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선조 임인년(1602) 명나라 사신 접반의 교유 양상- 이안눌의 「東?錄」을 중심으로

        배주연 ( Joo Yeon Bae ) 한국비교문학회 2013 比較文學 Vol.0 No.61

        In the period right after Im-jin War(임진란), despite the difficulties of political and economic environment, there were more chances to interchange between two countries and they had a close interest in their cultures each other. Based on these backgrounds, the envoys of two countries had more desires to know each other and made a meaningful activities. Actually, Chosun government made a big scholar group for the first envoys of literary scholars like Cheonjun-Ko(고천준), Jeongkeon-Choi(최정건) of Ming to interchange their literary culture. They made a close interchange between envoys of two countries, they issued the book of poetry which contained the works written during their interchange after 12 years. This paper reviewed the interchange between envoys of two countries based on the Dongsarok(東差錄) written by Annul-Lee(이안눌), by three point of view, "their prides of participations of the meeting", "compliment for envoys of Ming for form`s sake“, "emphasis of mercy(再造之恩) from the memory of war"This study shows the type of interchange between envoys, and diplomatic literature for the envoys of Ming after Im-jin War.

      • KCI등재

        東岳 李安訥의 詩文學 硏究

        배주연(Bae, Joo-Yeon) 한국고전연구학회 2005 한국고전연구 Vol.12 No.-

        東岳 李安訥은 16C말ㆍ17C초의 시기를 살았던 인물로 목릉성세의 시대에 시에 있어서 권필과 二才로 병칭되었던 문인이다. 그가 남긴 2913제 4379수의 한시는 『東岳集』의 체재가 작자의 다양한 現地 체험에 따라 그 시기에 지어진 작품을 한 권으로 묶고, 이를 시대 순으로 합하는 편차방식을 택하고 있어 저작 시기의 추정이 용이하다. 창작의 시공간을 중심으로 합한 방식을 취한 이안눌의 자편고는 철저한 ‘一官一錄’의 원칙 하에 만들어진 문집이라는 점에서 특히 주목된다. 이와 같은 『東岳集』의 시고에 따른 연대별ㆍ시간별 체제는 작자의 행적을 쉽게 알 수 있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동악 이안눌의 한시가 여러 지역의 목민관을 역임하였던 작자의 특별한 체험을 바탕으로 각 지방과 관련된 구체적 정보를 상세히 기록하여 보충하는 인문 지리적 특성을 가진다는 점에 주목하여 시세계를 고찰하여 보았다. 먼저 인문 지리적 인식의 배경으로 첫째, 전국의 8도 중에서 황해도를 제외한 7곳의 걸친 넓은 지역의 지방관을 역임하였던 특수한 관력을 들 수 있다. 둘째, 임ㆍ병란 등의 전란을 겪은 후 국토 산하와 민족의 역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것이다. 셋째, 地志를 치정의 한 방편으로 인식한 관인문학으로서의 자각을 들 수 있다. 넷째, 이안눌이 基韓範杜의 시학을 기초로 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은 그가 두보의 시를 萬三千讀 했다는 여러 시화의 기록에서도 확인된다. 이안눌 한시의 인문 지리적 인식은 첫째, 관할지에서의 장소와 시간에 관한 각별한 의식을 토대로 기후, 풍물, 풍속 등을 시어로 수용한 작품을 창작하였다는 점이다. 각 지역의 鄕土的 특색을 시화하는데 남다른 식견을 가지고 새로운 풍물, 관련 지역의 풍토, 그곳에 사는 이들의 삶에 관심을 보인다. 관할지의 구체적인 사항을 담은 地志에 관심을 가지고 그것을 시의 형식으로 드러내는 것이다. 따라서 전국에 걸친 다양한 現地에서의 체험을 바탕으로 土風民物을 형상화한 이러한 시편들은 輿地志로서의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둘째, 산과 강, 마을의 이름을 포함한 고유 지명이나, 호, 벼슬 이름 등 사람을 지칭하는 고유명사 등을 거리낌 없이 시 속에 삽입하였으며, 단군을 비롯한 혁거세, 온조왕 등의 역사 속 인물들을 차용하여 민족의 긍지와 역사의식을 되새기고 자 하였다는 점이다. 관할지의 토풍민물이나 조선의 고유지명ㆍ인명 등을 비롯한 인문 지리에 관한 제반사항을 시어화한 이러한 태도는 생경한 어감이라든가 시의 흥취라기보다는 시의 내용상 사실성과 구체성 확보의 차원으로 해석될 수 있다. Dongak Yi Ahn-nul, who lived in the late 16th and early 17th centuries, is a literary man ranked as one of the two genius including Gwon Pil in the age of cultural prosperity. Regarding the 2913 Chinese poems and 4379 pieces that he left, the system of <Dongakjib>(the collection of Yi Ahn-nul's literary works) selected an editing method in which literary works were divided and made up into a volume in accordance with each time when the poet was in the place of his work and those works were integrated chronologically, thus, it may be easy to estimate the time of writing. Accordingly, this study was to review Yi Ahn-nul's poetic world focusing on the point that his Chinese poems had anthropoge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specific information on each area was detail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 special experiences of the author who had filled his posts as a governor in many areas. With regard to anthropo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Yi Ahn-nul's Chinese poems, first, he creased works in which climates, lifestyles and customs were accepted through poetic words on the ground of particular senses he felt about the space and time of his post. He had unique views in making each area's native characteristics into poems. He also showed interest in new lifestyles, the relevant areas' natural features and the life of those who lived in the areas. Therefore, these poems, in which journeys, climates and customs were shaped on the basis of various field experiences across the nation, may have special meanings as a geographical book. Second, as for the anthropo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his poems, he did not hesitate to insert proper place names including those of mountains, rivers and villages or proper nouns naming people such as pen names and official posts. He also intended to mediate national pride and historical mind by borrowing historic characters such as Dan-gun, Hyeokgeose and King Onjo. Such an attitude is interpreted as the dimension in which he tried to secure reality and concreteness for the contents of poems, rather than as a crude sense of words or poetic charms. In particular, the poetic structure, where general anthropogeographic facts in his place of post were finely connected and composed including native customs and people or proper names of places and persons in the Chosun Dynasty, may come from the author's purpose to express his "intended landscapes" eff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기획논문 : 관서,관북 지역의 문학적 형상화와 문학 활동-조선시대를 중심으로 ; 이안눌의 관북 종군기 <북새록>연구

        배주연 ( Joo Yeon Bae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1 한국고전연구 Vol.0 No.24

        ``穆陵盛世``로 불리는 조선 중기 한시사에서 이안눌(1571~1637)은 권필(1569~1612)과 함께 거론되며 盛唐風의 기조를 띠었다는 평가를 받았던 인물이다. 본고는 이안눌의 문집 『東岳集』중에서 관북 종군 체험의 기록인 제1권 「北塞錄」을 대상으로 하여 그의 변새시 양상을 살피고 그 특징 및 의의를 고찰한 것이다. 도입부에서는 작품 분석에 앞서 그의 관북·관서 지역에서의 특수한 관력과 「北塞錄」의 대략적 작품 개관을 살피고 변새시의 개념 및 범주를 정리하였다. ``邊塞 風情의 시적 형상화 양상``에서는 ``豪壯``을 미감으로 하는 ``지향하는 의지적 자아의 형상화``와 ``悲慨``를 미감으로 하는 ``실의한 현실적 자아의 형상화``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이 두 가지 양상을 다시 전자는 제목 형태에 따라 ``題古樂府詩``와 ``題朝鮮地名``으로 나누고 후자를 정서의 표출 양상에 따라 ``내적 갈등의 직접적토로``와 ``절제된 슬픔의 담담한 술회``로 나누어 개별 작품의 분석을 통해 의미를 살펴보았다. 먼저, ``豪壯``의 미감을 주로 하고 ``지향하는 의지적 자아를 형상화`` 하는 작품 경향은 의고의 성격을 띤 관습적 표현을 많이 써서 실제 체험과는 다른 윤색된 공간으로서의 변새 장면이 제시된다. 표현 방식에 있어서도 감각적 시상을 통한 색채의 강렬한 대조, 지나친 과장의 방식을 자주 사용하며 시점도 ``丈夫``·``男兒`` 등의 범칭의 인물 형상의 형태로 자주 표현되는 특징을 가진다. 다음으로 ``悲慨``의 미감을 주로 하는 ``실의한 현실적 자아를 형상화``하는 작품경향은 자신의 경험을 직접적 언술 방식으로 드러냄으로써 변새 현실의 실제 생활을 구현해내는 특징이 있다. 좌절과 슬픔의 표출 방식은 때로는 직설적 언술로 다소 격하게 토로되기도 하고 때로는 감정을 절제하여 내면에 가라앉힘으로써 담담한 어조로 자연스럽게 드러내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작품 분석을 통해 드러난 이안눌 변새시의 특징 및 의의를 전통의수용과 변용의 측면에 주목하여 고찰하였다. 첫째, 조선 중기 학당풍의 분위기 속에서 변새시는 중국 성당풍 변새시파의 전통을 조선 문풍에 맞게 수용하여 발전시키고자 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이안눌의 「北塞錄」소재 변새시는 邊塞 風情에 대한 다양한 정서 표현이 드러나며, 여기에서 느끼는 정서적 갈등은 대사회적 인식으로 인한 反戰사상이라기보다 개인적 차원의 관심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셋째, 시점, 의경, 시상 전개에 있어서 종군하는 주체로서의 실제 경험을 시적 화자와 일치시켜 표현하려는 특징을 보인다. In the history of Chinese poems in the mid of Yi Dynasty, YI Ahn-nul (1571-1637) and Guen pil were one of the most famous poets in that era and among them YI Ahn-nul`s poem was affected by Seongdangpung(盛唐風). Among YI Ahn-nul`s Dongakjib(東岳集), this paper studies Buksaerok(北塞錄) article no. 1 which wrote about experiences of Guanbuk(關北). Before studying the Buksaerok(北塞錄) his career at Buksaerok government is reviewed, and then outlines of poems in Buksaerok(北塞錄) and concept of the exiting Beonsae(邊塞) atmosphere at that time is summarized. This paper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ms in two parts, one group is characterized by "willingness to overcome", another by "disappointment to the reality". The former group is categorized with two types by their subjects, and the latter with "direct exposure of his distress" and "tempered expression of his sadness". Through these categorizations, this paper analyzes characteristics of his poems and their meanings. His poems characterized by "willingness to overcome" were expressed through the customary phrases a little remote from the reality, such like those using the exaggerated, rhetorical and strong contrast expressions. His poems characterized by "disappointment to the reality" were written through the direct expression of his experiences that described the reality. Those expression, sometimes, were written directly and, sometimes, with the tempered. In the last place, this paper examined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his poems in the aspect of the acceptance and modification of the tradition at that time. First, his poets accepted the China`s Seongdangpung(盛唐風) traditions, and developed and modified that tradition for that of Yi Dynasty`s. Second, his poets were written with the various emotional expressions. But those expressions were defined only for individual perspectives not for those of society. Third, in aspect of describing the image his poets have the characteristics to express his real experience of war through the narrator of the poets.

      • KCI등재
      • KCI등재

        한문서학서(漢文西學書) ≷공제격치(空際格致)≸ 연구

        배주연(Bae, Joo-yeon) 한국고전연구학회 2017 한국고전연구 Vol.0 No.37

        본 논문은 예수회 선교사 바뇨니가 저술한 한문서학서 ≷공제격치≸를 통해 당시 중국에 체류한 서양인의 입장에서 본 자연 과학 지식에 대한 주요 내용을 살피고 이에 대한 조선 지식인들의 수용 양상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공제격치≸는 중국에 온 이탈리아 선교사 알폰소 바뇨니(A.Vagnoni, 高一志, 이탈리아: 1566~1640)가 저술한 내용을 명나라 학자 한운(韓雲)과 진소성(陳所 性)이 교정하여 1633년에 간행한 한문서학서이다. 내용은 유성 · 혜성 · 바람 · 구름 · 안개 · 지진 등에 관한 천문학 지식과 우주 변화를 불 ·공기·물·흙의 근본 물질로 설명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원소설(四元素說)등에 대한 이론을 서술하고 있다. ≷공제격치≸에 대한 조선에서의 영향을 살펴보면 이익은 그의 문집에서 기상이나 지진 등에 관련된 서술 항목에서 이 책의 내용을 언급하였다. 이어 18세기 후반 조선의 학자들에게서는 사행론의 영향이 활발하게 나타났는데 홍대용 · 이청 등의 인물이 오행을 반성적으로 검토하고 그 비판에 나섰다. 특히 19세기 최한기(崔漢綺, 1803~1877)는 ≷공제격치≸를 탐독하고 그것을 자신의 저작에 적극적으로 활용한 인물이다. 그의 저작 ≷운화측험≸의 많은 부분은 ≷공제격치≸의 기상학 관련 기사를 발췌한 것으로 이 책이 그의 과학적 사유의 중요한 단초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는 1830년대부터 지구설과 기(氣)의 회전 이론을 기반으로 조석 현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였는데 서양의 사행설이 동양의 오행설보다 진전된 것임을 인정하면서도 제대로 된 이론은 아니라고 판단하여 화 · 수 · 토를 기의 하부구조로 말하고 만물을 기 · 화 · 지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is to review the contents of the natural science and its critical issues described in the ≷Kongje keokchi≸ written by A.Vagnoni, Jesuit Missionary, from Italy, and to examine the responses of intellectuals of Choseon-Dynasty. ≷Kongje keokchi≸ is ‘Hanmun Seohakseo’ written by A.Vagnoni(Italy: 1566~1640) and edited by Hanun(韓雲) and Jinsoseong (陳所性) of Ming(明) Dynasty in 1633. This book described the knowledge of astronomy such as wind, fog, earthquake etc. and the philosophy of Aristotle. The purpose of this book was to spread the providence of God of Christianity through introducing the western science. According to the ‘Thomism’, to find out the god s creatures through the rationality of nature endowed by God is considered as the way to the God and it is the main reason why this book accepted the philosophy of Aristotle actively. This paper examine the the response of the intellectuals of ChoseonDynasty on this book. This book deeply affected the view of nature of Silhak scolars and we can see that in the recognition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陰陽五行論)’ and through the Spherical of the Earths. We can see the influence of this book in the collection works of Lee-ik (李瀷) which described the climate and earthquake. After introduced this book to the Yi Dynasty, the effect of ‘Four Elements Theory’ was spread actively among scholars in late 18C and it was trigerred to make the ‘Silhak Scholars’ in the Choseon-Dynasty. As mentioned above, introduction of this book to Choseon-Dynasty was served as a momentum to prepare the various theories on the natural science. The successive work is needed to compare the works of scholars who were influenced by this book.

      • KCI등재

        알폰소 바뇨니(P. A Vagnoni)의 『동유교육(童幼敎育)』 연구

        배주연(Bae Joo yeon) 한국고전연구학회 2015 한국고전연구 Vol.0 No.32

        『동유교육』은 17세기 중엽 이태리 출신 선교사 바뇨니(Vagnoni)가 예수교의 적응주의 포교 활동의 일환으로 저술한 아동 교육서이다. 본 연구는 중국 선교사 바뇨니가 지은 『동유교육(1620)』의 서지 사항을 비롯한 저술 배경과 각 장의 주요내용을 살펴 그 특징을 정리하고 조선 서학사에서 차지하는 의의를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문화적 배경은 서구였으나 다년간의 중국 생활로 당시의 동아시아 문화를 수용한 점이 확인된다는 점에서 예수회의 적응주의 선교 전략에 의해 바뇨니가 쓴 한 문서학서 『동유교육』에 대한 연구는 당시 동서 문화 교류사에서 특별한 가치를 가지는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유교육』 필사본인 대만의 보인대학본 자료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내용 분석을 통해 추출된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수회 수련과정에서 서양의 철학 정치학 윤리학에 대한 숙련된 이해를 바탕으로 서학에 대한 계통적 분류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바뇨니는 서학 이라는 언급을 처음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동유교육』을 1620년 지었음을 볼 때 Aleni의 『서학범(西學凡)』보다도 앞선 시기였다. 이를 통해 서양 학문에 대한 개관적 설명으로 서학을 소개하고 있다. 둘째, 아동 교육에 있어 부모와 교사의 역할을 중요시하였으며 특히 어머니를 기르는 역할로 아버지를 가르치는 주체로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동양적 사고방식인 유교에 바탕으로 둔 본말론(本末論)이 아닌 인(仁) 을 본받는 것의 근본이 바로 천주에 있다고 함으로써 유가적 가치이자 윤리규범인 인과 천주를 경외하는 것을 일치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넷째,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 를 통한 동서 융합적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대학(大學)』의 삼강령팔조목(三綱領八條目) 중 하나로 수신(修身)하지 않으면 집안을 바로잡을 수 없다고 하여 제가(齊家)에 앞서 수신을 그 선행요건으로 삼는데 이는 서구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에서 국가ㆍ가정ㆍ개인의 관계를 유기적으로 파악한 것을 윤리적 측면에서 동양적 개념으로 수용하여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童幼敎育 written by P. A Vagnoni is the book for the education of the child of which written purpose is mission work of the Christianity in the mid of 17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background and the contents of the book and to find out the implication of the western literature in the Yi Dynasty. The study on the 童幼敎育 has the meaningful implication in the aspect that this book accept the culture of the Eastern Asia in those days. This study is based on the manuscript possessed by the 輔仁University in Taipei.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of the book are as follows. First, it shows the classification of the line of western literature based on the well understanding of the philosophy, politics and ethics of the West. P.A Vagnoni referred 西學 earlier than Aleni considering this book written in 1620. Second, it shows the importance of roles of the parent and teacher in education of the child. Especially it shows the role of the parent, that of the mother is the raising and that of the father is the teaching of the child. Third, it says that 인 is closely related to the spirit of the Lord rather than 本末論 which is the basic thought of 儒敎. Fourth, it shows the fusion thought of the East and West through the 修身齊家治國平天下. It says that the relationship of the nation, family and individual in the politics of Aristoteles is similar to the thought of 修身齊家治國平天下.

      • 대학생들의 읽기 능력 연구

        최봉실 ( Bong Sil Choi ),배주연 ( Joo Yeon Bae ) 한국초등특수교육학회 2014 초등특수교육연구 Vol.16 No.1

        이 연구는 광주 N 대학교 학생들의 읽기 능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보이고 있는 읽기 오류에 대해 알아보는 목적이 있으며, 3개 계열, 7개학과 15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측정내용은 읽기오류의 생략, 첨가, 대치, 도치, 더듬거림, 자소 음소대응, 개별단어 읽기 어려음, 누락, 띄워 읽기, 순서 바꾸어 읽기 등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읽기오류 유형을 보면, 더듬거림(78.6%)유형에서 가장 많은 오류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는 대치(67.1%)로 나타났다. 계열별로는 이공계열에서 생략(65.3%), 보건계열에서 대치(78.8%), 인문계열에서는 비슷한 단어 혼동(48.2%)으로 많이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