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해 장거리 환경에서 시공간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수중음향통신성능 향상

        박희진,김동현,김재수,한주영,박정수,Park, Heejin,Kim, Donghyeon,Kim, J.S.,Hahn, Joo Young,Park, Joung-Soo 한국음향학회 2019 韓國音響學會誌 Vol.38 No.5

        수중음향통신에서 다중경로로 인한 인접 심볼 간 간섭은 통신 성능을 저하시킨다. 인접 심볼 간 간섭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수중음향통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이버시티 기법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다이버시티와 시간 다이버시티의 결합을 통해 수중음향통신 성능이 개선됨을 보인다. 시공간 다이버시티를 통해 제한적인 배열에서 수중통신 시스템의 효율성을 증대시켰다. 또한 2018년 10월 한국의 동쪽 해역에서 수행한 BLAC18(Biomimetic Long range Acoustic Communication 18) 실험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ISI (Inter Symbol Interference) reduces the performance of UAComm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This paper shows that the performance of UAComm can be improved through the spatiotemporal diversity method that is the combination of spatial diversity and temporal diversity methods. By using spatiotemporal diversity, the array aperture was reduc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UAComm system. It is also verified using the experimental data of BLAC18 (Biomimetic Long range Acoustic Communication 18) conducted in October 2018.

      • KCI등재

        소셜 메타데이터 활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국내 대학도서관 웹 사이트 분석을 중심으로 -

        박희진,Park, Heeji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3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4 No.2

        소셜 메타데이터는 정보를 기술하는 메타데이터에 사회적 기능이 부여된 것을 말한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소셜 메타데이터와 관련된 현황을 살펴보고 이용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공유와 협력을 도모할 수 있는 소셜 메타데이터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73개의 국내 대학도서관의 웹 사이트를 조사하여 실제 활용되고 있는 소셜 메타데이터의 유형을 살피고 유형에 따른 활용방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도서관에서 소셜 메타데이터는 제공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의 의견을 자유롭게 제시하는 표현형 참여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이용자의 상호작용과 협업을 촉진하는 보다 적극적인 참여 수준에는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소셜 메타데이터의 개괄적인 분석의 결과는 대학 도서관에서 소셜 메타데이터를 활용하는 데 기본적인 틀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use of social metadata in academic libraries. A total of 173 academic libraries were examined and analyzed. Various social metadata were reviewed, involved with users' participation and contribution. Error-reports, tagging, recommendations, ratings, reviews, comments, sharing, and community were identified that support selection, sharing and collaboration through social engagement. Suggestions drawn from the findings are offered to utilize social metadata in order to enhance users' contribution and interaction. It is hoped that this exploratory study will provide insight into the use of social metadata in academic libraries.

      • KCI등재

        중장거리 다중송신채널 환경에서 수중음향통신 시뮬레이터 성능 분석 및 검증

        박희진,김동현,김재수,송희천,한주영,Park, Heejin,Kim, Donghyeon,Kim, J.S.,Song, Hee-Chun,Hahn, Joo Young 한국음향학회 2018 韓國音響學會誌 Vol.37 No.6

        최근 장거리 수중음향통신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장거리 수중음향통신 연구를 위한 해상실험은 해양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고 높은 비용과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장거리 환경에서 수중음향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예측하고 검증하기 위한 시뮬레이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장거리 수중음향통신 시뮬레이터의 개발을 목적으로 중장거리 다중송신환경에서 수중음향통신 시뮬레이터로서 VirTEX(Virtual Time series EXperiment)의 성능을 분석하고, 해상 실험 결과와 비교 검증하였다. 송신 신호는 탐침을 위한 Chirp신호와 16QAM 방식으로 변조된 통신 신호를 사용하였다. VirTEX를 통해 수신 신호를 모의하고 다중송신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채널 간 간섭을 적응 수동형 시역전을 이용하여 보상하여 통신 성능을 분석하였다. 또한 2005년 7월 이탈리아의 Elba island 북쪽 해역에서 수행한 FAF05(Focused Acoustic Field 2005) 실험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UAComm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is an active research area, and many experiment has been performed to develop UAComm system.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modifying and applying VirTEX (Virtual Time series EXperiment) to medium long range 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UAComm of about 20 km range for the analysis and performance prediction of UAComm system. Since VirTEX is a time-domain simulator, the generated time series can be used in HILS (Hardware In the Loop Simulation) to develop UAComm system. The developed package is verified through comparing with the sea-going FAF05 (Focused Acoustic Field 2005) experimental data. The developed simulator can be used to predict the performance of UAComm system, and even replace the expensive sea-going experiment.

      • KCI등재

        온톨로지 모델링에서 패싯 분석 활용 연구

        박희진,이명호,김성훈,오삼균,Park, Heejin,Yi, Myongho,Kim, Seonghun,Oh, Sam Gy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6 No.2

        본 연구는 패싯 이론을 기반으로 한 온톨로지 구축방법을 제안한다. 스마트폰 온톨로지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패싯 분류체계를 적용하여 온톨로지 모델링에 있어서 패싯 분석의 활용가능성을 점검하였다. 랑가나단과 CRG의 패싯 분류 이론에 기반하여 '유형', '사양', '기능', '작업', '상품', '개인', '기업', '장소', '시간'의 스마트폰 기본 패싯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패싯 구조 기반 온톨로지는 상품관련 다양한 클래스의 계층구조를 개념적으로 이해하고 클래스와 속성의 다각적 관계를 체계적으로 파악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roposes a methodology for using facet analysis in ontology modeling and investigates how facet analysis could be utilized in ontology design processes. We applied facet analysis methods developed by Ranganathan and CRG (Classification Research Group) to modeling Smartphone ontology. Utilizing the guiding principles of Ranganathan and CRG, main facets, such as Type, Spec, Function, Operation, Product, Person, Agent, Space and Time, are derived for Smartphone ontology. It is hoped that the methods and procedures employed in identifying and categorizing facets and ontology in this study will provide insights into designing future ontologies.

      • KCI등재

        디지털 아카이브의 이용자 참여의 활성화를 위한 소셜 태깅 활용 방안 연구

        박희진,Park, Heejin 한국정보관리학회 2017 정보관리학회지 Vol.34 No.3

        본 연구는 국내 문화유산기관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효과적인 접근과 활용을 도모하고 이용자 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는 소셜 태깅의 활용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정보기술을 활용한 아카이브의 성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아카이브의 기술 적용 현황을 파악하고, 소셜 태깅이 적용된 국내외 디지털 아카이브의 사례연구를 통해 소셜 태킹의 활용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용자 참여 단계유형을 재구성하여 소셜 태깅을 통한 참여 단계 모델을 제시하고, 디지털 아카이브에서 이용자의 참여와 콘텐츠의 기여도를 중심으로 표현, 커뮤니케이션, 협업에 따른 소셜 태깅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framework for promoting active engagement of users in digital archives through social tagging. It analyzed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involved with digital archives, and the user participation and engagement through social media. The analysis explored the aspects of social tagging in terms of communication, sharing and collaboration in digital archives. Based on the analysis and reviews, it developed the model of social tagging for user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in digital archives. The study proposed the application of open and game platforms for promoting active engagement of users in digital archives through social tagging.

      • KCI등재

        중학생의 ‘미래 핵심역량’ 영향 요인 분석

        박희진(Park, Heejin),남궁지영(Namkung, Ji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8

        본 연구의 목적은 OECD의 ‘미래 핵심역량 ’프로젝트인 DeSeCo의 모형을 차용하여 개발된 미래핵심역량 진단검사지를 통해 수집된『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의 2013년(4주기) 중학교 3학년 데이터(213개교, 13,246명)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중학생의 ‘미래 핵심역량’ 관련 가정, 학생, 학교특성 요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본 미래핵심역량 진단검사지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창의역량,’‘자기주도역량,’ ‘사회역량’ 으로 구성되며, 분석을 위하여 학생-학교의 2수준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가정 특성 요인을 살펴본 결과, 부모-자녀 관계는 모든 하위 영역과 유의미한 관련을 보였고 문화향유정도는 창의 및 자기주도역량과 관련을 보였다. 둘째, 학생 특성 요인을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 진로성숙도, 학습전략, 학습끈기, 수업태도가‘미래 핵심역량’의 모든 하위 영역과 정적인 관련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학교 특성 요인과 ‘미래 핵심역량’ 간 관계는 다음과 같다. 수업분위기는 ‘미래 핵심역량’의 모든 하위 영역과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서울지역 학생의 창의역량 및 사회역량이 다른 지역의 학생들 보다 높고, 학교 내 기초학력미달학생의 비율이 낮을수록 창의역량 및 자기주도역량이, 교사의 성취압력이 높을수록 사회역량이 높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미래 핵심 역량 제고를 위하여, 교사-학생 간, 교우 간 관계 개선 및 학교 수업분위기 개선,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성숙도 향상과 부모-자녀 간 관계 증진, 독서 및 체육활동 경험 기회 확대 등을 위한 노력과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factors related to middle school students’ ‘key competencies.’ A theoretical framework is adopted from the OECD’s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DeSeCo) Project. The DeSeCo Project suggests three major components of the key competencies and those concepts are renamed as social competencies, creative competencies, and self-autonomy to be operationalized and survey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KLSPSS). Student-school two 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fourth round of middle school survey of the KLSPSS. In total, 213 middle schools and 13,246 9th graders were selected across the country. First, the findings suggest that parent-children relationship ha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all of the three sub-categories of key competencies and cultural experiences with creative and self-autonomy competencies. Second, among the students’ factors, students’ self-esteem, career maturity levels, strategy and perseverance in learning, and classroom attitude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all of the key competencies. Third, class atmosphere ha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every sub-category of key competencies. In addition, students in Seoul show higher creative and social competencies than those in other regions, and students in schools with less underachievers and stronger accomplishment-oriented pressure show higher social competencies. The analyses suggest that education policies that improve students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teachers, and themselves(self-esteem), students’ attitude in classroom, classroom atmosphere, and students’career maturity levels and that increase students’ readings and physical education can improve students’ key competencie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대구 수창사의 활동과 국채보상운동

        박희진 ( Park Heejin ),김영호 ( Kim Yongho ),엄창옥 ( Changok Um ) 대구사학회 2018 대구사학 Vol.131 No.-

        대구에서 일어난 국채보상운동의 시발은 근대지식인과 상인 집단의 결합에 의해 가능했다는 것이 일반적 견해이다. 대구광문사가 대구지역 애국계몽운동의 상징이라면, 수창사는 대구지역 상인세력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최근에 발견된 수창사의 각종 자료를 통해 수창사의 설립 경위와 수창사 사원의 성격을 살펴봄으로써 수창사가 어떤 경위로 국채보상운동에서 중심 역할을 하였는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개항과 경부선이 개통된 1904년 이후 낙동강 상권은 일본 상인층에 의해 잠식되고 있었다. 부산항과 낙동강 무역에서 일본상인과의 경쟁에 위협을 느낀 대구지역 상인은 수창사를 설립하고 엄궁과 하단에 지점을 설치하였다. 수창사는 기본적으로 비특권적 민간 상회사이고, 사원이 각자의 지분을 가지고 거래창구를 통일화한 합명회사의 성격을 띠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수창사의 사업영역은 사원들의 사업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대금업무와 중개업 및 창고업이었다. 그러나 일본상인과의 경쟁에서 밀려나게 되면서 수창사의 규모는 1900년대에 들어오면서 급격히 축소되었고 1905년에는 부산지역의 지점을 철수했다. 이러한 상황은 당시 계몽사상이나 자강운동과 연계되어 이들을 국권회복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동기를 부여하기에 충분하였다. 수창사 사원의 상당수가 국채보상운동에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수창사는 대구민의소 사무소나 국채보상운동의 수전소로 활용되었다. 또한 수창사 사원의 인적 네트워크가 국채보상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데도 기여했다. It is generally agreed that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NDRM) was started by the coalition between the leader of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nd the Merchant class in Daegu region. ?The Daegu Gwangmunsa? is the symbol of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nd ?The Suchangsa? is the symbol of the Merchant class in Daegu. By examining the resources of Suchangsa which were founded recently,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cess of the Suchangsa’ establish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changsa and how the Suchangsa came to play a central role in NDRM. After the Opening of Joseon and since 1904 when the Gyeongbu Train-line opened, the trade business of the Nakdong River has been dominated by Japanese Merchant group. At that time, the Daegu Suchangsa installed its branch at Eomgung and Hadan area because of feeling threatened by competition with Japanese merchants in the Nakdong River trade. This fact was confirmed in ?The Suchangsa Rule? and ?The Suchangsa business diary(座目)?. According to these resources, the Suchangsa is basically ‘a non-specialized private enterprise’, and ‘the ordinary partnership’ in which the employees unified the transaction lines with their respective shares. And then Suchangsa's business scopes were limited to Loan and Brokerage and Warehousing in order to providing convenience to its employees. Scale of Suchangsa's Capital has drastically decreased since 1900’s and it withdrew its branch offices from Busan in 1905. Suchangsa was finally liquidated in 1935. The employees of Suchangsa, who were defeated by the Japanese merchant's power expansion, used Suchangsa as a office for A civilian assembly, and also accepted the role of a collection center for NDRM. The Daegu merchant responded to the expansion of the Japanese merchant in this way. At a circumstance which they were losing ground from competition with Japanese merchants,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for Resumption of the National Sovereignty in connection with the Self-reliant Movement. This sentiment is well expressed in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s promotion statement. Consequently, many of the company’s member played a central role in NDRMt, the personnel network of the head of the company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nationwide expansion of NDRM.

      • 식도암 수술 방법에 따른 음식물 정체 시간 측정 및 분석

        박희진(Heejin Park),전혜진(Hyejin Jeon),성재용(Jaeyong Sung),이재익(Jae-Ik Lee) 한국가시화정보학회 2009 한국가시화정보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9 No.11

        This research studied the symptom of delayed gastric emptying when a gastric graft replaced an esophagus after esophagectomy. To compare the gastric emptying time according to the technique of esophageal reconstruction, three factors of diameter of gastric graft, path of gastric graft (front or rear path) and pyloroplasty or not, were considered. The information about path and diameter of gastric graft was obtained from the CT images for real patients and then the experimental models of gastric graft were made from silicone tube by considering elasticity of real stomach. During experiments, 200 ml of water or glycerin was poured into the gastric graft model and the gastric emptying time for total volume of fluid to pass pylorus was measured at a given resistant condition in the part of duodenum. In case that the pyloroplasty was not conducted, the smaller was the diameter of gastric graft, the shorter was the gastric emptying time. However, if the pyloroplasty was conducted, the larger diameter of gastric graft was better for the gastric emptying. Although the rear path gave rise to longer gastric emptying time than the front path, it did not matter, if the pyloroplasty was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