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타자 이해에 대한 시교육적 고찰 ―한하운의 시를 대상으로
박주형 ( Park Juhyeong ) 국어교육학회 2019 國語敎育學硏究 Vol.54 No.2
이 연구는 시 읽기의 과정에서 독자의 타자 이해는 과정적이고 순환적인 성격을 갖는다는 전제하에 학습자가 시 텍스트의 타자적 요소를 적확하게 인식하고 이를 해석 과정에서 정교화할 수 있도록 하는 시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시의 주된 장르적 특성인 서정성과 타자 이해의 관련성을 살피고, 서정적인 시에서의 타자 이해는 주체와 세계의 상호침투 현상에 대한 독자의 능동적인 해석 노력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우리 사회의 대표적 사회적 타자인 한센인들의 경험을 시로 형상화한 한하운의 시를 대상으로 타자 이해를 위한 시교육의 방향을 ‘특이성 지각에 근거한 타자의 초점화’, ‘서정적 사태에의 몰입을 통한 타자 정체성의 구체화’, ‘수용사적 성찰을 통한 타자에 대한 가치평가의 조정’으로 제시하였다. On the assumption that, when reading poetry,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other is both procedural and circular, this study suggests that poetry education should enable the learner to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ther and elaborate upon them in the interpretation proces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lyricism and the other, revealing that the reader’s active interpretation efforts lead to an understanding of the other in lyric poetry. Drawing o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takes the leper poet Han Ha-un’s poem as an example to suggest that, in order to foster understanding of the other, poetry education should emphasize “focalization based on singularity perception,” “identification through immersion in lyrical situations,” and “adjustment of valuation of the other by reflection of reception history.”
디지털 환경에서 문학의 소통 맥락 변화와 문화교육의 방향
박주형 ( Park Juhyeong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21 先淸語文 Vol.49 No.-
This thesis examines the popularization of literatur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igital environment and examines its cultural-educational potential. To this end, first, the semantic network related to popularity in literary culture was reviewed. Popular literature is generally used as an alternative concept to authentic literature, and is understood as low-level literature. However, the public orientation in art also means the pursuit of a world of order and stability, and it also has a meaning as a discourse of resistance depending on the attitude of the audience toward culture. Also, in the modern society where the line between art and everyday life is blurring, popular things are a means of making the average life of everyday people valuable, and how to deal with them also needs to be an object of education. Based on this point of view,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opular cultural communication aspects of poetry in a digital environment, in the early days, the counter-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prominent. As the 2000s passed, public-friendly communication patterns using the multimodality of digital media began to appear, and from the late 2000s, based on the newly emerged SNS platform, it has been used as a means of sharing the way of life that the public actively wants to enjoy. This aspect is expected to become more diversified due to the emergence of new platforms that mediat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poetry, such as crowdfunding. Based on this aspect, the future direction of cultural education was suggested as follows. First, learners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 evaluative term popularity in a broader context in relation to literary culture. Second, it should be possible to refine learners’ participation in the popular literary culture that is newly form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digital environment.
능동적 협력자로서의 문학 독자 역할에 대한 고찰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에서의 문학 소통 양상을 중심으로-
박주형(Park Juhyeong),진가연(Jin Kayeon) 우리말글학회 2022 우리말 글 Vol.93 No.-
이 연구는 그간의 문학교육에서 상정해 온 내포 독자 개념이 지닌 독자 역할의 한계를 지적하고, 텍스트를 매개로 한 문학적 소통의 상관자로서 독자의 다양한 행위 역할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의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에서의 문학 소통 사례를 분석하고, 독자의 능동적 협력 양상을 ‘접촉하기’, ‘응답하기’, ‘완성하기’의 세 층위로 나누어 살폈다. 구체적으로 독자는 작가와의 접면을 다각적으로 확대하거나 작가의 문학적 기획을 평가하거나 작가로부터 제안받은 공동 창작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등의 활동을 통해 전통적인 독자 역할을 조정 및 전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학 작품과 독자 간의 다양한 관계 모델을 제시해야 한다는 점, 문학 문화에 대한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 경험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점, 문학 독서와 창작 활동 간의 다각적 연계 방식을 모색해야 한다는 점을 문학교육적 시사점으로 도출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point out the limitations of the role of the reader in the concept of the implied reader that has been posited in literary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various behavioral roles of the reader as correlators of text-mediated literary communi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recent examples of literary communication on crowdfunding platforms and divided the reader"s active collaboration aspects into three layers: “Contact,” “Respond,” and “Complete”. Specifically, the reader has been identified as modificating and transforming the traditional reader role through activities such as expanding the interface with the author in a multifaceted way, evaluating the author’s literary project proposal, or playing the role of co-creator proposed by the author. Based on this, the literary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that a model of diverse relationships between literary works and readers should be presented, that learners’ experiences of active participation in literary culture should be activated, and that a multifaceted link between literary reading and creating should be explored.
세그먼테이션과 스타일 변환을 활용한 영상 재구성 시스템
방연준(Bang, Yeonjun),이의진(Lee, Yeejin),박주형(Park, Juhyeong),강병근(Kang, Byeongkeun)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1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6
기존 영상 콘텐츠에 새로운 물체를 삽입하는 등의 영상 재구성 기술은 새로운 게임, 가상현실,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인공신경망 학습을 위한 데이터 증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기술은 컴퓨터 그래픽스, 사람에 의한 수동적인 영상 편집에 의존하고 있어 금전적/시간적 비용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신경망을 활용하여 낮은 비용으로 영상을 재구성하는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 콘텐츠와 삽입하고자 하는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이 주어졌을 때, 객체 세그먼테이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입력 영상에서 객체를 분리하고, 스타일 변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입력 영상을 스타일 변환한 후, 사용자 입력과 두 네트워크의 결과를 활용하여 기존 콘텐츠에 새로운 객체를 삽입하는 것이다. 실험에서는 기존 콘텐츠는 온라인 영상을 활용하였으며 삽입 객체를 포함한 영상은 ImageNet 영상 분류 데이터 세트를 활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을 활용하면 기존 콘텐츠와 잘 어우러지게끔 객체를 삽입할 수 있음을 보인다.
In-Memory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커뮤니티 서비스 성능 향상: 카페 추천 서비스
김준우(Junwoo Kim),김형우(Hyungwoo Kim),김승률(Seungryul Kim),박주형(Juhyeong Park),최화영(Hwayoung Choi),최재영(Jaeyeong Choi),김상진(Sangjin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24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4 No.5
본 논문에서는 커뮤니티 서비스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In-memory 데이터베이스의 도입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특정 테마의 카페를 추천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기획하고 구현하는 방법을 논의한다. In-memory 데이터베이스를 도입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 접근 속도를 향상시켜 서비스 응답 시간을 최적화할 수 있다. This paper proposes the adoption of an In-memory database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community services. To achieve this, the paper discusses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a community service that recommends cafes based on specific themes. By introducing an In-memory database, the access speed to the database can be improved, thereby optimizing the service response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