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직 및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연구 -주요개념 정의, 측정 방법, 주요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이홍직 ( Hong Jik Lee ),배정현 ( Chung Hyun Bae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4 이화사회복지연구 Vol.5 No.-

        1980년대 이래로 미국의 사회복지학계에서 '조직 및 프로그램 효과성'은 중요한 화두가 되어왔다. 이러한 효과성에 대한 관심은 정부의 복지지출 감소로 인해, 제한된 재원을 확보하는 일환으로 인간봉사 조직에게 요구되어지는 책무성과도 그 맥락을 같이 한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에서, 본 연구는 조직 및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주요 개념과 측정 방법, 그리고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명확히 하고자, 미국의 인간봉사 조직의 효과성에 관한 40여개의 연구문헌을 고찰하였다. 또한, 본고는 연구의 목적을 위해 인간봉사 조직체뿐 아니라 일반기업체와 기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효과성 연구들도 부수적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효과성의 개념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효과성은 조직 효과성의 하위개념으로 이해되며, 서비스 성과와의 비교에 있어서, 성과는 프로그램의 결과와 영향력, 성취 등으로 표현되며, 효과성은 이러한 성과가 제시한 목표에 근접하는 정도로 제시되고 있다. 둘째, 효과성의 측정 방법에 있어서는 연구에 따라, 다양한 척도들이 이용되었는데, 이는 보편타당하고 신뢰할만한 척도의 개발이 용이하지 않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증명한다. 셋째, 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다양한 요인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기관장의 가치, 지도력, 능력, 그리고 직원들의 인지능력과 행위 등과 같은 조직 구성원에 관련된 요인들이 주요한 효과성 결정요인으로 제시 되었다. 요컨대, 효과성에 대한 정의, 측정방법, 그리고 효과성 결정요인에 있어서, 연구의 목적 및 연구 대상 기관과 프로그램이 지향하는 목표 등에 따라 다양하게 규정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사회복지학계에서 조직과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논의를 통해, 보다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개념의 정립 및 측정방법상에서의 체계화가 필요함을 주장한다. Recently, the rapid growth of the human service sector in the U.S. generates the need to develop its quality and accountability to gain a limited fund. Hence, the issue of effectivenes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human service sector. In response to this environment,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organizational/program effectiveness, to investigate organizational/program effectiveness evaluation and measurement issues, and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program effectiveness. This study reviewed approximately forty cases of theoretical or empirical research on effectiveness in organizations, especially human service organizations and social welfare programs. This study also included a few studies in other fields such as business and public management are included as they are relevant to the discussion of organizational and program effectiveness in social service sector.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many previous studies regarded program effectiveness as a sub-category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as a result, they distinguished between program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two different levels. Secondly, various measures were us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program or organization in the previous research, and it was proved indirectly that developing valid and reliable measures in human service field is a difficult task. Thirdly, although diverse factors were reported to determine the level of program/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actors related to human resource were most frequently indicated as key factors among them.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inuous research, competition, and communication among social work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needed to establish firm and universally accepted definitions and to develop valid and reliable methodologies to measure them.

      • 한국의 국민연금과 미국의 노령대상 공적연금에 관한 연구 -재정적 문제를 중심으로-

        이홍직 ( Hong Jik Lee ),배정현 ( Chung Hyun Bae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4 이화사회복지연구 Vol.4 No.-

        본고는 한국의 국민연금제도와 미국의 사회보장제도하의 공적연금제도(The Old Age, Survivors, and Disability Insurance Programs)를 비교 연구하였다. 전반부에서는 Gilbert and Terrell이 제시하는 정책분석상의 네 가지 차원인 급여의 대상, 급여의 형태, 전달체계, 및 재원조달을 통해 양국의 제도가 가지는 성격을 고찰하며, 양국의 체제가 지니는 공통점과 상이점을 비교하였다. 후반부에는 최근 양국의 공적연금제도에 관한 논쟁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재정위기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며, 각 해결책이 지니는 한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양국의 공적연금체제는 공히 프로그램운영 및 재정적 불안정성에 많은 비난을 받고 있다. 이러한 연금제도상의 재정적인 불균형의 문제는 양국과 같은 자본주의 사회체제에 있어서의 공공복지정책이 가지는 고유한 한계를 잘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한국의 경우에 있어서는 연금재정운영의 선명성과 수익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권고한다. 미국에 있어서는 재정적 불균형의 해결책으로써 민영화방안을 시도함에 있어서, 사회보장의 고유한 원칙인 '보편주의'에 대한 신중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This article compares two National Pension systems - The Old Age, Survivors and Disability Insurance Programs in the U. S. and the National Pension system in South Korea.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wo systems in terms of four dimensions presented by Gilbert and Terrell. The four dimensions consist of 1) the basis of social allocation, 2) nature of social provision, 3) the delivery system, and 4) finance. The latter part of this article explores the financial instability, which is currently the most critical issue in both systems. They have been the target of many criticisms by people who are dissatisfied with its program design and financial unsustainability. These problems are very complex in nature and multi-layered, which warrants in-depth and careful attention to reach better solutions. Furthermore, this study addresses the reasons of financial imbalance, coping methods, and limitations of each coping methods in each systems. The financial crisis in both Pension systems may be a reflection of the intrinsic limitations of public welfare programs in capitalistic societ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In conclusion, the transparency, specialism and profitability of the Pension fund management should be reinforced in South Korea. In the U. S.. a thoughtful consideration of the universality, a unique nature of Social Security, should precede before introducing the privatization strategy as a solution for the fiscal imbalance.

      • KCI등재

        여성 사이버멘토링 발전 방안을 위한 연구

        이홍직(Lee Hong-Jik),김예성(Kim Ye-Sung),배정현(Bae Chung-Hyun),박화옥(Park Hwa-Ok)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社會科學硏究 Vol.26 No.3

        전문인력 활용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사이버멘토링은 여성들의 잠재력을 계발할 수 있는 효율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여성 사이버멘토링 프로그램인 위민넷 사이버멘토링 프로그램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Q 방법론을 통해 이들의 주관적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여성 사이버멘토링을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위민넷 프로그램 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다양한 분야의 멘토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을 주요한 과제로 제시하였으며, ‘직간접적인 소통을 원하는 유형’, ‘기술적인 운영 부분에서의 변화를 추구하는 유형’, ‘전문적이고 질 높은 교육을 원하는 유형’이라는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여성 사이버멘토링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온오프라인 사이버멘토링 연결망의 활성화, 기술적인 운영에 대한 지원,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수준 높은 교육 제공 등의 방안을 제시하고 구체적 실천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Under the situation of importance of female resources are increased, a cyber-mentoring system has been taken an attention to be an effective method for developing women's potential abilitie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perception types about cyber-mentoring program of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Women-Net cyber mentoring program which is a national cyber-mentoring system for women and suggest methods for improving cyber-mentoring syste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dopted Q-methodology which is developed mainly to study on the subjective conceptualization of related people on research theme. The results showed that recruiting large numbers of mentors from various fileds is the primary subject of cyber-mentoring system pointed out commonly by participants. And this study found out three major types of perception on cyber-mentoring program, which are the types of desiring for frequent communication with other participants, pursuing change in techniques through the management system, expecting to receive professional and high-quality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various methods for activating on-off lined network, supporting technical operations and offering high level of education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