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첨족 뇌성마비 장애인의 3D 프린팅 맞춤형 인솔 착용을 통한 보행 경험 연구: 사용자 참여 디자인을 중심으로

        배건환 ( Gun-hwan Bae ),노형규 ( Hyoung-kuy Roh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는 사용자 참여 디자인을 통해 3D 프린팅 개인맞춤형 인솔을 제작하고 그것이 첨족 뇌성마비 장애인의 보행에 어떤 경험과 의미를 주는지 탐색하고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수도권에 거주중인 남, 여 만 8세 이상 뇌성마비 장애인 중 보행과 면담이 가능하고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자 3명을 대상으로 2020년 7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되었다. 인솔 착용 기간 중 참여관찰과 심층 면담이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개방적 코딩과 귀납적 주제분석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질적 연구 결과의 보완과 더욱 충실한 논의 제공을 위해 개인맞춤형 인솔의 착용 전과 착용 후 상태에서 근전도, 지면반력과 같은 운동역학적 변인에 대한 분석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는 전문가 집단의 지속적 검토를 받으며 진행하였으며 분석 자료에 대한 연구참여자의 확인 및 삼각검증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 참여 디자인을 적용한 3D 프린팅 개인맞춤형 인솔의 제작 절차에 대한 연구문제 1의 핵심 주제어는 ‘손뼉이 마주치다’, ‘첫발을 내디디며’, ‘한 걸음씩 나아가다’, ‘언덕 위에 다다르다’, ‘고생 끝에 낙’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사용자 참여 디자인을 적용한 3D 프린팅 개인맞춤형 인솔의 제작 및 사용과정에서 첨족 뇌성마비 장애인들이 겪는 경험에 대한 연구문제 2의 핵심 주제어는 ‘유레카: 새로운 경험’, ‘작은 소용돌이: 나에게 찾아온 것들’로 확인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개인맞춤형 인솔이 기존에 접해왔던 일반 인솔, 보조기 등과는 다른 새로운 제품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으며, 3D 프린팅과 사용자 참여 디자인 방식을 통해 본인이 원하는 인솔을 스스로 만들고 사용하는 것 역시 기존에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경험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3D 프린팅 개인맞춤형 인솔을 착용하며 신체적, 심리적으로 변화하는 자신의 모습을 자각하고 있었다. 근전도와 지면반력의 운동역학적 변인의 분석 결과는 연구참여자들이 언급한 심리적 변화에 대한 내용을 실제적으로 뒷받침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한 맞춤형 인솔 착용이 뇌성마비인들의 보행에 줄 수 있는 긍정적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일상생활 및 운동과 관련된 신체활동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produce 3D printing personalized insoles through the process of participation in the design of the individual users themselves and to explore what experiences and meanings are given to the walking of people with cerebral palsy with equinus deformity.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er selected three people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among men and women over 8 years old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earch process was conducted from July 2020 to November 2020.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during the period of wearing the insole, and the researcher transcribed all the collected data and carried out an open coding and inductive thematic analysis. Furthermore, to complement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study and provide more faithful discussion, additional biomechanical analysis such as EMG and GRF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wearing a personalized insole. In this study, the procedure was carried out under continuous review by an expert group, and to secure the truth of the study, the affirmation of the analysis data by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triangulation was used. Through this process, 5 core themes of research question 1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3D printing personalized insoles applying user participation design, 'Bursts of applause', ‘Taking the first step’, ‘Going one step at a time’, ‘Reach on the hill’, ‘Every cloud has a silver lining’ were derived. In addition, 2 core themes of research question 2 on the experiences of people with cerebral palsy with equinus deformity in the process of making and using 3D printing personalized insoles with user participation design, ‘Eureka: a new experience’ and 'Little whirlpools: things that come to me’ were derive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ware of their changing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while wearing 3D printing personalized insoles, and the results of the biomechanical analysis supported w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mentioned about these changes. Through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wearing customized insoles applying 3D printing technology in the future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gait of cerebral palsy, and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range of physical activities related to daily life and exercise can be expanded.

      • 대안적 특수교육실천을 위한 비판적 실행연구 : 중도 · 중복장애 학생의 스포츠활동(MATP)을 중심으로

        황상현(Sang-Hyun Hwang),정정환(Jeong-Hwan Jeong),배건환(Gun-Hwan Bae) 한국장애인재단 2021 장애의 재해석 Vol.2021 No.-

        이 연구는 의료담론에 의해 축소 · 은폐된 중도 · 중복장애 학생의 가능성을 드러내고, ‘할 수 있는 몸’이라는 대안담론 형성의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의 문제를 둘러싼 정치 · 경제 · 사회적 영향력을 직시하고, 이를 실천적 행위를 통해 해체 · 재구성하기 위한 비판적 실행연구를 연구방법으로 적용하였다. 3개 학교의 교사들로 구성된 교사학습공동체와 연구진은 MATP라는 중도 · 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스포츠활동을 특수교육 현장에서 실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교사학습공동체 구성원 8명과 동료교사 4명, 보조인력 6명을 포함하여 총 18명으로 구성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심층면담, 포커스그룹인터뷰(FGI), 참여관찰을 실시하였고, 연구참여자의 성찰일지, 교사학습공동체 정기협의회, MATP 운영계획 및 결과보고 서류도 수합하였다. 연구자료는 모두 전사한 뒤 주제 분석(thematic analysis) 중 개별기술적(Idiographic) 6단계 주제분석의 과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학교별 MATP 운영에 대한 특성과 중도 · 중복장애 교육활동에 대한 연구참여자의 인식 변화 과정으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인식 변화 과정의 범주어는 ‘풀지 못한 숙제 : 미로 같은 중도·중복장애 교수학습활동’, ‘무조건적인 긍정적 박수: 의도된 타자 중심의 교수학습활동’, ‘해체의 시작 : 인본주의 교육실천’으로 제시하였다. 중도 · 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타자 중심의 교육활동의 실행은 현실적으로 다수의 제한점을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참여자는 MATP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학급 내 권력의 이양을 통해 학생의 변화에 가시성을 부여했고, 전체 학습 목표가 아닌 개별 학생이 수행할 수 있는 목표를 수립하면서 교수학습활동의 중심을 분산시켰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MATP에 직 · 간접적으로 참여한 연구참여자들은 중도 · 중복장애 학생의 몸을 ‘할 수 있음’으로 인식하였고, 사회 내 중도 · 중복장애인에 대한 대안담론 형성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매 순간 연구참여자는 끊임없이 실행과 반성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 타자 중심의 교육 실천은 단순히 중도 · 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적 행위일 뿐만 아니라 교사 스스로를 변화시켜 이전과 다른 진실한 주체와의 만남으로 이끌었다. 중도 · 중복장애를 경험하는 사람은 사회적 장벽을 제거하려는 실행을 통하여 ‘할 수 있는 주체’로 거듭날 수 있다. 이는 장애 당사자뿐만 아니라 행위자에게도 유익을 준다. 사회의 불평등을 성찰하고 해소하려는 실천적 행위를 통해 현대 사회의 시민은 진실한 나, 고양된 영혼을 가진 주체와 관계를 맺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revealing the potential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SMD) hidden by medical discourse and forming a alternative discourse called ‘A body that can do it’. To this end, a critical action research as a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to directly face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influences surrounding on-the-ground problems, and to deconstruct and reorganize it through practical actions. Research team and a teaching-learning community(TLC) implemented a sports activity called Motor Activity Training Program(MATP) for students with SMD. 8 members of the TLC, 4 fellow teachers and 6 assistant staffs, a total of 18 participants were selected. In-depth interviews, focus group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ere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 and research participants’ reflection diaries, regular meetings of the TLC, and MATP operating plans and result report documents were also collected. After all the research data was transcribed, it was analyzed using the 6-step thematic analysis process of idiographics among thematic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vid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s MATP operation and the process of chang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perceptions of educational activities with SMD. The categorical words of the cognitive change process were ‘Unsolved problem: teaching-learning activity(TLA) with SMD like maze’, ‘Unconditional positive applause: Intentional others-centered TLA’, and ‘The beginning of deconstruction: Humanistic educational practice’. The implementation of others-centered educational activities for students with SMD had a number of limitations in reality. Nevertheless,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MATP, the research participants gave visibility to changes in students through the transition of power within the class, and dispersed the center of TLA while establishing goals that individual students could perform rather than the overall learning goals. The participants in MATP recognized the body of the student with SMD as ‘can do it’, and showed the possibility of forming an alternative discourse about persons with SMD. At every moment,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stantly repeated execution and reflection. Others-centered educational practice was not only an educational act for students with SMD, but also changed the teachers themselves, leading encounters with genuine subjects. A person who experiences SMD can be reborn as a ‘can-do subject’ through practice to remove social barriers. This benefits not only people experiencing disability but also the doer. Thorough practical actions to reflect on and resolve social inequality, citizens of modern society will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the true subjectivity and the subject with an enhanced soul.

      • KCI등재

        평창 동계올림픽 및 평창 동계패럴림픽에 대한 기간별 소셜 미디어의 관심도 차이 분석

        황영진 ( Young-jin Hwang ),김지수 ( Ji-soo Kim ),배건환 ( Gun-hwan Bae ),황상현 ( Sang-hyun Hwang ),박민호 ( Min-ho Park ),노형규 ( Hyoung-kuy Rho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9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평창 동계올림픽 및 평창 동계패럴림픽에 대한 자료 수집 기간별(대회 전, 중 후) 소셜 미디어의 관심도 차이를 단어 빈도수 및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평창 동계올림픽’ 과 ‘평창 동계패럴림픽’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하여 두 대회가 열리기 전 30일 동안과 대회기간 동안, 그리고 두 대회가 끝난 후 30일 동안을 수집 기간으로 설정하였고 빅테이터 처리 솔루션인 텍스톰(TEXTOM)을 통해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수집 자료의 형태는 요약수집 방법을 사용하였고, 수집채널은 네이버(Naver), 다음(Daum), 구글(google) 등이었다. 자료 분석방법은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기법을 활용한 단어 빈도수(Wordscount) 분석과 워드 클라우드(Wordcloud) 분석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자료 수집 기간별 평균 단어 30개의 검색 빈도수를 살펴보았을 때,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우에는 대회기간 동안의 평균 단어 빈도수가 대회 전 30일, 대회 후 30일보다 약 30% 이상 높았던 반면, 평창 동계패럴림픽은 대회 전 30일, 대회기간, 대회 후 30일의 순서로 대회 개막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소셜 미디어의 관심도는 대회 후에 모두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평창 동계올림픽 및 평창 동계패럴림픽의 상위 핵심 키워드는 ‘개최, 대한민국, 선수’등으로 유사하였으나,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우 ‘강릉’이라는 개최도시와 경기관련 단어 빈도수가 높았던 반면, 평창 동계패럴림픽의 경우에는 ‘39명’이라는 선수단 인원수와 ‘장애인’ 및 ‘신의현’이라는 특정 선수에 대한 단어 빈도수가 높았다. 이러한 특성은 올림픽에 대한 소셜 미디어의 관심이 스포츠 메가 이벤트의 개최, 운영, 결과에 초점을 두었다면, 패럴림픽의 경우에는 장애를 가진 특정 인물과 스토리에 국한시킴으로써 제한된 관점의 가치만을 전달하였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interest of social media by word frequency and word cloud analysis for the data collection period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competition) of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and Paralympics by using Social Big Data. This study used the keywords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nd 'Pyeongchang Winter Paralympics' to set the collection period to 30 days before and 30 days after the competition. Further, the solution TEXTOM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The collected data was using summary data, and collected channels were Naver, Daum, google, and so on. The data analysis method utilized word frequency analysis and wordcloud analysis using text mining technique. As a result, the mean 30 word search frequency of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during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about 30% higher than the 30 days before the competition and 30 days after the competition. On the other hand, the Pyeongchang Winter Paralympics 30 days> Competition period> 30 days after the competition, there was a tendency to decrease as the competition proceeded. These results show that the interest of social media decreases after the competition. In the case of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the frequency of words related to the game and the host city 'Gangneung' was high, whereas in the case of Pyeongchang Winter Paralympics,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39 people ', and the frequency of words for disabled people and specific athletes was high. This characteristic suggests that social media has only limited value in the case of Paralympic, but the Olympic Games focused on various sports and events.

      • GPS주행자료를 이용한 퍼지형 자동운전 알고리즘 개발

        이종달,배건환,권기욱,이영욱 영남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2001 工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9 No.1

        So as to develop an automatic driving model for ITS, 4 driving courses have been set up to examine the reasonable driving pattern of experienced drivers who are using GPS driving data. The Sugeno-type fuzzy model was constructed by inputting the actually measured driving data, and its suitability was exam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