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섬유주세포에서 아데노신 A1 길항제에 의한 기질단백분해효소 2의 발현 조절

        백민주(Min Ju Baek),김근해(Keun Hae Kim),김재우(Jae Woo Kim)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10

        목적: 사람 섬유주세포에서 아데노신 A1 (adenosine A1) 길항제가 금속단백기질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2, MMP-2)의 발현과 조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사람의 섬유주세포를 일차배양한 후 아데노신 A1 길항제인 0.1, 1.0 μM N6-cyclohexyladenosine (CHA)에 2시간 노출시켰다. 이때 아데노신 A1 수용체 저해제인 8-cyclopentyl-1,3-dimethylxanthine (CPT)를 전처치하였다. 금속단백기질분해효소(MMP-2) mRNA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2 (TIMP2)와 membrane-type-1 (MT1)-MMP의 단백 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carboxyfluoresein을 이용하여 섬유주단층세포층의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1.0 μM CHA는 섬유주단층세포층의 투과도를 농도에 비례하여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p=0.003), 이는 CPT에 의해 억제되었다. 0.1 μM, 1.0 μM CHA는 MMP-2 mRNA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이러한 증가는 CPT에 의해 억제되었다(모두 p<0.05). CHA는 MMP-2 의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TIMP2의 활성을 억제하였고 MT1-MMP 활성을 증가시켰다(모두 p<0.05). 결론: CHA는 섬유주 투과도를 증가시켰다. CHA는 MMP-2의 발현과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TIMP2의 활성을 억제하였고 MT1-MMP 활성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아데노신 A1 길항제의 작용에서 TIMP2와 MT1-MMP의 활성 변화가 MMP-2의 활성 조절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investigated the extent of adenosine A1 agonist-induced expression and regul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2 (MMP-2) synthesis in human trabecular meshwork cells (HTMC). Methods: Primary HTMC cultures were exposed to 0.1 or 1.0 μM N6-cyclohexyladenosine (CHA) for 2 h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inhibitor thereof, 8-cyclopentyl-1,3-dimethylxanthine (CPT). The expression level of mRNA encoding MMP-2 was assessed via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the levels of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2 (TIMP2) and membrane-type-1 MMP (MT1-MMP) measured by Western blotting. The permeability of the HTMC monolayer was assessed with the aid of carboxyfluorescein. Results: CHA at 1.0 μM increased the permeability of the HTMC monolayer (p = 0.003) and CHA at both 0.1 and 1.0 μM significantly increased MMP-2 mRNA expression, which was inhibited by co-exposure to CPT (all p < 0.05). CHA increased MMP-2 activity, decreased that of TIMP2, and increased that of MT1-MMP (all p < 0.05). Conclusions: CHA increased the permeability of the HTMC monolayer and increased MMP-2 activity, decreased TIMP2 activity, and increased MT1-MMP activity. Thus, regulation of TIMP2 and MT1-MMP expression may be involved in the adenosine A1 agonist- induced increase in MMP-2 activity.

      • KCI등재

        안외상의 종류와 안와골절, 망막진탕 양상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백민주(Min Ju Baek),이종빈(Jong Been Lee),김근해(Keun Hae Kim)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6

        목적: 안외상 환자에서 외상의 종류와 안와골절의 부위, 망막진탕 부위와 범위의 연관성을 조사해 보고 안외상의 치료에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8년 3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응급실을 통해 내원한 안외상 환자 중 안와골절이나 망막진탕이 있는 환자 351명 351안에 대해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망막진탕이 있는 군과 없는 군으로 나누어 각 군에서 나이, 성별, 안외상의 원인을 조사하였고, 주변부 망막의 망막진탕 범위, 망막진탕의 중심와 침범 여부에 따른 환자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안와골절의 부위와 망막진탕의 부위와 범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망막진탕이 있는 군에서는 ‘타인에게 구타당한 경우’가 46.3% (19/41안)로 안외상의 가장 많은 원인을 차지했고, 망막진탕 없이 안와골절만 있는 군에서는 ‘교통사고’가 34.8% (108/310안)로 가장 많은 원인을 차지하였다. 주변부 망막의 진탕 범위가 넓었던 군에서는 진탕 범위가 좁은 군에 비해 다수 안와벽 골절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20). ‘물체가 날아와 눈에 부딪힌 경우’는 망막진탕이 중심와를 침범한 군이 중심와를 침범하지 않은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36). 결론: 안외상의 원인이 구타나 날아온 물체에 부딪힌 경우 망막진탕의 발생이 많았다. 다수의 안와벽골절이 있을수록 주변부 망막의 진탕 범위가 넓게 나타났으며, 원인이 날아온 물체에 부딪힌 경우 망막진탕의 중심와 침범의 가능성이 높았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of type of orbital trauma with pattern of retinal contus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orbital wall fracture in patients, and to assist in the treatment of orbital trauma.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351 eyes in 351 patients with orbital wall fractures or retinal contusion among patients with orbital trauma who came to the hospital via the emergency room between March 2018 and August 2019.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tinal contusion. Age, sex, and cause of trauma were investigated in each group.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ange of peripheral retinal contusion, and whether the retinal contusion invaded the fovea.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tion of orbital fractures and area of retinal contusion was analyzed. Results: “Assault”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orbital trauma in the retinal contusion group (19 of 41 eyes, 46.3%). “Traffic accident”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orbital trauma in the group with only orbital fracture without retinal contusion (108 of 310 eyes, 34.8%). The proportion of multiple orbital fractur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with a wide rather than a narrow range of peripheral retinal contusions (p = 0.020). “Flying object” was listed as the cause of orbital trauma significantly more often in the foveal contusion group than the intact fovea group (p = 0.036). Conclusions: Retinal contusions were found significantly more often in cases with orbital trauma due to “assault” or “flying object”. In the presence of multiple orbital wall fractures, the range of peripheral retinal contusion was wide. Retinal contusion due to “flying object” showed the highest rate of foveal involvement.

      • KCI등재

        황화수소가 섬유주단층세포층 투과도 증가에 미치는 영향과 일산화질소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손명서(Myung Seo Son),백민주(Min Ju Baek),김재우(Jae Woo Kim)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3

        목적: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H2S)가 섬유주단층세포층의 투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일산화질소와의 상호작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섬유주세포를 sodium hydrogen sulfide (NaHS) 0, 50, 100, 500 μM에 6시간 노출시킨 다음 transwell과 carboxyfluorescein을 이용하여 섬유주 단층세포층의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Griess assay로 일산화질소(nitrogen oxide, NO)의 생성을 측정하였고,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로 eNOS mRNA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저농도의 H2S에서 NO와 상승 작용이 일어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0, 1, 10 μM의 NaHS와 10 μM sodium nitropruside (SN)를 함께 투여하여 실험을 시행하였다. 결과: NaHS는 100 μM 이상에서 농도에 비례하여 섬유주단층세포층의 투과도를 증가시켰으며(p<0.05), NO의 생성과 eNOS mRNA의 발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5). 0, 1, 10 μM의 NaHS와 10 μM SN을 함께 투여한 경우 섬유주단층세포층의 투과도와 NO의 생성, eNOS mRNA의 발현에는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5). 결론: 고농도에서 H2S는 섬유주단층세포층의 투과도를 증가시켰으며 이러한 증가는 NO와는 무관하였다. 저농도에서 H2S는 NO와 상승 작용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고농도의 H2S는 섬유주를 통한 방수 유출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방수 유출의 증가는 NO와는 관련이 적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ydrogen sulfide (H2S) on the permeability of a cultured human trabecular meshwork cells(HTMC) monolayer and its interaction with nitric oxide (NO). Methods: After exposing primary cultured HTMCs to 0, 50, 100, and 500 μM sodium hydrogen sulfide (NaHS) for 6 hours, the permeabilities through the HTMC monolayer were measured using a Transwell assay with carboxyfluorescein. The production of NO and eNOS mRNA expression were assessed using the Griess assay and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0, 1, and 10 μM NaHS and 10 μM sodium nitroprusside (SN) were co-exposed to evaluate the possible synergistic effect of H2S and NO. Results: Greater than 100 μM NaHS increased the permeability through the HTMC monolayer in a dose-dependent manner(p < 0.05). These increased permeabilities were not accompanied by NO production or eNOS mRNA expression (p > 0.05). When 0, 1, and 10 μM NaHS and 10 μM SN were exposed togeth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of permeability, NO production, or eNOS mRNA expression (all, p > 0.05). Conclusions: NaHS at high concentrations increased the permeability of the HTMC monolayer, which was not affected by NO. NaHS at low concentrations did not show a synergistic effect with NO. Thus, H2S at high concentrations may increase trabecular outflow, which may not be associated with NO.

      • KCI등재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박순주(Soonjoo Park),권민아(Min-A Kwon),백민주(Min-Ju Baek),한나라(Na-Ra Han)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5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통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정도와 대인관계능력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전국 6개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502명이며, 2012년 5월부터 6월 사이에 성인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척도와 대인관계능력 검사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와 χ²-tes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SNS 이용자의 스마트폰 중독정도는 중독군이 24.8%, 일반군이 75.2%였다. SNS 이용자 가운데 스마트폰 중독집단과 일반집단의 대인관계능력은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영역 중 자기노출 능력은 중독집단이 일반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 하위영역 중 가상세계지향성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이 낮았고, 스마트폰 중독정도가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 하위영역 중 대인갈등 다루기 능력이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예방 및 대인관계능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SNS) through smartphone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study design. The convenience sample consisted of 502 college students in six citi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in 2012 using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Descriptive statistics, χ2-test,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24.8% of SNS users were considered as a risk group, while 75.2% were normal user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between risk group and normal user group in the SNS users. However, risk group had higher self-disclosure scores than normal user group. The subjects who had higher scores for virtual life, one of smartphone addiction subdomains, had lower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hose with higher smartphone addiction scores showed lower score of managing interpersonal conflict in subdomain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These findings would contribute in development of preventive interventions for smartphone addiction and improvement program for interpersonal competence in colleg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