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 건강문제 진단과 대안

        백경흔(Kyungheun Baek),정진주(Jinjoo Chung)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21 비판사회정책 Vol.- No.73

        보육교사는 열악한 노동조건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안녕이 위협받고 있다. 하지만, 어린이 안전과 아동학대 관련 문제가 부각되면서 다른 돌봄 노동과 마찬가지로 여성노동이라는 이유로 노동과 건강 양 측면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측면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육 현장에서 유래하는 교사의 건강문제 현황을 진단하고 대안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2016년 1월부터 5년 동안 한국연구재단 등재지후보이상 논문과 보고서 등을 분석하고, 2010년부터 10년 동안의 근로복지공단 서울업무상질병판정위원회가 심의한 보육교사 산재판정 결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학술연구에서는 주로 직무 스트레스, 대인관계 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감정노동 및 정신건강 문제 등이 나타났고, 산재판정에서는 정신질환 이외에도 근골격계질환이나 이비인후과 질환 등의 업무상 질병이 주요한 산재로 인정되었다. 연구와 산재 인정 현황에서 보육교사 건강 의제가 다소 다르게 나타나, 현장의 목소리와 보육환경과 건강을 연계한 보육교사 건강문제가 보다 공적 건강 의제로 부각되어야 할 필요성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 건강증진을 위해 어린이집안전공제회와 산업재해보상보험의 이원화된 건강체계의 일원화, 지속적 모니터링을 위한 보육교사 건강 데이터 베이스 축적, 원장 책임성 강화, 교사 인력을 포함한 적정 근무환경 조성, 보육교사 건강교육과 건강연구의 활성화,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 조치 마련 등의 대안을 제시한다. Although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 of childcare workers are threatened by poor working conditions, their health has hardly been a major academic agenda. Work of childcare workers is similar to other care work in which their work has long been gendered as women"s work in the private sector. However, as existing health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male labor, sufficient knowledge to explain women"s labor experience has not been accumulat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ealth problems of childcare workers and suggest alternatives to enhance their health. First, we analyze academic papers register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for the last 5 years from January 2016, and analyze data of the Seoul Committee on Occupational Disease Judgment for 10 years from 2010.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there is mismatch between findings of academic research and health agenda of childcare workers in terms of recognition of occupational diseases. It suggests that the health issues of childcare workers has not been properly addressed in the current public discussion. In addition, the mental health problem of childcare workers is very serious, and various diseases, accidents, and safety issues experienced by childcare workers, includ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need to be studied more actively in the future. Lastly, this study suggests alternative solutions as unification of the dual health system of the Daycare Center Safety Mutual Aid Association and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accumulation of health database to monitor their health, strengthen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workplace director and health education for childcare teachers, and further investigation of health research and development of measures to deal with childcare teachers" mental health problems.

      • KCI우수등재

        무급 돌봄노동 비숙련 통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백경흔(Baek, Kyungheun) 한국여성학회 2021 한국여성학 Vol.37 No.4

        본 연구는 무급 돌봄노동은 비숙련 노동이라는 통념을 여성주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숙련은 남성중심적으로 개념화되면서 여성화된 돌봄노동의 숙련을 잘 드러내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사적영역의 돌봄노동 경험을 드러내기 위해 17명의 기혼남녀를 심층면담하고, 커스터러(Kusterer, 1978)의 작업지식 논의를 기반으로 숙련을 판단했다. 면담 결과를 보면 육아, 요리, 청소, 세탁 등 양육적, 비양육적 돌봄은 작업지식이 필요한 숙련노동이며, 비숙련 통념이 유지되는 기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외되고 성별화된 전문화와 과잉 일상화, 둘째, 양육적, 비양육적 돌봄의 위계적 성별분업, 셋째, 돌봄의 관리적 특성으로 인한 작업지식 수렴과 축소 등이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돌봄 세부 노동 논의, 비양육적 돌봄의 성평등한 분담, 돌봄노동 작업지식 공론화, 초기 작업지식 공유의 중요성을 정책에 반영할 것을 제안했다.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some stereotypes of unskilled care work from a feminist perspective. As skills are conceptualized as male-centered, skills of feminized care work are not well evaluated. In order to reveal the experiences of care work in the private sphere, 17 married men and women were interviewed in-depth, and their skills were judged based on Kusterer’s discussion of working knowledge. Interview results proved that relational and non-relational care work-childcare, cooking, cleaning, and laundering-are skilled work, and three mechanisms were found to maintain unskilled stereotype. First, gendered specialization and excessive routinization in the isolated sphere, second, hierarchical gendered division of relational and non-relational care work, and third, care work’s characteristics of planning and decision-making and convergence of working knowledge into one person.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discussing detailed care work experiences, gender-equal sharing of non-relational care work, public debate on care work’s working knowledge, and gender-equal sharing of working knowledge at critical moments like marriage and childbirth.

      • KCI등재

        이중돌봄 맥락에서 본 부정의한 세대 간 돌봄책임 재분배

        백경흔(Baek, Kyungheun),송다영(Song, Dayoung),장수정(Jang, Soojung) 한국여성학회 2018 한국여성학 Vol.34 No.2

        본 연구는 5060 중고령 여성의 이중돌봄 경험을 구체적으로 드러낸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돌봄 맥락에서 중고령 여성들은 부정의한 세대 간 돌봄책임 재분배를 통해 다중의 돌봄책임이 한 사람에게 수렴되는 ‘세대 독박 돌봄’을 수행하고 있다. 둘째, 이들은 ‘과잉 돌봄책임을 거절할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충분한 지원 없이 독박 돌봄의 삶을 살고 있다. 셋째, 중고령 여성들은 딸, 며느리 등 자녀세대의 취업을 위해 예측하지 못한 비자발적 돌봄을 수행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세대 독박 돌봄’은 제도가 역할을 제대로 못 하면서 제도의 부정의가 가족내 세대 간 부정의한 돌봄책임 재분배로 확장되어, 여성이 전 세대에 걸쳐 돌봄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문제를 가져온다. 이에 이중돌봄이 불가피한 현실을 제대로 파악해 정책적 개선을 유도해야 한다. 첫째, 이중돌봄 맥락의 ‘세대 독박 돌봄’을 해결하기 위해 돌봄 대상에서 돌봄자 중심 접근으로 정책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전 세대에 걸쳐 노동권과 돌봄권이 적정하게 보장되는 생애주기 관점의 일가족양립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s experiences of 5060 middle-old aged women’s grandchildren caring in the context of double care and induces policy implications.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5060 women who care grandchildren in the context of double care take all responsibilities in a form of ‘Sedae Dokbak(one takes all care responsibilities of other generations)’ through unjust inter-generational re-distribution of care responsibilities. Secondly, these women take responsibilities with no proper assistance and no right to reject excessive care responsibilities. Thirdly, these women think grandchildren caring is an unexpected and involuntary life event but they accept it for their adult children’s economic participation. Lastly, as the institution fails to play a role of care safety net, unjust inter-generational re-distribution of care responsibilities within families is caused. As a result, women can not be free from care burdens through the entire life cycle. Following are policy suggestions. First, 5060 middle-old aged women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carer group in care policy. Secondly, these women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target of work and family balance policy in order to guarantee their right to work and care in a balanced way.

      • KCI등재

        `돌봄민주주의` 관점에서 본 보육정책

        백경흔 ( Baek Kyungheun ),송다영 ( Song Dayoung ),장수정 ( Jang Sooju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가족복지학 Vol.57 No.-

        본 논문은 돌봄민주주의 관점에서 중앙정부의 보육정책을 규범적 접근으로 분석했다.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돌봄공백이 신사회 위험으로 등장하면서 경제성장 중심에서 돌봄가치 중심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인식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돌봄윤리가 개별 정책에 어떤 방식으로 반영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못해왔다. 이에 돌봄민주주의 관점의 `자유`, `평등`, `정의` 가치를 적용해서 보육정책을 분석하고 새로운 정책 지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자유 관점에서, 현재 보육정책은 자유 선택의 제약으로 인해 공공성과 사회연대성이 담보되지 못하고 있다. 둘째, 평등관점에서 성별 및 소득불평등으로 인한 계층화는 인종과 세대의 축이 더해지면서 더욱 복잡하고 다층적인 불평등을 초래했으며, 사적 돌봄의 악순환이 나타나고 있다. 셋째, 정의관점에서 과거로부터 축적되어 온 부정의는 조정을 통해 교정되지 못하면서 구조적 불평등이 오히려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This study analyzes Korean childcare policy from a caring democracy perspective by using the normative policy analysis method. In the midst of emergent new social risks engendered by low fertility and aging population, feminist scholars proposed a transformative paradigm shift from economic growth to caring oriented development on a macro scale but researches on how this grand principle can be reflected into each policy have hardly been discussed. Thus, this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o such policy-driven discussion by analysing childcare policy on the basis of three normative values of freedom, equality and justice re-interpreted by caring democracy theory. Following are key findings. First, childcare policy does not guarantee public value and social solidarity due to the limitations of free choice from the perspective of freedom. Secondly, gender and class stratification has been worsened in a multiple and more complicated way by adding generational and racial dimensions to the existing gender inequality and vicious circulation of private care is observed from equality perspective. Thirdly, structural inequality aggravated injustice previously accumulated in the past rather than providing flat ground by adjustment.

      • KCI등재

        끈적끈적한 바닥의 덫 : 조기하원 규범형성과 보육서비스 이용제약

        백경흔(Kyungheun Baek)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21 비판사회정책 Vol.- No.70

        12시간 이용원칙이 법 제도화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육 현장에서는 장시간 보육을 이용하기보다 조기하원 하는 경향이 전 계층에 걸쳐 강하게 나타나는데 그 원인은 무엇일까? 본 연구는 유급노동이 생계를 위해 꼭 필요한 저소득계층 여성에 집중해서 장시간 보육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조기하원 규범이 어떻게 형성되고, 그로 인해 여성고용은 어떻게 제약되는지 분석한다. 제도와 사회문화적 측면을 함께 고려해서 유자녀 여성과 교사를 심층면담하고 분석했다. 연구결과를 보면, 일하는 여성 증가로 인한 장시간 보육 요구에도 불구하고 정책개선이 지연되면서, 나쁜 엄마, 불쌍한 아동, 불쌍한 교사 담론에 의해 조기하원 규범이 형성된다. 이에 경력 사다리가 없는 2차 시장에 주로 고용된 저소득계층 여성들은 종일반 이용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조기하원 규범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서비스 이용에 제약을 경험하고, 이로 인해 고용 선택도 제약되고 있다. 본 연구는 조기하원 규범 문제해결을 위해 전문화된 돌봄 모델로의 패러다임 전환 등의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Despite the legalization of the 12-hour usage principle, why is there a strong tendency of leaving early in child care centers across all classes? This study analyzes how early leaving norm is formed and how women"s employment is constrained, despite the need for full-day childcare service usage with a focus on low-income women for whom paid labor is essential for their living. Considering the system and the socio-cultural aspects together, I interviewed and analyzed low-income women and teachers. Analysis shows that early leaving norm is formed by bad mothers, poor children, and poor teachers discourses, as policy improvements are delayed despite an increase of full-day childcare demands due to an increase of working women. As a result, low-income women, mostly employed in secondary markets without career ladders, experience substantial restrictions on childcare service use due to early leaving norm, which also constrains employment choices. This study suggests alternative discussions such as paradigm shift to specialized care models are needed to solve the early leaving norm problem.

      • KCI등재

        성평등 관점에서의 저출산 기본계획 평가와 대안 전략에 관한 연구

        송다영(Song, Dayoung),백경흔(Baek, Kyungheun) 한국여성학회 2020 한국여성학 Vol.36 No.1

        한국사회 저출산 정책은 오랫동안 성평등을 중요한 정책목표로 삼지 않았다. 2018년 재구조화된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은 이전과 달리 성평등을 정책목표로 선언하였다. 그러나 남성들의 육아휴직제도 참여 정책을 예외로 하면, 저출산문제 해소의 3대 영역인 시간, 서비스, 비용지원 정책에서 성평등성이 어떻게 변화, 진일보했는가는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의 여성주의 논의를 수용하면서 성평등한 저출산 정책을 위한 기본전제와 지향성을 점검하고, 이것이 구체적으로 정책으로 설계될 때 요구되는 성평등 정책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성평등 정책 분석틀은 캐롤라인 모저의 논의와 사회적 불평등 논의를 결합해 확장해서 만들어졌다. 이와 같은 분석틀에 기초하여 첫째,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수정안)을 전체적으로 평가하면서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성불평등성을 분석하였고, 둘째, 제4차 기본계획 정책수립 시 고려해야 할 성평등 체크리스트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한국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이끌어나갈 수 있는 성평등한 저출산정책의 방향과 구체적인 대안 전략을 제안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For a long time, Korean low fertility policy has not targeted gender equality as an important policy goal. For the first time in 2018, the revised version of the 3rd basic plan for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had proclaimed gender equality as a policy goal unlike the previous ones. Other than child care leave policy targeting men, however, this plan still does not show how three main areas of time, service and financial assistance that are selected to resolve low fertility problem are supposed to make changes and progresses from gender equality perspective. This study reviews basic assumptions and orientation for gender equal low fertility policy and presents gender equality policy framework that is necessary when we fulfill them in reality in accordance with the previous feminist discussions. Gender equality policy framework is made by combining social inequality framework and Moser’s gender planing discussion. Based on a new gender equality analysis framework, at first, we evaluated the revised 3rd basic plan for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And, secondly, we presented gender equality check list that can be considered when the 4th basic plan will be establish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directions and detail alternative plan for gender equal low fertility policy for sustainable Korean societ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한국 한부모 여성의 돌봄권, 최저소득과 돌봄시간 보장의 차원: 국제비교를 통한 탐색적 접근

        김병인(Byounginn Kim),이혜정(Hyejung Lee),백경흔(Kyungheun Baek),장수정(Soojung Jang)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21 비판사회정책 Vol.- No.72

        본 연구의 목적은 활성화(activation)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바탕으로 국제비교를 통해 한국 한부모 여성의 돌봄권을 탐색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일을 통한 빈곤탈출’을 지향하는 활성화와 한부모 여성의 최저소득보장에 대한 문헌고찰을 토대로, 최저소득과 돌봄시간 보장 차원에서 한국 한부모 여성의 돌봄권 수준을 영국, 독일, 노르웨이와 견주면서 탐색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은 2자녀 한부모가구의 최저소득보장 적정성이 영국과 독일보다 낮았지만 노르웨이보다는 높은 수준을 점했다. OECD 35개국 평균보다도 한국은 더 높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적인 빈곤선인 중위가처분 소득의 60% 기준에 미달하였으며, 한국의 수급자격도 엄격했다. 돌봄시간 보장의 경우 한국이 비교국가보다 조건부과 수준이 엄격하거나 돌봄시간 보장 정도가 낮지 않았지만, 활성화 개혁 이후 이들 국가들이 자활의무와 제재조치를 강화한 것을 감안하면 보장성이 충분하다고 보기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이상의 예비적 결론을 바탕으로 국제적 차원에서의 한국 한부모 여성에 대한 사회정책을 이해하는 열쇠를 제시하고자 하였는데, 구체적으로 유급노동뿐만 아니라 ‘돌봄’을 포함하는 통합적인 시민권을 모색하는 단초로서 한부모 가구의 빈곤해소 정책에 대한 정책적 실마리와 학문적 영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d single mother’s right to caring in South Korea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 based on critical reviews on the Activation. The ‘activation’ is policy paradigm that emphasizes on economic sufficiency of single mothers through ‘paid work’, unlike traditional social protection. This study found the adequacy of the minimum income schemes for single mother with two children in South Korea was lower than that of UK and Germany, but higher than counterpart of Norway. Nevertheless, this result has failed to meet as the 60% criteria of median equivalized disposable income. In South Korea the level of welfare conditionality is less stricter or guaranteeing their care time is not lower than that of comparative countries. But it would not be easy to say that their right to caring time is sufficiently guaranteed in South Korea, given that other countries have strengthened welfare conditionality and sanctions since ‘activation turn’. These results is expected to be able to understand social policies for single mothers in South Korea at an international level, while providing clues for exploring ‘inclusive citizenship’ that include care as well as paid work.

      • KCI등재

        ‘민주적 돌봄’ 관점에서 본 지방자치단체의 가족정책에 대한 고찰

        송다영(Song, Dayoung),장수정(Jang, Soojung),백경흔(Baek, Kyungheun)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7 젠더와 문화 Vol.10 No.1

        본 논문은 중앙정부와는 다른 결을 만들어내고자 했던 한 지방자치단체의 새로운 시도로서의 가족정책을 규범적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트론토(Tronto, 2014)가 제시한 자유, 평등, 정의의 개념을 접목하여 만들어낸 ‘민주적 돌봄’ 관점을 서울시 가족정책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돌봄 정책에 있어서는 국가의 공공성을 높이고 남성의 참여, 지역주민들의 공동 참여를 모색하려는 노력이 보였으며, 둘째, 일가족양립 정책에서는 일과 생활의 균형을 모색하는 노력이 있었으나 프로그램에 머무르는 한계가 보였다. 종합하면 해당지자체의 가족정책은 민주적 돌봄 관점의 정책지향을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family policies of a local government, Seoul City, from 2013 to 2016 that made a new effort compared with the central government using normative approach. This study analyzed family policies on democratic care perspectives of freedom, equality, and justice that Tronto(2014) suggested as important values for a sustainable society. This article suggests a possibility that family policies of a local government can be differently applied and re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framework. The results indicat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care policy, the local government made an effort to increase the publicity of child car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care, and reciprocal relationships of residents in the local community. Second, in case of work-family balance policies, the local government has developed programs to support work-family balance for dual-income families. However, the programs are limited. In sum, the local government has pursued for family policies of democratic care perspectives so that all citizens have rights to care or care not for, and receive care from without any distinction as to gender, age, family sizes, or income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