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WEPP 모델을 이용한 밭에서의 토양 유실량 추정

        박태양 ( Taeyang Park ),김성재 ( Sungjae Kim ),김성민 ( Sungmin Kim ),장정렬 ( Ryeol Jang ),최강원 ( Kang Won Choi ),김상민 ( Sangmin Kim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현대 사회에 들어 인간의 개발로 인해 토양침식의 가중으로 인해 많은 토사유출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 규모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고 있다. 토양침식으로 인한 토사유출은 하류의 댐, 저수지, 수로 등의 수리구조물에 퇴적되어 내용적과 통수능력을 감소시키게 되며 하천의 유사농도를 높이고 밭이나 논에서 배출된 토사의 경우 비료나 농약성분과 함께 유실되어 호수의 부영영화를 발생시키거나 하천의 수질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이과 같이 토사 유출등의 개발로 인해 발생되는 인명과 재산 피해와 같은 재해를 최소화하기 유출증가와 홍수부담 가중을 유발시키는 원인행위를 사업이 시행되기 이전에 검토하는 재해영향평가제도가 시행되고 있고 그를 위해 침사지나 저류지등의 저감시설의 설치를 의무화 하고 있다. 경사지에서 발생되는 토양침식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는 실측을 통해 하류나 호소의 영향을 구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많은 경비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고 결과 또한 강우, 토질, 경사도, 재배작물, 경사면의 길이나 방향등 무수히 많은 변수들로 인해 지역에 따라 다른 경향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토양침식을 모의할 수 있는 모형을 이용하게 되면 실측을 통한 토사유출의 영향을 분석하는 방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저감대책을 강구할 수 있고 그 중 유출량 산정하는 기법에는 경험적 산정기법, 물리적 산정기법 그리고 기타기법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경험적 산정기법에 근거한 대표적인 모형으로 RUSLE(Revised Universal Soil Equation)모형이 있으며, 물리적 산정기법에는 WEPP(Water Erosion Prediction Project), ANSWERS(Areal Nonpoint Source Wetershed Environment Response Simulation), EPIC(Erosion Productivity Impact Calculator)모형 등이 있다. 그 외 기타기법으로는 원단위법과 비유사량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토사유출을 예측하기 위해 현대 수문학, 침식 과학 등을 기반으로 개발된 모형으로 유출량뿐만 아니라 단일경사지나 유역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토사유출량을 산정할 수 있는 WEPP모형을 이용하여 시험포장의 유출량과 토사유출량을 모의하여 실측치와의 비교를 통해 WEPP의 적용성을 평가하고 오염저감시설이나 경작상태등에 따른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 수술실 vital sign 데이터를 이용한 머신러닝 기반 마취법 분류 기술 연구

        박태양(Taeyang Park),김병욱(Byung Wook Kim) 한국정보과학회 202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6

        본 논문은 수술실 vital sign 데이터를 이용한 머신러닝 기반 마취법 분류 기술을 제안한다. 원본 데이터에 대한 전처리를 위해 먼저 각 vital sign 별로 데이터를 분리하였고, NaN값과 이상치를 제거하였으며, 입출력 값이 다중 분류 문제에 부합하도록 데이터를 재구성하였다. 그 결과로 선택한 BIS, Hb, Hct, NMT, [SBP, DBP, HR]의 vital sign을 이용해 머신러닝 모델을 학습시켰다. 데이터셋의 샘플 개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원본 데이터에 Gaussian noise를 추가하는 Data augmentation 방식을 사용하였다. 성능 평가를 위해 Support Vector Machine, DescisionTreeClassifier 등의 다양한 머신러닝 모델을 이용하였고,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의 정확도가 기존 연구[2]의 결과보다 더 나은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ESG경영 공시전환에 대응하는 중대토픽 공시방법 연구-석유와 가스산업 중심으로

        박태양(TaeYang Park)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22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45 No.1

        Recently, due to the change to SASB(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 and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Standards 2021, the paradigm for non-financial information disclosure is changing significantly, with the number of ESG topics and indicators that must be disclosed by industry from an autonomous material topic selection method.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number of compulsory topics in the oil and gas industry by GRI standards 2021 is up to 2.4 times higher than the average number of material topics disclosed when domestic companies publish sustainability reports using GRI Standards 2020. In the oil and gas industry, I analyz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GRI standards 2021 and the ESG topics covered by SASB by environmental, social, economic, and governance areas. In addition, the materiality test process, which is different in GRI standards 2021, is introduced, and the issues included in the following 10 representative ESG-related initiatives are summarized into 62 and suggested improvement plans for materiality test used in the topic pool.

      • KCI등재

        국립대학 육성사업의 대학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의 네트워크 분석

        이정미(Lee, Jungmi),박태양(Park, Taeyang),이길재(Lee, Giljae)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5

        이 연구는 국립대학 육성사업을 통해 수행되어 온 대학 간, 대학-지역사회 간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의 내용 및 참여자의 네트워크를 분석함으로써 그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2차년도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에 참여한 9개 거점 국립대의 사업계획서를 활용하여 사업의 내용 및 참여자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차년도에 비해 2차년도에는 사업내용이 확대된 반면, 사업내용 간 네트워크의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은 감소되어 특정 사업의 중앙집권적인 영향력이 감소되고, 중재자적 역할을 하는 사업들이 분산되어 나타났다. 둘째, 2차년도에 대학 간, 대학-지역사회 간 사업 모두 참여자 수가 증가하여 대학 간, 대학-지역사회 간 참여자들의 교류가 양적으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대학 간, 대학-지역사회간 네트워크의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근접중심성이 모두 2차년도에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일부 거점 국립대학 외에도 다양한 국립대학 및 지역사회기관들을 중심으로 한 연계가 보다 강해지고, 그러한 다양한 대학 및 기관들의 영향력과 중재자적 역할이 보다 확대된 것임을 시사한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의 개선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 국립대학들은 사업내용의 양적 확대보다는 사업 운영의 내실화 및 질적 고도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정부 차원에서는 국립대학 육성사업의 성과를 분석 및 평가하는 데 있어서, 사업의 성과로서 사업내용 또는 사업참여자 수의 단순 증가가 아닌 사업내용 간, 사업참여자간 교류와 협력의 강도(밀도), 연결 정도, 영향력 정도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of the National University Development Project by analyzing the contents and participants’ network of the ‘Network Activation Project’ that has been carried out through the National University Development Project.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project contents were expanded in the second year, the centrality of connection, proximity centrality, and mediation centrality of networks decreased, reducing the centralized influence of specific projects and dispersing the projects that act as mediators. Second, in the second year,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both the inter-university cooperation project and the university-community cooperation project increased, and it was found that the exchanges between universities and university-community participants were quantitatively expand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onnection centrality, mediation centrality, and proximity centrality of networks between universities and colleges and communities all increased. This means that the links centered on various national universities and community institutions have been strengthened, and the influence and mediator roles of various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have expanded.

      • 농촌 소하천 환경용수 산정을 위한 실태조사

        김용완 ( Yongwan Kim ),김상민 ( Sangmin Kim ),박태양 ( Taeyang Park ),기욱 ( Kiuk Park ),장민원 ( Minwon Jang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환경용수는 전통적인 작물생육 뿐만 아니라 토양, 지하수, 하천 등에 대한 물순환 개선과 생태계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농촌지역 용수 중 하나이다. 최근 환경용수는 하천의 물순환 건전화, 하천생태계의 복원 및 하천을 통한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제고하고 그 지역경제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것의 수요와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개념적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아직은 농촌지역의 소규모하천에 적용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과 기술적 뒷받침이 부족한 현실이다. 농촌지역 소하천 환경용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기존농업용저수지의 활용방안도 모색할 수 있다. 농업용저수지의 농업용수를 제외한 나머지 용수를 이용하여 환경용수량을 확보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장기간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환경용수의 방류 기준을 찾아야 한다. 여기서는 소하천의 시기별 조건별 하천유량을 조사하여 적정한 방류시나리오 시행을 통해 장기간 실태조사의 자료를 대체하려 한다. 본 연구는 농촌지역 환경 유지의 핵심인 소하천을 대상으로 실제유량을 모니터링하고 하천유지용수의 방류 기준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 경남지역을 대상으로 소하천의 구간별 유량을 조사하고 환경용수를 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 있는 단계이며 앞으로 경남지역 소하천의 환경용수 결정을 위한 지표를 만들고자 한다.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에 소재하고 있는 하이저수지와 봉현저수지의 하류 소하천을 대상으로 2010년 5월부터 현재까지 총 5회에 걸쳐 하천의 실제 유량을 조사하고 있다. 하이· 봉현저수지 하류 소하천을 500m씩 나누어 구간별 흐름을 측정하였는데, 구간에 걸쳐 이앙전인 5월의 유량은 0㎥/s∼ 0,2㎥/s, 이앙이 한창인 6월에는 선행강수량 105.5mm인 조건에서 최소 0.2㎥/s, 최대 0.9㎥/s, 우기인 7월∼9월에는 최소 0.4㎥/s, 최대 2.2㎥/s로 구간내 매우 상이한 조사결과를 보였다.

      • KCI등재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필요 교원수 추산 연구

        이재덕(Lee, Jaeduck),김도기(Kim, Dogi),박태양(Park, Taeyang),이길재(Lee, Giljae)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3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필요 교원수를 추산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필요 교원수 추산을 위해 학생수, 수업학급수, 학급당 학생수, 교원의 주당 수업시수 등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변수를 단계적으로 적용하는 세 가지 모델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고교학점제 변수를 적용할 경우 그렇지 않은 기본모델 대비 24.7~50.0%의 교원이 더 필요한 것으로 추계되었다. 모델 간 차이는 보수모델 대비 합리모델은 8.4%, 최적모델은 35.2% 더 많은 교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되었다. 2021년부터 2040년까지 공립 고등학교 교원 신규채용 규모를 추계한 결과, 보수모델에서는 평균 5,959명, 합리모델에서는 평균 6,257명, 최적모델에서는 평균 7,203명의 교원이 신규채용 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교원 수급계획 수립 시 고교학점제 정책변수 고려, 교원 정원 산출 방식에 학교 현실 반영, 책임교육 실현을 위한 교원 충원의 필요성 인식 등을 제언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project teacher supply upon the introduc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order to best estimate the size of teacher supply, three projection models were constructed and applied based on different assumptions o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implementa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such as the number of instruction classes and per week credit load taught by a teacher. The study found that about 24.7 to 50.0 percent more teachers would be needed for the stabl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compared to the basic model in which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not considered. Specifically, rational and optimal models projected 8.4 percent and 35.2 percent more teachers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servative model (basic model). Following the projection scenarios, the conservative, rational, and optimal models estimated 5,959, 6,257, 7,203 new teachers are required to hired, respectively from 2021 to 2040. Based on the major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the needs to 1) consider the new policy factors like high school credit system, 2) reflect the reality of the school practice, 3) recognize the necessity of recruiting enough number of teachers required to ensure educational accoun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