐숭배장애’와 ‘화폐회피장애’의 대표적 행동유형이라 할 수 있는데, 두 가지 행동 유형에서 중복되어 나타났고, 관계적 화폐장애의 한 유형인 퍼주기 또한 참여자들에게서 동시에 나타났다. 이러한 세 가지 화폐장애행동은 상호작용을 통해 재무적 문제를 악화시키며, 과도한 빚, 가정불화, 자괴감과 죄책감 등과 같은 재정적, 관계적, 심리적 결과를 발생시켰다. 둘째, 참여자들에게 나타난 돈에 대한 신념은 ‘돈 숭배 신념’과 ‘돈 지위 신념’, 그리고 자신의 소비를 합리화시키는 ‘자기합리화 신념’, 타인보다 우월하고 돈을 잘 쓰는 사람처럼 보이고자 하는 ‘관계와 체면중시 신념’이 발견되었다. 또한 참여자들은 소비욕구의 심한 좌절, 돈 문제로 인한 가정불화와 같은 재무적 트라우마와 과소비, 퍼주기, 재무교육의 부재, 돈에 대한 은폐와 터부시 등으로 나타나는 부모의 역기능적 재무행동과 돈에 대한 그릇된 메시지를 어린 시절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경험은 참여자들의 돈에 대한 신념에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셋째, 참여자들의 역기능적 신념이 역기능적 재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낮은 자존감과 깊은 수치심이 긴밀히 연루되어 있었다. 참여자들은 부모의 영향과 어린 시절의 경험 등을 통해 돈과 자신의 자존감 및 수치심을 연결시켜 생각하는 일련의 역기능적 신념체계를 가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들의 역기능적 재무행동은 자아를 방어하고 충족시키는 방법으로써, 수치심을 회피하고 자존감과 존재감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능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화폐장애 치료에 대한 기초자료 및 인지행동적 접근의 타당성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였다. In this study, we applied a qualitative approach in order to examine the financial behaviors of the people with money disorder, their experiences, and the development of such dysfunctional financial behavior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via online postings, and were selected using a screening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were analyzed by using grounded theory approach.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showed “overspending and compulsive buying,” “financial denial,” and “financial enabling” to a notable extent. Interestingly, the participants showed an overlap of the two disorder types, and that exacerbated the financial problem even more. Financial enabling, which is a type of relational money disorder, was shown as behaviors like paying for other people’s meals at the restaurant or giving excessive gifts to friends and family members and so on. These behaviors resulted in financial, relational, and psychological consequences, such as ‘excessive debt,’ ‘conflict with family,’ ‘worry and anxiety,’ and ‘self-blame and guilt.’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participants had the money-worshiping money script, the money status money script, the “self-serving money script,” and the “self-image money script.” The self-serving money script can be defined as a money belief that rationalizes their overspending, and the self-image money script can be defined as a money belief that recreates self-image to be carefree and not stingy about money. The participants could identify childhood events including financial trauma such as the extreme collapse of spending desire, bankruptcy of parents, and parental behaviors and messages such as parents’ dysfunctional financial behaviors, misleading financial education, and taboo against money that affected money beliefs. Third, low self-esteem and deep shame are intimately involved in the process in which participants' dysfunctional beliefs affect dysfunctional financial behavior. Participants seem to have a series of dysfunctional belief systems that connect money with their self-esteem and shame through parental influences and childhood experiences. Thus, their dysfunctional financial behaviors functioned as a means of defending and satisfying themselves, avoiding shame, and securing self-esteem and presence.

      • KCI등재

        청소년 금융임파워먼트 증진을 위한 e-멘토링 프로그램 효과 연구

        손상희 ( Sang-hee Sohn ),손성보 ( Seongbo Son ),서원영 ( Wonyeong Seo ) 대한가정학회 2022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60 No.4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e-mentoring youth financial education program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for promoting financial empowerment and establishing financial capabilities among independent consumers. A four-session, eight-hour “Youth Financial Empowerment Mentoring Program” was developed. This program dealt with financial literacy and financial psychology factors in an integrated fashion. We used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evaluate the program’s effectiveness. Specifically, by using Zoom, a virtual conference platform, four mentors of college students were trained for four sessions over two weeks. Meanwhile, four groups were formed with four mentors and 18 high school mentees to implement a four-week e-mentoring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covarian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all financial psychology factors and financial literacy variables. In addition,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qualitative evaluation through FGI for mentees and mentors, mentees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in financial behavior, beliefs, attitudes, and personal relationships, as well as increased financial knowledge. Meanwhile, mentors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in their introspection into financial behavior and consumption. Considering thes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this program effectively induces participants to learn and reflect on their initiative, which is in line with the original goal of “improving financial empowerment”.

      • KCI등재

        어린 시절 돈에 대한 기억이 성인 소비자의 돈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에 미치는 영향

        손상희 ( Sohn Sang-hee ),박종옥 ( Park Jong Ok ),서원영 ( Seo Wonyeong ),윤정윤 ( Yoon Jungyoon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소비자의 돈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을 규명하고, 그에 대한 어린 시절의 부모와 관련된 돈에 대한 기억의 영향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Klontz의 KMS1 와 Furnham의 Moneygrams로 측정도구를 구성하여 성별과 연령 기준으로 할당표집한 전국 20세 이상 (50세 미만 소비자 681명에 대하여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요인분석 결과 소비자의 돈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은 `돈 숭배`, `돈 지위`, `돈 불신`, `돈 경계`의 4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즉, 돈이 모든 문제의 해결책이라는 돈 숭배, 돈이 곧 지위를 상징한다는 신념인 돈 지위, 돈이 사람을 타락시킨다는 돈 불신, 그리고 돈에 관해서는 비밀에 부쳐야 한다는 신념인 돈 경계로 파악되었고, 평균값의 순위는 돈 숭배, 돈 불신, 돈 경계, 돈 지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 시절 돈에 대한 기억은 `관계적 수단`, `갈등의 원천`, `은폐의 대상`, `권위의 표현`의 4가지 유형으로 밝혀졌다. 관계적 수단은 부모님이 돈을 관계를 다루는 수단으로 사용한 기억이며, 갈등의 원천은 돈으로 인한 가족 간 불화에 대한 기억이다. 한편 은폐의 대상은 부모님이 돈을 비밀에 부친 기억이고, 권위의 표현은 부모님이 돈에 대한 부모의 가치를 자식들에게 심어준 기억이다. 권위의 표현, 갈등의 원천, 은폐의 대상, 관계적 수단의 순으로 소비자들이 많이 경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집단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어린 시절 돈에 대한 기억 중 관계적 수단으로서의 기억에 대해서는 성별, 연령별 차이가 나타났고. 권위의 표현, 갈등의 원천, 은폐의 대상으로서의 기억에 대해서는 소득집단별 차이가 나타났다. 돈에 대한 신념에 대해서는 집단별 차이가 거의 드러나지 않았으며 돈 지위 신념에 대해서만 성별, 연령별 차이가 파악되었다. 넷째, 회귀분석 결과 어린 시절 돈에 대한 기억은 돈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의 각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갈등의 원천, 은폐의 대상으로서의 기억이 강할수록 돈 숭배 신념이 강하게 나타났고, 관계적 수단, 은폐의 대상으로서의 기억이 강할수록 돈 지위 신념이 강화되었으며. 갈등의 원천 기억은 돈 불신 신념을 강화시켰다. 또한 갈등의 원천. 권위의 표현으로서의 기억이 강할수록 돈 경계에 대한 신념이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돈에 대한 신념의 형성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소비자사회 화이론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즉, 인생의 초기에 이루어지는 부모의 돈에 대한 메시지와 가정에서의 경험이 성인의 삶에서 영향력이 지속될 정도로 중요한 사회화 역할을 함을 밝힘으로써, 돈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의 형성과정과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