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기술 훈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서미옥 한국교육학회 2009 敎育學硏究 Vol.4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for improving the social skills by using method of meta-analysis. After reviewing 80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between 1997 and 2008 in Korea, the mean effect sizes and test for homogenity of effect size(Q-statistic) were analyzed by using Excel program, MIX, and SPSS/Wi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otal average effect size of the social skills was 1.48. This implie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is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 group by 43.05 percentile. Cooperation, assertion, and empathy among subcategories of social skills were high average effect size.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high average effect size among methods of social skills training. It was found that social skills training is more effectiv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an for other age groups. Young children of low-income single-parent families or children living in institutional care had higher effect size than adjusted students. Intervention was more effective for small sample and for more than 60 minutes per session. In conclusion, social skills training need to be plan under specific goals and deliberate approach. It suggests that meta analysis to synthesize quantifiable and qualitative studies together should be considered.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사회적 기술의 증진이 목적인 연구들의 효과성을 검증하려는 것이다. 1997년과 2008년 사이에 사회적 기술 훈련을 주제로 한 국내의 80편의 실험논문을 대상으로 엑셀 프로그램, MIX와 SPSS를 이용하여 효과크기와 동질성 검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적 기술의 전체점수에 대한 평균효과크기는 1.48로 나타나 43.05%의 향상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사회적 기술의 하위영역으로는 협력성, 공감, 주장성의 평균효과크기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기술 프로그램 중에 집단 활동은 비교적 높은 평균효과크기를 보여주었다. 연령별로는 초등학생에게 사회적 기술을 실시할 경우에 평균효과크기가 높았다. 저소득층 한 부모 가정이나 시설아동들이 적응을 잘하는 일반 아동들보다 평균효과 크기가 높게 나타났다. 실험처치는 소집단일 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기 당 훈련시간은 60분 이상일 경우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기술 프로그램은 구체적인 목표아래 좀 더 세심한 접근 하에 계획할 필요가 있다고 결론내리고 싶다. 앞으로 추후 메타분석에서는 계량적 효과크기와 질적인 연구도 통합시키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도덕딜레마에 나타난 대학생의 5가지 도덕지향

        서미옥 한국교육학회 2012 敎育學硏究 Vol.50 No.2

        Individuals differ from moral orientations when they encounter moral dilemmas. There were five categories in moral orientations by Colby and Kohlberg(1987). The five moral orientations were upholding normative order, egoistic consequences, utilitarian consequences, ideal or harmony-serving consequences and fairness. The present study was to add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dilemmas and moral orientations. To accomplish this study, 179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d to two Kohlbergian dilemmas and two impersonal dilemmas developed by researcher. Th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t frequencies of moral orientations per dilemmas, because type of dilemma affected on it. Heinz dilemma and Joe and father dilemma were concerned with personal dilemma, but the governor and flood dilemma and baby box dilemma were impersonal dilemma related with society. It was founded that there were a few egoistic orientation in personal dilemmas, but it was rarely founded in impersonal dilemmas. In addition to sum up, ideal or harmony-serving orientation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dilemmas, but not in governor and flood dilemma. Second, there was significantly low correlation between heinze dilemma and the governor and flood dilemma, but no correlation in another dilemmas. Third, only five participants expressed the same orientation consistently all four dilemmas. In summery, five moral orientations were inconsistent across moral dilemma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various moral dilemmas need to be considered in moral education. 개인은 각기 다른 도덕지향을 가지고 있다. Colby와 Kohlberg(1987)가 제안한 도덕지향에는 규범 질서 지향, 자기중심적 지향, 공리주의, 이상주의 혹은 조화추구적 지향, 공정성 지향의 5가지가 있다. 본 연구는 딜레마의 유형과 5가지 도덕지향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17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콜버그의 2개의 딜레마와 본 연구에서 구성한 2개의 딜레마가 제시되었으며 5가지 도덕지향에 대한 빈도가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딜레마에 따라 대학생들은 5가지 도덕지향의 빈도가 각기 달랐다. 그 이유는 딜레마의 유형과 관계가 있다고 해석된다. 『하인즈 딜레마』와 『조와 아버지 』딜레마는 개인(가족)과 관련된 개인적 딜레마이고, 『주지사와 홍수』와 『베이비 박스』딜레마는 사회와 관련된 비개인적 딜레마이기 때문이다. 개인적 딜레마에서는 자기중심 지향이 소수 있었지만, 비개인적 딜레마에서는 자기중심 지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대학생들은 조화추구 지향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둘째, 딜레마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하인즈 딜레마』와 『주지사와 홍수』 딜레마에서 유의하지만 낮은 상관이 있었으나, 나머지 딜레마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셋째, 4개의 딜레마에서 모두 일치되는 도덕지향을 보여준 피험자는 5명뿐이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도덕 딜레마의 내용에 따라 피험자들의 도덕지향이 일관적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추후 도덕교육을 위해 다양한 내용으로 구성된 딜레마를 다루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다.

      • KCI등재

        메타분석 연구의 고찰과 연구방법론적인 제안

        서미옥 한국교육학회 2011 敎育學硏究 Vol.49 No.2

        The studies about meta-analysis began to grow exponentially, but their methodological review was not done properly. Focused on domestic studies about meta-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methodology and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research methods. The 64 papers about meta-analysis were evaluated by four kinds of criteria such as problem criteria, design criteria, resulting criteria, and interpretation criteri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tudies received a appropriate evaluation in problem criteria. But there were problems with validity and reliability in design criteria. For example, before meta-analysis was conducted the specific criteria needed to be set, however most of studies did not. At the same time this research should be accomplished by 2 or more researchers, but there were a few papers. Second, the data collection process were dependent on the unpublished paper as master and doctoral dissertation, so bias issues were raised. The studies including fail-safe N were only a few. Prejudicial to the future complements, including journals and dissertations are equally likely to be desirable, also fail-safe N should be mentioned. Third, evaluation of the homogeneity test was inadequate in result criteria, and Fixed or Random effects model to choose the model that was overlooked by researchers. The SPSS and Excel was used more than CMA in Korea, and it was not founded that pictures and graphs were used universally in results. On other hand most of the studies received a positive evaluation in interpretation criteria. 메타분석에 대한 연구들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나 방법론적인 고찰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실시된 메타분석들을 토대로 연구방법론 측면에서 검증하고, 질적인 평가를 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64편의 메타분석 논문을 대상으로 문제준거, 설계준거, 결과준거, 해석준거의 4가지 항목별로 연구방법론적인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 준거 항목에서는 대부분의 연구들이 양호한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설계준거 항목에서 타당도와 신뢰도에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메타분석을 실시하기 전에 구체적인 기준을 설정한 논문들이 많지 않았고, 또한 2인 이상의 연구자에 의해 수행된 연구들도 많지 않았다. 둘째, 자료수집 과정에서 출판되지 않은 석, 박사학위논문에만 의존된 편파성 문제가 제기 되었다. 앞으로 편파성을 보완하기 위해서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골고루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 같다. 셋째, 결과 준거영역에서 동질성 검증은 미흡한 평가를 받았으며, 고정모형 혹은 랜덤효과 모형을 간과하는 연구자들이 많았다. 국내 연구자들은 CMA보다 SPSS와 엑셀 프로그램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결과를 설명할 때, 그림이나 그래프가 보편적으로 활용되지 않았다. 반면에 해석준거에서는 대부분의 연구들이 양호한 평가를 받았다.

      • KCI등재후보

        성별과 전공계열에 따른 예비교사의 사고양식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

        서미옥 한국교육학회 2003 敎育學硏究 Vol.41 No.4

        본 연구는 4년제 사범대학(인문, 사회/자연계열) 대학생 275명을 대상으로 성별과 전공계열에 따라 사고양식과 창의적 인성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사고양식의 특성은 최근에 Stermberg와 Wagner(1991)가 기능, 형태, 수준, 영역, 성향의 5개 범주에서 13개 요소로 분류한 사고양식 검사지(TSI)를 윤미선(1997)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고, 창의적 인성검사는 하주현(2000)에 의해 2차적으로 요인분석이 된 검사지가 이용되었다. 연구결과에서 입법적, 사법적, 계급제, 무정부제, 전체적, 내부지향, 외부지향, 자유주의 사고양식이 창의적 인성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반면에 행정적, 군구제, 과두제, 지엽적 사고양식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또한 자유주의, 입법적, 사법적, 계급제 사고양식의 순으로 창의적 인성을 설명하는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사고양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 계열에 따라 사고양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성별에 따라 창의적 인성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 계열에 따라 창의적 인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미래의 교육을 책임질 예비교사들의 개인내 특성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앞으로 바람직한 교사양성과 효율적인 수업방법의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메타분석을 통한 창의성 훈련의 효과 검증

        서미옥 한국교육학회 2008 敎育學硏究 Vol.4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reativity training programs in Korea using method of meta-analysis. The hypothesis of study were as follows. 1) How is the total Mean ES for the creativity training ? 2) How is Mean ES for types of creativity training? 3) How is Mean ES for age, sample size, training duration, sessions, types of instruments and so on ? The 62 studies have been adapted, these papers were focused creativity training.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Mean ES showed 1.18. It indicates the highest score according to the level of Cohen's effect size. Second, art activities showed the highest Mean ES among types of creativity training programs. Third, various instruments of creativity ranged from 0.30 to 2.29 Mean ES, and early childhood addressed the highest Mean ES. Creativity training addressed more effective under 20 sample, from 80 to 100 minutes per session, two sessions per week, 20-25 total sessions, from 8 weeks to 12 weeks. 본 연구는 유아,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성 훈련을 실시한 국내 논문들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전체 연령층과 창의성 훈련 유형 및 훈련기간, 회기별 시간 등의 변인에 따라 창의성의 효과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 총점에 대한 평균효과크기는 1.18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경향을 보였다. 창의성 훈련을 실시하는 경우 38.09%의 향상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창의성 훈련 유형별로 평균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은 미술, 음악 등을 활용한 예술적 접근 기법이었다. 반면에 가장 낮은 효과크기를 보인 것은 신체와 동작을 활용한 창의성 훈련이었다. 셋째, 창의성 검사 도구에 따른 효과크기는 0.30~2.29로 범위 차이가 비교적 넓게 나타났다. 연령에 대한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유아가 가장 높은 평균 효과크기를 보였다. 회기별 시간은 80분 이상~100분 미만을 실시하는 경우, 20회 이상~25회 미만을 실시할 경우, 주 2회 정도 그리고 8주 이상~12주 미만을 실시한 경우, 또한 0~20명 미만의 표본으로 창의성 훈련을 실시하는 경우에 가장 평균 효과크기가 높았다.

      • KCI등재

        APT 래더링 기법을 적용한 고객의 가치체계 분석: 헤어살롱 유형별 차이 비교 및 전략제시

        서미옥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21 서비스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헤어살롱 선택속성과 이를 통해 헤어살롱 이용객이 얻을 수 있는 결과와 궁극적인 가치를 파악하고자 수단-목적 사슬 이론을 기반으로 연계방식 기법(APT)을 활용하여, 헤어살롱 이용객이 추구하는 내재적 가치체계에 대해 규명하였다. 이는 헤어살롱 유형별로 이용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며, 질적 래더링 기법으로 도출한 항목을 적용하며, 도출된 각 단계의 문항을 분석하여 각각의 속성과 결과, 가치 항목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첫째, 선택속성은 <미용사의 실력>과 <개인별 맞춤의견 수용>, 그리고 <저렴한 가격> 순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과 항목은 <이미지 변신>, <깔끔함>, <새로움>, <심리적 안정> 등 순으로 도출되었다. 가치 항목 중 중요하게 표시한 항목은 <만족감>이며, 그 다음이 <행복감>, <자신감>, <아름다움>, <유대감>으로 도출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헤어살롱 유형과 상관없이 두드러진 선택속성은 ‘미용사의 실력’으로 나타났고, 헤어살롱을 이용하면서 추구하는 중요 가치는 ‘만족감’과 ‘자신감’, 그리고 ‘아름다움’으로 도출되었다. 이 결과에서 헤어살롱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가치로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헤어살롱 유형별로 부분적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소비자의 욕구와 기대하는 효익이 유형별로 다른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수단-목적 사슬 이론에 기반하여 헤어살롱 유형별로 비교하여 가치인식을 도출하였지만 가장 중요한 선택속성은 ‘미용사의 실력’이며, 중요 가치는 ‘만족감’과 ‘자신감’을 얻고자 헤어살롱을 선택하고 이용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행복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변인들의 인과관계

        서미옥 한국교육학회 2010 敎育學硏究 Vol.4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s of psychological variables effect on happiness. The psychological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conscientiousness, neuroticism, perfectionism, self-handicapped, and life satisfaction. The study involved an sample of 240(male 70, female 170) individuals, of whom were students at the University located in Gyeongbuk area. The data were process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earson’s product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happines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life satisfaction, conscientiousness, self-oriented and other-oriented perfectionism. But it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neuroticism and self-handicapped. This study founded that life satisfaction, conscientiousness, neuroticis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ere meaningful contributor to predict happiness, but neuroticism was only negative contributor to predict happiness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cond, three dimensions of perfectionism ad self-handicapped had either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d on happiness. The conscientiousness was positive mediating variable through perfectionism to happiness, neuroticism was negative mediating variable through self-handicapped to happiness. Also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directly influenced on happiness. 본 연구의 목적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들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탐색하고자 하는 변인들은 성실성, 신경증, 완벽주의와 자기구실 만들기, 삶의 만족도이다. 연구대상자는 경북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40명(남자는 70명, 여자는 170명)이다. 자료 분석을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경로분석이 시행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복에 정적상관을 보인 것은 삶의 만족도, 성실성, 자기지향 완벽주의, 타인지향 완벽주의로 나타났고, 행복에 부적상관을 보인 것은 신경증, 자기 구실 만들기로 나타났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에서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삶의 만족도, 성실성, 신경증, 사회규정 완벽주의 순서로 나타났고, 오직 신경증만이 역방향으로 기여하였다. 둘째, 3가지 종류의 완벽주의와 자기구실 만들기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작용을 하지만, 모두 행복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성실성은 완벽주의와 행복에 이르는 경로에서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였으며, 신경증은 자기구실 만들기와 행복에 이르는 경로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밖에 사회규정 완벽주의는 행복에 직접효과가 있는 변인이었다.

      • KCI우수등재

        대학생용 학업지연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서미옥 한국교육학회 2015 敎育學硏究 Vol.5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for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to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our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ew instrument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contain 45 items, a 5-point Likert-scale format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cale measured the five factors of lack of motivation(11 items), laziness and habit(14 items), perfectionism(5 items), curriculum and task difficulty(10 items), and lack of time management planning(5 item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omparison with other scale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were then discussed. Second, the internal consistency alpha coefficient was found to be .76∼93. Third, academic procrastina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criterion-related validity variables.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ime preference to study for exams a month before, and learning flow and conscientiousness.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ime preferences to study for exams a night before and day by day.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학업상황에 적합한 학업지연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학업지연척도는 5가지 구인의 45문항이 선별되었다. 5가지 구인은 ‘동기부여 부족(11문항)’, ‘게으름 및 습관(14문항)’, ‘완벽주의(5문항)’, ‘교육과정 및 과제 난이도(10문항)’, ‘시간관리 계획 부족(5문항)’이며, 5점 리커트 척도이다. 본 학업지연 척도는 국외에서 개발된 학업지연 척도와 비교하여 몇 가지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었다. 둘째, 내적일관성 신뢰도를 산출하였는데 Cronbach α는 .76∼.93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지연 원인 척도와 선행연구들에서 학업지연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된 변인들 간의 상관을 산출하였는데, 대부분이 유의하였다. 학업지연과 부적상관을 보인 변인은 성실성, 학습몰입, 한 달 전부터 시험공부하기로 나타났다. 또 학업지연과 정적 상관을 보인 변인은 당일 날 밤에 시험공부하기, 하루 전에 시험공부하기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학업지연이 학업상황에서 부정적 특성을 야기할 수 있는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삶 만족도의 매개 효과

        서미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1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undergraduates. Methods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test was conducted to measure resili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and life satisfaction with 175 undergraduates samples enrolled in university in the North Gyeongsang Province.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was performed through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aron and Kenny’s hierarchical regression, Sobel test, and boot strapping.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in all cases between each one and another of resili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Both 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life satisfaction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interpersonal skills of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o resilience.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대인관계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자아탄력성을 지목하였고, 이 과정에서 삶의 만족도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런 목적 수행을 위해 경상북도 지역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175명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대인관계능력,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통계분석은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 Baron과 Kenny의 위계적 회귀분석, 소벨검증, 부트 스트래핑을 통해 이루어졌다. 결과 자아탄력성과 대인관계 능력, 삶의 만족도는 상호 간에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과 삶의 만족도는대인관계 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삶의 만족도는 자아탄력성과 대인관계 능력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를 보였다. 결론 대학생의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하려면 자아탄력성 이외에도 삶의 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추후 연구에대한 제언과 시사점이 제안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