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특성에 따른 원도심 재생사업의 주민참여 방식에 대한 연구

        서명원(Suh Myoung won),김성희(Kim Sung hee),한귀자(Han Gwi ja),서미진(Seo Mi ji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3

        도시간의 불균형과 도시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라 최근 도시재생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인천시 도시재생사업은 2015년 이후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별로 추진되고 있으며, 마을주민이 주체가 되어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결과정으로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중요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특성을 살린 주민참여방식을 통해 지역의 문제점과 현황을 파악하고, 지역에 적합한 차별화된 디자인 기본방향을 도출하기 위한 선행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천시 원도심 활성화 사업을 위한 효율적인 주민참여 방식을 통해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실시될 구체적인 디자인을 제언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인천시 원도심 디자인 활성화 5차 사업 중 연구대상지인 미추홀구 용일자유시장과 연수구 함박마을 2곳을 선정하였다. 주민참여 방식은 관련전문가와 지역주민이 초기단계에서부터 함께 참여하였으며, 총 다섯 단계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1차 단계는 주민참여 워크숍, 2차 단계에서는 원도심 재생사업에 대한 이해 및 주민역량강화 교육과정에서 문제점을 공유하고, 주민들의 요구파악을 위한 맵핑 및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3차~4차 계획에서는 아이디어 도출과 합의 과정을 거쳐, 마지막 5차 단계에서는 지역적 특성에 맞는 디자인 방향을 위한 도출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용일자유시장은 청년작가활동중심의 문화형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고, 연수구 함박마을은 다문화마을로서 문화소통 및 범죄예방과 유니버설을 기본 방향으로 한 디자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 재생사업 및 주민참여를 토석으로 하는 지역 개발의 기본 방향에 부합되는 효율적인 워크숍 방안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서 긍정적 문제해결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Urban regeneration has progressed actively in recent years due to an imbalance among cities and the transition of the urban policy paradigm.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o revitalize city centers have been promoted by local governments since 2015, and Residents identify and solve problems themselves, and the process of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is emphasized. In this study, we selected two old urban areas as the fifth project for the design revitalization of the old city of Incheon . Residents, service design specialists and managers conducted a five-residency participation workshop. Throughout the first and second stages of understanding, the community engagement workshop was held with the understanding of regional problems and local residents during the initial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the training process for enhancing residents capacity, and after coming up with ideas through the 3rd and 5th stages, we presented design direction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process of consensus. A community council was formed to create a sustainable village(Local resident, Administrative agency) Finally, we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nd the operation of the residents council through an advanced case study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is research is a paper on efficient workshop methods that conform to the basic direction for revitalizing the design of the district by collecting opinions on regional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through residents participation methods from the beginning.

      • KCI등재

        초등학교 남녀 어린이들의 6년간 신체구성과 체력 변화의 종단연구

        송종국 ( Jong Kook Song ),채주희 ( Joo Hee Chai ),강효정 ( Hyo Jung Kang ),정현철 ( Hyun Chul Jung ),서명원 ( Myoung Won Seo ),김민형 ( Min Hyung Kim ),김현배 ( Hyun Bae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4 체육과학연구 Vol.25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7세에서부터 6학년 12세까지 6년 동안 남녀 어린이들의 신체구성과 체력의 변화와 성별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서 실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2007년 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7세 남자어린이 18명과 여자 어린이 19명을 포함 총 37명이었다. 연구시작에서부터 6년 동안 매년 5월 동일한 방법과 순서로 측정이 이루어졌고, 체격과 골격성숙도를 측정하였고, 신체구성요소는 DX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체력 측정은 외발서기, 판 두드리기, 앉아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 제자리멀리뛰기, 악력, 윗몸일으키기, 오래매달리기, 50 m 왕복달리기, PACER이었다. 남녀 어린이들의 신장(p<.01), 엉덩이둘레(p<.001), 위팔뒤 피하지방(p<.01), 허리뼈 위 피하지방(p<.01), 넙다리 중앙 피하지방(p<.001), 종아리 중아 피하지방(p<.001)에서는 성별, 측정시기에 따른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으며, 피하지방을 제외한 체격요인은 남녀 공히 6년 동안 꾸준히 증가하였다. 체지방률과 골밀도는 성별, 시기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으며, 제지방조직, 뼈무기질량과 골밀도는 남녀 모두 6년 동안 꾸준히 증가하였다. 남녀 어린이의 RUS 점수는 성별, 시기별 상호작용효과와 주효과에서 모두 유의하였다. 앉아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p<.001), 제자리멀리뛰기(p<.01), 윗몸일으키기(p<.05)에서는 성별, 연령별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으며, 여자어린이들은 외발서기(9세와 10세)와 앉아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10세, 11세, 12세)에서 남자보다 우수한 성적을 보였고, 윗몸일으키기(12세)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남녀 어린이의 체지방율과 지방조직은 11세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고, 제지방조직과 골밀도는 12세까지 증가하였다. 체력요인에서는 유연성, 순발력, 근지구력 요인이 성별,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tracking of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in boys and girls for 6 years. Thirty-seven boys and girls participated throughout the study. All measurements were performed annually. Body height, body weight, circumferences and skinfold thicknesses were measured and skeletal maturity was assessed.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were measured by DXA. Nine physical fitness tests were administered.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time and group for body height(p<.01), waist circumference(p<.001), and skinfolds at triceps(p<.01), suprailiac(p<.01), thigh(p<.001) and medial calf(p<.01). All anthorpometric variables except skinfold thickness increased during the study perio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time and group were found for percent body fat(p<.05) and bone mineral density(p<.01). Percent body fat and fat tissue increased in boys from 7 to 11 years, then decreased in 12 years. Lean tissue(p<.001), bone mineral content(p<.001) and bone mineral density(p<.001) increased both in boys and girls throughout the study.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time and group on sit and reach, standing long jump and sit-ups. In conclusion, percent body fat and fat tissue increased until 11 years, lean tissue and bone mineral density increased throughout the study both in boys and gir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