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과 유럽연합의 행정부에 의한 법령의 유권해석

        변무웅 한국입법학회 2009 입법학연구 Vol.6 No.-

        Bei der Verwaltungsbereich ist es bei der Anwendung des Rechtsnormen notwendig, sie authentisch zu auslegen, was darauf zuruckzufuehren, dass die Konstruktion des Verwaltungstraegers von Anfang an vielkoepfig und hierachisch organisiert. Natuerlich darauf vorwegloesend hat man das Einheitsprinzip und das Ressortsprinzip bereitgestellt, zwischen denen irgendwie Ergaenzungen und Ausgleichen ohne Zweifel fuer erforderlich gehalten sind. (1) In Hinblick auf die Zeitlauf angesehen haben wir die Rechtsnormen erlassen, geaendert, oder aufgehoben. Dazwischen haben wir sie interpretierend oder auslegende angwendet. (2) Matriell-rechtlich bewertet wird sie nach dem Prinzip der Sachnaehe jedem Ministerium verteilt, d.h. das Ressortsprinzip. Die Jeden Ministerium uebergreifende Aufgabe wird letztlich von der Bundesregierung ausgefuehrt, die sich beispielsweise Kollisionsregelungen ueber die Zustaendigkeitsprobleme zwischen Umwelt und Wasserhaushalt stellt. Dafuer haben sich die betroffenen Verwaltungstraeger einigen, so dass innerhalb Rechtsmaessigkeit und pflichtmaessiges Ermessens eine Loesung bzw. eine Interpretation zu finden ist. Anschliessend kommt ein Aufsichtmachthaber auf eben eine hoehrer Ebene in Betracht, der es mit dem Rechts- oder Fachaufsichtsmittel aufloesen kann. Bei dem Institution wie Rechtssetzungsamt in Republik Korea ist in der BRD und in der EU nicht vorhanden. Kompetenzrechtlich wird dieses Problem anders als in Korea dem betreffenden Ministerium, dem Ministerium fuer Justiz oder der Bundesregierung verteilt. Das waere einerseits eine organisationsrechtliche Feststellung von einem funktionell-rechtspolitischen Wesen und anderseits von ganz unten her betrachtet kann es vom zustaendigen Beamten als ihr Rechtspflicht gestellt werden kann. Es ist klat, dass die Zwecke wie die Rechtsfoermlichkeit, die Systemgerechtigkeit der Rechtsnormen und die Rechtsmaessigkeit schon bei der authentischen Auslegung von der Exekutive gesetzt werden, was zur Einigkeit und Effizienz der Rechtsordnung fuehrt.

      • KCI등재
      • KCI등재

        유럽의 인체유래물 연구에 있어서의 동의 및 면제제도-EU와 독일의 제도를 중심으로-

        변무웅,최용전 유럽헌법학회 2019 유럽헌법연구 Vol.0 No.30

        The emergence of precision medicine and personalized medicine inevitably requires the construction of a medical platform through expansion of large-scale analysis of genetic information, a population-based cohort, and human materials research. Therefore, activation of Consent and Consent Exemption is required within the scope of not invading the Self-Determination Right to medical information provider. Many laws, such as the Bioethics Act, Organs Transplant Act, Safety of the Human Tissue Act and Blood Management Act, is supposed to receive written consent includinf the objectives of research, procedure of research, foreseen risks and benefits of research,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eservation and discarding, withdrawal of consent,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etc. from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donor. This is to respect the dignity and autonomy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donor.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obtaining consent from a human subject of research is impracticable in the course of research or is likely to seriously affect the validity of research and if there is no ground to find that a human subject of research will decline consent or the risk to a human subject of research is very low even if the project is exempted from consent. a research project may be exempted from obtaining written consent of a human subject of research, subject to approval from the competent institutional committee. However, the 2019 revised Bioethics Act stipulates that a notice system, rather than a consent system, should be used to provide the human material bank with the remaining samples used by medical institutions. As long as the subject does not indicate rejection of the offer, a method that can be provided, that is, an opt-out method, has been introduced. The European Union has enacted the “DIRECTIVE 2004/23 / EC on setting standards of quality and safety for the donation, procurement, testing, processing, preservation, storage and distribution of human tissues and cells” with a donor's consent and consent exemption system. And in EU, Seven countries are opting for the opt-in method, or the consent system(Zustimmungslösung), while 23 are opting for the opt-out method, or the contradiction system(Widerspruchlösung). Recently, the opt-out method has been expanded. Germany also enacted the 'Human Tissue Act(Gewebegesetz)' and accepted the European Union Directive 2004/23/EC as a domestic law. Germany has been adopting a "extended consent system(erweiterte Zustimmungslösung)." However, in 2019, the transplantation Act was revised to introduce an opt-out method, or an contradiction system for organ transplants of a deceased person. However, the expansion of the consent exemption system, including the notification system, and the expansion of the opt-out method in the donation or transplantation of organs of the deceased person greatly help human materials research. It is a great trend to create a good environment that can ensure the development of human materials research along with the guarantee of the right to personality. Therefore, in human subjectsor human materials research project, the opt-in method that personality rights can be well guaranteed can be widely applied to the research participation and organ donation and extraction. However, the opt-out method should be expanded within the scope of not infringing on the right of personality to improve the research environment of human materials research project. 정밀의료와 개인별 맞춤의료의 등장은 필연적으로 대규모 유전체 정보의 분석, 인구집단 코호트, 인체유래물연구 등의 확대를 통하여 의료플랫폼의 구축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의료정보주체의 자기결정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동의제도와 동의면제제도의 활성화가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생명윤리법, 장기이식법, 인체조직법 등 많은 법률이 연구참여자와 기증자의 존엄성과 자율성에 근거하여, 연구목적, 연구와 관련된 기간과 절차, 연구와 관련된 이해득실, 개인정보의 보호와 제공, 검체의 보존과 폐기 등, 동의의 철회 그리고 제3자에의 제공 등을 내용으로 서면동의를 받고 있다. 한편, 연구대상자의 동의를 받는 것이 연구 진행과정에서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거나 연구의 타당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는 경우와 연구대상자의 동의 거부를 추정할 만한 사유가 없고, 동의를 면제하여도 연구대상자에게 미치는 위험이 극히 낮은 경우에는 기관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연구대상자의 서면동의를 면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2019년 개정된 생명윤리법은 의료기관에서 진단과 치료에 사용한 잔여검체를 인체유래물은행에 제공하고자 할 때에는 동의제도가 아닌 고지제도를 도입하여, 대상자가 제공거부의사를 표시하지 않는 한, 제공될 수 있는 방식 즉 옵트아웃(opt-out) 방식이 도입되었다. 유럽연합은 “인간의 조직과 세포의 기증, 수집, 검사, 가공, 보관, 저장 및 배분에 관한 유럽연합 지침(Directive 2004/23/EC)”을 제정하여 기증자의 동의와 동의면제제도를 두고 있으며, 옵트인(opt-in) 방식 즉 동의방식이 7개국, 옵트아웃(opt-out) 방식 즉 항변방식을 택하고 있는 나라가 23개국으로서, 점차 옵트아웃 방식이 확대되고 있다. 독일도 ‘인체조직법률’을 제정하여 유럽연합 지침을 국내법률로 수용하였으며, 그동안 ‘확대형 동의방식’의 동의제도를 채택하고 있었으나, 2019년 이식법을 개정하여, 사자의 장기이식에 옵트아웃 방식 즉 ‘항변방식’을 도입하였다. 이와 같이 EU와 독일은 물론 우리나라에도 인체유래물을 인격권적 측면에서 보호하며, 연구대상자와 기증자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있다. 그러나, 고지제도를 비롯한 동의면제제도의 확대, 사자의 기증 혹은 장기적출에 있어서 옵트아웃 방식의 확충은 인격권의 보장과 함께 인체유래물연구의 활발한 전개를 보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고자 하는 것이 큰 흐름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인간대상 연구나 인체유래물 연구에 있어서는 연구참여와 장기의 기증과 적출에 인격권이 잘 보장될 수 있는 옵트인 방식이 폭넓게 적용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인격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옵트아웃 방식을 확충하여 인체유래물연구의 연구환경을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독일의 건강기금 제도

        변무웅 한국법정책학회 2018 법과 정책연구 Vol.18 No.2

        독일의 의료보험 영역에서는 전통적으로 공보험이 압도적이다. 공보험 분야에 소속하여 활동하는 법정의료보험사는 현재 110여 개에 달한다. 2009년 건강기금 제도를 도입해서 법정 의료보험 가입자의 보험료를 일원화하였다. 개별보험사로서는 보험료 일원화로 인하여 보험료 이외의 다른 기준으로 경쟁하게 하였다. 연방보험청이 건강기금을 통해서 의료관련 재원을 통일적으로 운영하고 관리한다. 기금운영의 일정한 부분은 국가의 보조금과 추가보험료라는 수단으로 보완하여 법정의료보험의 재원을 확보한다. 보험사에 대해서는 가입자의 질병이환율을 기준으로 재원을 분배하여 재정적 공정성을 확보한다. 독일의 경우 공보험과 병행적으로 사보험도 인정한다. 공보험에서는 원칙적으로 가입자의 소득을 기준으로 삼되 통일적으로 설정한 요율에 따라 보험료를 산정한다. 반면에 사보험에서는 보험사가 제공하는 의료 내지 관련 급여가 무엇인가에 따라 개인적 수준과 범위에서 그때마다 보험료를 약정한다. 의료보험의 개인의 연령단계 추수부담 가중 특성에 따르면 대개 의료급여를 청년기보다 노년기에는 더 높은 규모와 빈도로 쓰게 되므로 청년기의 보험료에는 노년기의 보험료를 대비한 유보분이 포함되게 설계하게 마련이다. 그만큼 장기에 걸친 신뢰성과 채산성은 의료보험의 경우 매우 중요하다. 사보험의 경우, 가입자의 높은 사보험료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지급능력 유지해야 한다는 문제, 가입자의 노년 유보금의 보전유지 및 이전 문제, 의료급여의 차별적 설정 문제, 사보험의 높은 의료수가 자체의 문제 및 그로 인한 의사의 과잉치료 문제 등에 직면해 있다. 그에 대하여 사회민주당이 공보험 일원화 계획인 시민보험 제도를 주장하고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제도의 변천 과정에서 법제 수준에서 확정된 다수의 각종 정책적 수단을 예시적으로나마 점검할 수 있었다. 일단 의료보험이 제공하는 보험급여에 대한 가입자의 기대치에 관해서 이로써 평가하고 비교할 수 있는 대상을 더 확보할 수 있었다.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보험가입자를 공보험과 사보험 두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차별하는 불평등 및 불공정 요소이다. 또한 공보험 영역 내부에서도 경쟁이 가능하다는 점도 눈길을 끈다. 뿐만 아니라 일원화 국가 상호간의 비교 기준으로 의사의 수와 전문의의 분야별 내지 지역별 분포 문제도 제기되었다는 점에도 유의해야 한다. I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hat die gesetzliche Krankenversicherung traditionell eine dominierende Rolle gespielt. Derzeit sind mehr als 110 gesetzliche Krankenversicherungstraeger im Bereich der öffentlichen Versicherung tätig. Im Jahr 2009 wurde ein Krankenversicherungssystem Gesundheitsfonds eingeführt, um die Versicherungsbeitraege für die Mitglieder der gesetzlichen Krankenversicherung zu vereinheitlichen. Im Bereich der öffentlichen Versicherungen muss jedes einzelne Versicherungsunternehmen sich auf einem anderen Kriterium als Versicherungsbeitraege miteinander konkurrieren. Die Bundesversicherungsamt betreibt und verwaltet über den Gesundheitsfonds medizinische Ressourcen, die durch Zuschüsse von der Bundesregierung und Zusatzbeitraege von dem einzelnen Mitglieder ergänzt ist, um die finanziellen Mittel der gesetzlichen Krankenversicherung langfristig zu sichern. In Deutschland wird die private Versicherung auch in Verbindung mit der öffentlichen Versicherung anerkannt. Grundsätzlich werden Beitraege des Mitglieders fuer die gesetzliche Krankenversicherung auf der Grundlage seines eigenen Einkommens zu einem bestimmten Satz berechnet. Private Versicherungen hingegen bezahlen Prämien, je nachdem, was ihm der Versicherer für die medizinische Versorgung oder die damit verbundenen Leistungen bereitstellt. Noch ein Problem ist ins Betrachten zu bringen: Das Kennzeichen der Krankenversicherung ist, dass die medizinischen Leistungen, die nicht viel von den Jugendlichen genutzt wurden, im Alter in erheblichem Umfang genutzt werden. Die Prämien für junge Erwachsene umfassen noch Vorbehalte für die Prämien im Alter in der Zukunft. Das heisst, es sei fuer die Krankenversicherung erforderlich, lange glaubhaft und oekonomisch rentabel zu sein. Die Wirksamkeit der private Krankenversicherung wird also immer wieder kritisiert, denn sie in Zweifel gebracht wuerde, ob und wie lange ihr Mitglieder eine solche Fähigkeit zur relativ höherer Prämie beibehalten wuerde. Viele sonstige Grundprobleme stellten sich deutlich und drohend vor, zum Beispiel wie die Frage der Diskriminierungen von der medizinischen Versorgung zwischen gesetzlicher und privater Krankenversicherung zu loesen ist, wie das Problem der langfristigen Schutz und die medizinische Versorgung für den Teilnehmer beherrscht wuerden, wie die unnoetige bzw. überschüssige Behandlungsprobleme aufgrund der hohen Zahlungen zu behandeln waere. So bestand die Sozialdemokratische Partei fuer das Bürgerversicherungssystem. In diesem Prozess können verschiedene gesetzlich bestätigte politische Instrumente weiter geprüft werden. Sobald Sie einen Vergleich mit der Erwartungen von einem einzelnen Buerger auf die Krankenversicherung in Sicht halten, ist es klar, das Problem besteht darin, dass zwei Systeme differenzierterweise aber gleichzeitig pararell zu finden sind, indem die Versicherten auch in zwei Gruppen geteilt wird. Wir sollten dennoch den institutionellen Wettbewerb im Binnen des öffentlichen Versicherungsbereichs. Die Anzahl der Ärzte und Ärzte Disziplin oder regionale Verteilungsprobleme werden ebenfalls angesprochen.

      • 공법상 결과제거청구권

        변무웅,최용전 한국입법정책학회 2019 입법정책 Vol.13 No.2

        행정상 결과제거청구권은 공행정작용(oeffentlich-rechtliches Verwaltungshandeln) 의 결과로 남은 위법한 상태로 인하여 자기의 법률적 이익을 침해받은 자가 행정주체를 상대로 위법한 상태를 제거하여 침해가 있기 전의 원래 상태 또는 그와 유사한 상태로 회복시켜 줄 것을 청구하는 권리를 말한 다. 공법상 결과제거 청구권은 법치국가 원리의 구현으로서 위법한 국가의 작용으로 발생한 결과를 제거한다는 것으로, 일반적 법원리의 차원에서 확보 해야 할 실체법적 청구권이며, 일반적·포괄적 권리이다. 우리나라에서도 과 거 행정소송법 개정안에서 행정청의 결과제거의무를 취소소송의 기속력에 관한 규정인 현행정소송법 제30조에 제4항으로 추가여 입법적으로 해결하 려고 노력을 기울인 적이 있다. 그러나 그동안 결과제거청구권에 대한 연구 가 축적되어 있지만, 최근의 독일문헌상의 결과제거청구권과 우리나라에서 의 견해들을 일별해볼 필요성이 있기에, 그에 대한 법적 근거, 침해의 직접성, 원상회복청구권의 인정여부 그리고 쟁송절차에 관하여 다소의 논란이 있기 에 이들을 간략히 검토해 보았다. 독일은 실체법상의 명문규정으로서 일반행정법이 아닌 개별경찰법에서 규정 을 찾을 수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전혀 찾을 수 없다. 그러나 학설에서는 헌법이나 행정소송법 제10조와 제30조 등 관련 규정을 근거로 들고 있지만, 판례는 사권으로 보아 그 근거도 민법 제213조와 제214조 등에서 찾는다. 행정상 결과제거 청구권의 성립요건 중에서 특히 직접성에 대해서는 다소의 논란이 있다. 직무상 행위에서 직접 의도된 결과는 제거되어야 한다고 인정 하지만, 그와 함께 간접적 결과의 제거에 대한 청구권을 어느 정도까지 인정 하는 것이 적절한지 아직 논란 중이다.. 근래 결과제거 청구권을 확장하여 원상회복 청구권으로 발전시키자는 견해를 지지하는 학자가 등장하고 있지만, 학계나 판례에서 지금까지 지지를 얻 어내지는 못하고 있다. 그리고 결과제거청구소송을 취소소송이나 당사자소 송의 행정소송으로 볼 것인지 민사소송으로 볼 것인가에 대해서도 학설과 판 례는 입장이 나뉘어 있다. 입법론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입법 론의 이론적 근거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어떤 형식으로든 공법상 결과제거 청구권은 행정법상 현실적 비중을 늘려나 가고 있는 중이다. 이런 상황에 주목하여 개별사례, 영역별 유형화 사례, 개 별법률의 입법, 일반법원리로 인정 등의 추세에 더 힘을 보태 주어야 할 것이 다. The claim for the removal of the result of the public law is to eliminate the unlawful consequences from administrative activities, that is, from administrative measures to guidance in administrative area in Public Law. This belongs to one of the substantive legal requirements, but it corresponds to a general constitutional requirement that goes beyond the individual requirements, and involves an implementational characteristic of the general law. As a result, it plays an essential role as an indispensable element on the basis of the national liability system in administrative law. As a general requirement it also implies the possibility that are created in many independent reg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regions of administrative activities. The claim for the removal of the result against the law in the public law area was first made by the doctrine of the scholars in Germany, and later it was established as a precedent of the court and gradually expanded the scope of application to the general level. This means that the theory and the case law have been vice versa theoretically implemented at the level of the general law. It should be understood from two directions from which it has been revealed as a result of specific progress. One is to find the constitutional grounds in the rule of law which includes the basic rights and to secure the position of the general rule as the highest level of the norm. The other is to identify and implement cases in individual domain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s broadly as possible so as to remove the gaps in the law. In this paper, we have examined as many cases as possible that correspond to each requirement. Conversely, certain events have occurred and, as a result, the requirements have been strengthened or set limits. Once you look at the requirements side, you should be aware of the need to check the legal status across all areas of administrative law. This is because it functions as a general court of law. In terms of effectiveness,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based on state general responsibility, not responsibility of conduct, and that the scope of the responsibility should be limited by criteria “directness” etc. Of course, the same legal effect as the claim for the removal of the unlawful results in the public law can be obtained by enacting a special law according to individual case, and actual cases exist. However, in recognizing the comprehensive constitutional requirement of claiming the right to remove unlawful public outcomes in areas where there is no special law, the court will be able to carry out its appropriate remedy functions and roles more clearly. In addition, some aspects of the claim for removal of the unlawful results in public law in a certain area are established.

      • KCI등재

        독일의 공법상 사단 - 법정책적 활용을 위한 비교법학적 고찰 -

        변무웅 한국법정책학회 2014 법과 정책연구 Vol.14 No.3

        이 논문에서는 독일의 공법상 사단을 살펴보았다. 다만 지역형 사단인 지방자치단체는 제외하고 기타 공법상 사단 즉 기능형 사단만을 개괄적으로 다룬 것이다. 이른바 기능형 자치행정은 공법상 사단의 영역 중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지만 이 영역에서 종래 전통적으로 이를 민법상 조직형식에 따라 분류해야 한다는 논의와 최근에 기능성 관점에 따라 분류해야 한다는 논의가 절충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공법적 규율이라는 관점에서 어떤 제한이나 활동범위를 설정하는 데 민법상 조직형식의 논리보다 기능형 사단의 개념은 비교적 더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민법적 조직형식에 따른 법리 자체를 전면적으로 무시할 수는 없는 것이다. 게다가 기능형 공법상 사단은 그 존재범위나 성립형식이 워낙 다양하여 저마다 고유한 법적 성격을 지니기 때문에 단순한 기능형이라는 개념만으로 각 영역의 모든 문제가 일거에 해결되는 것도 아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측면의 공법상 사단에 관한 논의를 확실하게 전개하자면 역사적 고찰을 통해 적절한 논의기반의 절충적 공통분모를 구체적으로 확보해야 한다. 독일에서 공법상 사단의 기원을 추적하면 영주에 대한 상공인 계층의 거주지역인 도시가 자신의 독자성을 확보하기 위한 가설의 하나로 확립된 것이었다. 역사적으로 국가체제가 변천함에 따라 공법상 사단의 평가적 지위도 달라지는 양상을 보였다. 오늘날 공법상 사단은 인적 결합체이기는 하나 자격의 요건에 따라 수자원관리와 같은 물적 요소를 근거로 성립된 사단도 있고 인적 요소를 근거로 사단이 성립되기도 한다. 심지어 사회적 보험 역시 공법상 사단에 넣을 수 있다. 이렇게 유형별로 기타 공법상 사단을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공법상 사단은 국가기관은 아니면서 공법적 권한을 행사한다는 측면에 착안하여 조직과 활동 양 쪽 방향으로 헌법상 민주주의 원리에 의거해서도 통제할 가능성이 열려 있다. 이에 관한 독일의 판례를 하나 예시적으로 다루었다. 결론적으로 공법상 사단의 분석에는 조직형식과 기능성이라는 두 개의 기준은 일정하게 절충적으로 활용해야 그 기반 위에 구체적 영역에서 역사적으로 형성된 내용과 법적 기준에 의거하여 해석한 결과를 조화롭게 인식할 수 있다고 평가한다. 물론 입법자 역시 민주주의의 주권원리 및 기타 헌법과 헌법적 원리의 통제 가능성도 존재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독일 통일과 부동산 문제

        변무웅(Byun Mu Ung) 한국부동산법학회 2016 不動産法學 Vol.20 No.1

        독일의 통일 이전부터 오늘날까지 시기를 포함하여 독일 전역의 부동산 상황을 개관하자는 목적으로 이 논문은 작성되었다. 이 목적을 달성하자면 적어도 세 개의 주제로 나누어 사태를 살펴보아야 한다. 첫째 구동독 체제 아래 부동산 체제가 통일 후 어떻게 통일 독일 아래 하나의 부동산 체제로 변화할 수 있었는가 하는 문제이다. 일단 공산주의 체제 아래 공동사업장을 누가 어떻게 그리고 어떤 절차를 거쳐 서독 및 통일독일의 자본주의 체제에 부합하도록 사영화하는가 하는 문제가 바로 그것이다. 신탁공사는 단계별로 업무를 마무리하면서 최종적으로는 업무를 부문별로 분리하여 관련 기관에 이관하거나 종료 처리하였다. 그 의미는 구동독 체제의 산물을 통일 독일 체제의 일부로 전환시켰다는 것이다. 하나의 자본주의 체제 아래 부동산 문제는 일반적으로 주거의 문제로 나타난다. 개별적으로 시민은 자가주택 소유형식과 임대차 형식으로 주거문제를 해결한다. 둘째와 셋째 주제로서 이 두 개 부문에서 일어난 상황과 현재 상황을 언론기사를 동원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최근 2016년 2월 18일 시점에서 유럽에 유입되는 난민 특히 독일에 100만 명에 달하는 난민으로 주거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부동산 상황이 극적으로 바뀌는 중이다. 이 논문의 작성시점은 2015년 10월이라 이 문제를 다룰 수 없었다는 점을 지적해 둔다. Hier handelt es sich um Bundesrepublik Deutschlands Immobilienzustände in Zeitraum zwischen vor- und nach der Deutschen Einheit. Zu diesem Zweck werden mindestens drei Themen behandelt. Erstens sind die Frage danach zu erklären, wer, wie und auf welche Weise die Immobilien unter der und politische Bedeutung hat. Insbesondere ist zu betonen, dass die TätigkeitenDDR-Diktatur durch die Deutsche Einigung zu denen unter dem BRD bzw. vereinigten Deutschland umwandelt werden konnten, und bzw. was für eine ökonomische der Treuhandanstalten in kürzer Abschnitt beendet und neu verteilt werden wurden, indem jedesmal mehr und mehr altes System des DDR zur auch alten bzw. vereinigten System des BRD umgewandelt waren. Zweitens und drittens sind seit dieser Umwandlung die Frage nach den Immobilien in Hinblick auf den/die einzelnen Bürger/in, die er/sie zum Zweck für das Wohnen als Eigentümer oder als Mieter benutzt werden können. Die darauf bezüglichen Materialien sind nur die durch die Internet Erreichbaren gesammelt und bewertet. Zusätzlicherweise werden die Leerstände im ganzen und Immobilienblase in der Innenstadt vorgestellt, dennoch werden die Wohnungsnotstände durch die Flüchtlingenaufnahme werden leider nicht bewertet.

      • KCI등재

        일반연구논문 : 독일의 법정의료보험 강제가입 면제 제도

        변무웅 ( Mu Ung Byun ) 한국법정책학회 2012 법과 정책연구 Vol.12 No.4

        Hier handelt es sich um die Friedensgrenze im Krankenversicherung i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die in Korea relativ fremd ist. Sie ist als eine Art von Grenze zwischen den gesetzlichen Krankenversicherung (GKV) und den privaten (PKV) gesetzt, damit die Mitglieder der Grundversicherung jeweils allokatiert werden koennen. Das fuehrt dazu, dass die andere Bereiche wie die Zusatzversicherung und die aerztliche Leistungen ausserhalb der grundsaetzlichen so offen bleibt, wo die privaten Krankenversichrungsunternehmen ihre Wettbewerbskraefte genug ausueben koennen. Die Massnahme vom Ministerium fuer die Gesundheit, die Friedensgrenze anzuheben, war beim Bundesverfassungsgericht als verfassungsmaessig angenommen. Weder das Grundrecht des Einzelnen auf die Berufsfreiheit, Eigentumsgarantie usw., das dadurch eingegriffen sei, noch das Grundrecht vom Unternehmen, die private Krankenversicherung betreibt, wird dabei verweigert. Gleichzeitig hat das Bundesverfassungsgericht festgestellt, dass der Gesundheit des Volkes bei der GKV der verfassungsrechtliche Schutz verliehen ist und auf Ebene eines ueberragend wichtigen Gemeinwohlbelangs bei der Berufsfreiheit gekommen ist. Da kommt die wirtschaftliche Lage der PKV danach, die geschichtliche Herkunft der GKV davor und das Fehlen an Gewinnorientierung bei der GKV hinzu, womit sie diese Anhebungsrechtsverordnung rechtferigt. Heute wird in Korea einerseits diskutiert, ob und wie weit gewinnorien tierte Krankenhaus taetig werden duerften, andererseits ob und wie weit die Bewegung Nur eine Krankenversicherung! bzw. das Einheitliche GKV-System annehmen sollte. Dabei koennte die Friedensgrenze etwas behilflich, indem sie sowohl eine Trennung (Grundversicherung) als auch ein Vereinheitlichung (jeweils kraeftigere Anpassungskraft) fuer die GKV und PKV zum Inhalt ha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