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xtract from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 Prevents LPS-induced Homotypic Aggregation of Monocytic THP-1 Cells via Suppress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 and NF-κB Activation

        Hye-Rim Lee(이혜림),Youngsook Park(박영숙),Hyun Jeong Kim(김현정),Aram Lee(이아람),Jihea Choi(최지혜),Jaeho Pyee(피재호),Heonyong Park(박헌용),Jongmin Kim(김종민) 한국생명과학회 2015 생명과학회지 Vol.25 No.7

        활성화된 단핵구의 동형성 세포 부착(동형성 응집)은 염증반응, 분화, 이동과 같은 생리학적, 병리학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매실 추출물은 항바이러스, 항균, 항암작용과 같은 효과를 보인다고 알려 져있다. 따라서, 매실 추출물은 단핵구의 동형성 응집 억제를 통해 염증반응을 조절할 가능성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염증성 질환에서 매실 추출물의 치료효능을 뒷받침할 수 있는 분자적 기전을 조사하였다. 매실 추출물이 지질다당질(LPS)로 활성화된 단핵구의 동형성 응집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LPS로 활성화된 THP-1 세포의 iNOS 단백질 발현 억제를 통해, 산화질소(NO) 생산의 감소로 조절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NO 생성물질인 SNAP 처리 실험을 통해 단핵구 동형성 응집을 억제하는데 매실에 의한 NO 억제가 필수적인 기작임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매실 추출물은 LPS로 유도된 IκB-α 의 인산화와 NF-κB의 핵내로의 이동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매실 추출물은 NO생성과 NF-κB 활성 억제를 통해 LPS로 활성화된 단핵구의 동형성 응집을 저해하고 이를 통해 항염증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결론으로부터 만성 염증성 질환의 치료와 예방에 매실 추출물의 효능을 제시하고자 한다. Homotypic cell adhesion (homotypic aggregation) in activated monocytes plays a central role in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processes including inflammatory responses, differentiation and migration. The extract of th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 (Maesil) has potential benefits to human health; such as anti-viral, anti-microbial, and anti-cancer activities. Indeed, Maesil extract may modulate inflammatory responses via interference with homotypic aggregation in monocytes. In the present study,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pinning the therapeutic efficacy of Maesil extract in inflammatory diseases were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Maesil extract inhibited homotypic aggrega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activated monocytes. This was mediated by reduction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partly via inhibi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expression in LPS-activated THP-1 cells. It was confirmed that NO inhibition is a key mechanism in Maesil induced blockade of monocyte aggregation through identification of reversal of this inhibitory effect by the NO-producing agent S-nitroso-N-acetyl penicillamine (SNAP). In addition, Maesil extract significantly attenuated LPS-induced IκB-α phosphorylation and NF-κB translocation into the nucleus. In conclusion, Maesil extract exerts anti-inflammatory effects via inhibition of homotypic aggregation of LPS-activated monocytes through mechanisms involving the suppression of NO production and NF-κB activity, suggesting Maesil extract as a potential therapeutic candidat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 KCI등재

        혈관내피세포에서 c-Jun N-terminal kinase에 의해 조절되는 세포사멸에 고농도의 피노실빈이 미치는 효과

        송지나(Jina Song),박진선(Jinsun Park),정은실(Eunsil Jeong),소아영(A-Young So),피재호(Jaeho Pyee),박헌용(Heonyong Park) 한국생명과학회 2015 생명과학회지 Vol.25 No.4

        피노실빈은 소나무 등에서 흔히 관찰되는 스틸벤노이드이다. 혈관내피세포에서 ~pM에서 ~nM 정도의 낮은 농도의 피노실빈은 세포성장, 세포이동, 항염증반응을 유도한다. 그러나 최근에 고농도의 피노실빈이 소 대동맥 내피세포의 세포사를 유발하고 있음이 보고되었으나, 그 자세한 기전이나 경로 연구가 미흡하여 이번 연구에서 고농도 피노실빈의 세포사 유발 경로를 규명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고농도의 피노실빈은 caspase-3 절단, 포스파티딜 세린의 플립플롭, 핵 분절 등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아 세포사멸을 통한 세포사를 유발함을 알았다. 또한 혈청기아나 100 μM etoposide에 의하여 촉발하는 caspase-3 활성/핵분절이 추가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는 피노실빈이 일으키는 세포사멸은 혈청기아나 etoposide에 의해 일어나는 세포사멸과는 다른 경로로 진행됨을 의미하므로 고농도의 피노실빈에 의해 촉발되는 세포신호전달을 탐색한 결과, JNK와 eNOS가 관여함을 알았다. 두 신호전달 물질 중에 어느 것이 피노실빈 유도 세포사에 중요한 지를 알기 위한 추가적인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JNK 억제자인 SP-600125는 피노실빈에 의한 세포사멸을 억제하였으나, eNOS 억제자인 L-NAME은 아무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아 JNK가 피노실빈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세포신호 전달물질임을 알았다. Pinosylvin is a stilbenoid found in the Pinus species. Pinosylvin at ~pM to ~nM concentrations induces cell proliferation, cell migration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endothelial cells. However, it was recently reported that pinosylvin at high concentrations (50 to 100 μM) induces cell death in bovine aortic endothelial cell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eries of experiments to discover how pinosylvin at a high concentration (50 μM) induces endothelial cell death. Pinosylvin at the high concentration was shown to induce endothelial cell apoptosis through enhancing caspase-3 activity, flip-flop of phosphatidyl serine, and nuclear fragmentation. We found that pinosylvin at the high concentration additively increased caspase-3 activity enhanced by serum-starvation or treatment with 100 μM etoposide. We also determined that pinosylvin at the high concentration promoted activations of c-Jun N-terminal kinase (JNK) and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etase (eNOS). We further ran a series of experiments to find out which signaling molecule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pinosylvin-induced apoptosis. We finally found that SP-600125, a JNK inhibitor, had an inhibitory effect on the pinosylvin-induced endothelial cell death, but L-NAME, an eNOS inhibitor, had no effect. These data indicate that JNK is involved in the pinosylvin-induced apoptosis. Collectively, pinosylvin at high doses induces cell apoptosis via JNK activation.

      • KCI등재

        혈관 생리 활성에 미치는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효능

        최승민(Seungmin Choi),박종봉(Jongbong Park),김종민(Jongmin Kim),인경민(Kyungmin In),박헌용(Heonyong Park)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5

        생약 재료로 사용되어 왔던 가시오가피 추출액의 혈관 생리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혈관 내피세포에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가시오가피 추출액은 혈관 내피세포 성장을 촉진하면서 세포사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혈관 내피세포의 세포 이동이 가시오가피 추출액에 의하여 촉진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보면, 가시오가피 추출액이 혈관 형성을 유발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가시오가피 추출액이 산화질소(NO)의 생산을 증가시키는 기능과 THP-1의 내피세포 부착을 억제하는 기능을 동시에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가시오가피가 동맥경화 발생을 억제시키는 약물임을 의미한다. 또한 가시오가피 추출액은 THP-1 세포의 동종세포 응집을 촉발하는 기능을 함으로서 상처 난 부위에서 일어나는 출혈을 억제할 것으로 예측된다. 결론적으로 가시오가피 추출액은 다양한 혈관 생리 활성을 갖는 생약 재료로 평가된다. Crude extra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A. senticosus) have been used as galenicals.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a series of experiments to examine cardiovascular activities of crude extracts from A. senticosus. Whereas the extracts had no effect on the apoptosis of bovine aortic endothelial cells (BAECs), the extracts appeared to induce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In addition, endothelial cell migration was shown to be enhanced by the crude extracts, indicating that A. senticosus extracts likely act as an angiogenic factor. We also examined effects of A. senticosus extracts on nitric oxide (NO) production, leukocytic adhesion to endothelium, and homotypic aggregation of leukocytes. Both the NO production and the leukocytic adhesion to endothelial cells were revealed to be increased by treatment with A. senticosus extracts, but the homotypic aggregation of leukocytes was inhibited. Together, multiple roles of A. senticosus extracts in the cardiovascular system provide an insight on their broad applications as galenicals to treat cardiovascular diseases.

      • KCI등재

        혈관내피세포의 성장 및 세포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발효도라지추출물의 효과

        최우성(Woosoung Choi),송지나(Jina Song),박미현(Mi-Hyeon Park),유희종(Heui Jong Yu),박헌용(Heonyong Park) 한국생명과학회 2016 생명과학회지 Vol.26 No.1

        도라지는 다양한 종류의 triterpenoid계통의 saponin을 함유한 다년생 식물이다. 도라지는 한국에서 오랫동안 식품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그 추출물에 관한 생리활성연구도 많이 보고되었으나, 발효 도라지추출물에 관한 혈관기능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자들은 먼저 도라지 추출물을 발효시킨 후, 발효도라지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발효도라지추출물이 혈관내피세포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 지 관찰하였다. BAEC에 발효도라지추출물을 농도 별로 처리하였을 때, 고농도(100 μg/ml)에서는 혈관내피세포의 탈착이 일어났으며, 저농도(0.1 μg/ml)에서는 세포탈착은 일어나지 않았으나 세포성장과 세포이동이 촉발됨을 관찰하였다. 고농도에서 일어난 세포탈착은 세포사 즉, 세포사멸, 세포괴사, 오토파지 등과는 관련이 없었다. 또한 고농도의 도라지 추출물은 혈관내피세포에서 유래한 작은 vesicle을 형성하였는데, 이 vesicle은 세포사멸과 관련이 없기 때문에 내피세포에서 유래된 EMP로 추측된다. 흥미롭게도 고농도의 세포탈착 현상은 EMP로 추측되는 vesicle에 의하여 일어난 현상이었다. 저농도의 도라지 추출물이 유발한 세포이동과 세포성장은 혈관내피세포의 중요한 신호전달물질중의 하나인 Akt의 활성화를 통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도라지 추출물은 혈관내피세포의 성장을 촉진함으로써 혈관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세포성장과 이동을 촉발함으로써 상처치유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 (Korean name, ‘Doraji’) is a perennial plant containing various triterpenoid saponins. The roots of this plant have traditionally been used as a food material in Korea. Here, we prepared a fermented P. grandiflorum extract (PG). Although it was previously reported that P. grandiflorum A. extract has a variety of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including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little is known about its vascular functions. In this study, we executed a series of experiments to identify the effect of PG on endothelial cells. PG at a high concentration (100 μg/ml) was found to induce cell detachment, whereas PG at a low concentration (0.1 μg/ml) appeared to promote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in bovine aortic endothelial cells. The cell detachment induced by the high concentration was not associated with cell death, such as apoptosis, necrosis, and autophagy. In addition, we found that PG at the high concentration formed a small vesicular structure called an endothelial microparticle (EMP). The EMP was prepared by centrifugal fractionation and determined with flow cytometry and a microscope. Interestingly, PG-induced cell detachment was found to be mediated by EMP. We furthermore determined that PG at the low concentration activated Akt, a crucial cell-signaling molecule, and then controlled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verall, our findings suggest that PG at low doses maintains vascular stability by promoting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and enhances the efficacy of wound healing by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activity.

      • KCI등재

        Trametes cubensis 버섯 추출물이 소의 대동맥 내피세포의 혈관 기능에 미치는 효능

        장수정 ( Sujeong Jang ),이동형 ( Dong Hyeung Lee ),김성환 ( Seong Hwan Kim ),박헌용 ( Heonyong Park ) 한국균학회 2020 韓國菌學會誌 Vol.48 No.1

        버섯은 예로부터 암과 염증 질환의 약재로써 많이 사용되어왔다. Trametes cubensis 버섯종은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형태학적 특성만 알려져 있고 효능에 관한 연구 보고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T. cubensis 균사체 추출물(Trametes cubensis extract, TCE) 의 혈관생리학적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세포와 분자수준에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TCE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 독성은 없었고 세포성장을 촉진시켰다. 또한 세포이동이 TCE에 의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LPS (Lipopolysaccharide)에 의해 유도된 THP-1 세포의 내피세포 부착이 TCE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신호전달 경로 분석을 한 결과, TCE에 의해 활성산소가 증가하였으며, Akt억제를 통하여 p38 MAPK가 활성화되었다. 그리고 TCE가 촉발하는 세포성장, 세포이동, 단핵구 부착 등은 p38 MAP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에 의해 조절되었으며, 활성산소와는 관련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TCE는 세포성장, 세포이동, 단핵구 부착을 조절하였으며, 이는 TCE가 동맥경화와 같은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혹은 혈관기능개선제로 개발될 가능성이 있음을 암시한다. Mushrooms have been extensively used as traditional medicines to treat cancer and inflammatory diseases.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Trametes cubensis extract (TCE) exerted beneficial effects on cardiovascular function. First, we demonstrated that TCE was non-cytotoxic and enhanced cell proliferation of bovine aortic endothelial cells (BAEC). Moreover, TCE induced cell migration and blocked lipopolysaccharide-induced adhesion of monocytes to BAEC. We performed a variety of cell signaling studies, showing that TCE activates p38 MAPK and generate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Our results showed that TCE-induced vascular functions were mediated by p38 MAPK, but not by ROS. These results provide insights into bio-medical applications of TCE as a 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 for treating cardiovascular diseases including atherosclerosis.

      • KCI등재

        혈관내피세포에 부착하는 THP-1에 대한 발효마늘추출물의 효과

        권오성(Ohseong Kwon),송지나(Jina Song),유휘종(Heui Jong Yu),박헌용(Heonyong Park) 한국생명과학회 2017 생명과학회지 Vol.27 No.5

        마늘은 전통적으로 cycloalliin을 포함한 기능성 식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혈관계에서 발효마늘추출물이 어떤 효능을 갖는지 알아보았다. 먼저, 발효마늘추출물이 내피세포의 단핵구 부착을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농도 변화에 따른 실험결과, 발효마늘추출물을 0.1 또는 1 μg/ml 농도로 전처리 하면, LPS에 의하여 촉발되는 소 대동맥 내피세포에 달라붙는 THP-1의 부착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핵구의 내피세포 부착이 염증반응 초기단계에 진행되는 과학적 근거를 고려하면 이와 같은 결과는 발효마늘추출물이 혈관 염증을 저해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세포신호전달물질의 활성변화를 관찰한 결과, 발효마늘추출물이 소 대동맥 내피세포에서 eNOS와 Akt의 활성을 유도함을 알았다. eNOS의 인산화 반응은 발효마늘추출물을 처리한지 10분 후에 최대로 상승되었으며, 이와 유사하게 Akt도 발효마늘추출물을 처리하고 10분 후에서 인산화 반응이 최대로 상승되었다. 산화질소 양 변화 측정에서도 발효마늘추출물은 산화질소의 생성을 상승시켰다. 한편, 산화질소 생성을 저해하는 억제제 처리는 발효마늘추출물에 의해 나타나는 세포부착 저해능력을 감소시켰다. eNOS와 Akt를 매개로 하는 LPS 유도 세포 부착 정도가 발효마늘추출물에 의하여 억제된다는 것은 산화질소가 세포부착에 중요 매개물임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발효마늘추출물은 염증관련 질환을 예방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Fermented garlic extract (FGE) is a well-known functional food containing cycloalliin. Here we tested if FGE has an effect on the vascular system. We found that FGE had an effect on monocytic adhesion to endothelial cells, which occurs at the initial step of processes of inflammation. From dose-dependent experiments, 0.1 to 1 μg/ml of FGE appeared to inhibit lipopolysaccharide (LPS)-enhanced heterotypic cell adhesion between THP-1 and BAECs. This result indicates that FGE blocks vascular inflammation. Then we found that FGE activates eNOS and Akt in BAECs. The phosphorylation of eNOS was maximally elevated 10 min after FGE treatment. Parallely, the phosphorylation of Akt was also maximally increased 10 min after FGE treatment. Consistently, it was found that FGE enhance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We then examined whether NO mediates THP-1 cell adhesion to BAECs. Both Akt and eNOS inhibitors appeared to reverse an inhibitory effect of FG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FGE inhibits LPS-enhanced heterotypic cell adhesion via Akt and eNOS. In conclusion, F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on of inflammatory diseases.

      • KCI등재

        혈관내피세포 탈착에 미치는 melatonin의 병리학적 영향

        Jeonghwa Seo(서정화),Sunghyen Kim(김성현),Sunyoung Ahn(안선영),Eunsil Jeong(정은실),Jingu Cho(조진구),Heonyong Park(박헌용)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6

        항산화 기능과 면역 억제 기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melatonin이 혈관 내피층에서는 어떤 기능을 갖는지 알기 위한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 혈관기능과 관련된 혈관내피세포의 성장, 사멸, 이동에 melatonin은 특이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고, 백혈구의 혈관내피세포 부착과 백혈구 동종간의 응집에도 melatonin의 역할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melatonin은 PP2A를 통해 eNOS의 활성을 억제하여 산화질소의 양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혈관내피세포의 탈착이 유발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해보면, 혈액 내 고농도의 melatonin은 PP2A 및 eNOS의 활성을 변화시켜 혈관내피세포의 탈착을 상승시킴으로써 혈관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혈전 형성에 의한 병리적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a series of experiments to know whether melatonin, an anti-oxidative and immunosuppressive agen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ndothelial cells. It was revealed that melatonin had little or no effect on endothelial proliferation, cell death or migration. Additionally, melatonin had no effect on adhesion of THP-1 leukocytes to bovine aortic endothelial cells (BAECs) and THP-1 homotypic cell aggregation. In contrast, it was shown that melatonin diminished the basal level of nitric oxide by PP2A-mediated dephosphorylation of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eNOS), leading to enhanced detachment of BAEC from the extracellular matrix. Collectively, melatonin in high doses decreases the NO production via regulations of PP2A and eNOS activities, inducing detachment of endothelial cells, a possible initial step for thrombosis.

      • KCI등재

        혈관 생리 활성에 미치는 alliin의 효능

        서정화(Jeonghwa Seo),김정민(Jeongmin Kim),안선영(Sunyoung Ahn),조진구(Jingu Cho),김종민(Jongmin Kim),박헌용(Heonyong Park)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7

        고대부터 식품으로 많이 이용되어 왔던 마늘의 성분중의 하나인 alliin의 혈관 생리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Alliin은 혈관내피세포의 증식과 이동을 증진시키는 기능이 있으며, 이는 alliin이 혈관형성을 촉진하고 혈관의 상처 치유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alliin은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과정에 나타나는 THP-1 세포의 혈관내 피세포 부착을 억제하며, 혈전을 형성하는 THP-1 동종세포간 응집을 억제하는 기능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alliin의 세포 기능은 혈관의 주요 질환인 동맥경화의 발생 및 뇌졸증이나 심근경색의 원인이 되는 혈전의 형성 등을 억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혈관의 주요 조절자 중의 하나인 산화질소의 생산에는 alliin이 관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종합해 보면, alliin은 혈관세포의 여러 가지 생리기능을 조절하는 혈관생리기능 개선제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는 물질이다. Little is known about the cardiovascular roles of alliin, a functional component in garlic that has been used as food material. Thus, we examined a broad range of cardiovascular activities of alliin in this study. From our in vitro experiments, alliin was determined to act as a stimulant to induce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and endothelial cell migration. Since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are highly associated with angiogenesis and wound healing, alliin is suggested as a regulator to control angiogenesis and wound healing. In addition, alliin was elucidated to prevent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adhesion of THP-1 leukocytes to endothelial cells and LPS-induced homotypic THP-1 cell aggregation. These inhibitory effects indicate that alliin is likely to act as an anti-atherosclerotic and anti-thrombotic factor, because leukocytic adhesion to endothelial cells and homotypic leukocyte aggregation are highly associated with atherosclerosis and thrombosis, respectively. Our additional findings show that alliin has no effect on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 important vasoregulator. In conclusion, alliin is suggested as a regulator for controlling various cardiovascular functions.

      • KCI등재

        Lycopene의 새로운 혈관내피세포 생리활성

        Jingu Cho(조진구),Sunghyen Kim(김성현),Jeonghwa Seo(서정화),Sunyoung Ahn(안선영),Eunsil Jeong(정은실),Heonyong Park(박헌용)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7

        항암 효과와 항산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lycopene은 심혈관에서의 기능이 현재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lycopene의 심혈관 기능을 알기 위해 혈관내피세포를 이용해 다양한 세포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lycopene은 내피세포의 성장 및 이동을 촉진하였으나 세포사멸에는 영향이 없었다. 또한, 백혈구의 혈관내피세포 부착을 억제하였고 내피세포 내 신호전달물질인 MAPK들의 활성을 촉발하였다. MAPK의 활성 억제제를 이용한 신호전달기전 연구실험 결과, ERK와 p38 MAPK의 활성은 세포성장에 관여하고, JNK의 활성은 세포이동에 관여함을 확인하였다. 종합하면, lycopene은 혈관내피세포의 신호전달 물질인 MAPK들를 통해 세포 성장 및 이동을 촉진시키며, LPS에 의한 THP-1의 내피세포 부착을 억제 하는 등 혈관내피세포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절한다. Lycopene의 이러한 혈관내피세포 기능들은 lycopene이 혈관질환 치료제로 응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Little is known about the cardiovascular effects of Lycopene, an anti-cancer and anti-oxidative agent. In this study, we executed a series of experiments with vascular endothelial cells to disclose the cardiovascular functions of lycopene. From our in vitro experiments, lycopene was determined to act as a stimulant to induce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In addition, lycopene was shown to inhibit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adhesion of THP-1 leukocytes to endothelial cells, as well as activating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family members, ERK, JNK and p38 MAPK. Both ERK and p38 MAPK were involved in lycopene-induced cell proliferation, while JNK was involved in lycopene-dependent cell migration. Taken together, lycopene activates MAPK family members which regulate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Lycopene differentially blocks LPS-dependent adhesion for THP-1 to endothelial cells, indicating that lycopene is likely to regulate a variety of vascular functions.

      • KCI등재후보

        단백질 칩 기판의 표면에 미치는 용매 효과

        현준원(June Won Hyun),윤미영(Mi Young Yun),안상민(S. M. An),노승정(S. J. Noh),허영덕(Young-Duk Huh),박헌용(Heonyong Park),송예신(Y. S. Song),피재호(Jaeho Pyee),김경례(K. R. Kim),김성훈(H. S. Kim) 한국표면공학회 2004 한국표면공학회지 Vol.37 No.2

        Nickel chloride coated protein chip plate was developed by using a spin coating method. The ability of histidine tagged protein adsorption was investigated at various solvents. The surface of plate has a large aggregated nickel complex with high density in water. However, the surface of plate has a very small size of aggregated nickel complex with low density in isopropanol. The ability of protein adsorption decreased as increasing the size of alkyl chain in various alcohol solvents. The mechanism on the ability of protein adsorption at the plate surface i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