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창업가의 학습된 무력감과 창업효능감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기업가정신의 다중매개역할

        박재춘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 벤처창업연구 Vol.14 No.6

        This study aims to analyze multi-path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and entrepreneu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ESE). Research sample consisted of 154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D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learned helplessness showed a negative effects on entrepreneurship and ESE. Second, resilience showed a positive effects on entrepreneurship and ESE.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d ESE. Fourth, entrepreneurship turned out to medi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d ESE. Finally, resilience and entrepreneurship had shown multi-path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d ESE (learned helplessness→resilience→entrepreneurship→ESE). In particular, this study conclude with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practical application. 본 연구는 예비창업가의 학습된 무력감, 회복탄력성, 기업가정신 및 창업효능감의 인관관계를 규명하였다. 특히, 학습된 무력감과 창업효능감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기업가정신의 다중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경기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의 대학생 154명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창업가의 회복탄력성은 기업가정신과 창업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예비창업가들의 학습된 무력감은 기업가정신과 창업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예비창업가의 회복탄력성은 학습된 무력감과 창업효능감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였다. 넷째, 예비창업가의 기업가정신은 학습된 무력감과 창업효능감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된 무력감과 창업효능감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기업가정신은 다중 매개역할을 하였다. 즉, 예비창업가들이 지각하는 높은 학습된 무력감은 대학생들의 회복탄력성과 기업가정신을 거쳐 결국 창업효능감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疲勞强度를 基準으로 하는 設計

        朴載春 서울産業大學校 1981 논문집 Vol.15 No.1

        There are some cases whose many machine parts undergo fluctuating loads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average load plus variable range loads. It occurs combined steady and alternating stress(σ?+β·σ?) in the section of machine part, and brittle fatigue fracture will take place by this cyclic stresses (repeating stresses). In the machine designing, the needed number of cyclic fluctuating stresses as the fatigue life and amplitude of fluctuating stresses are used as the criterion for the fatigue strength together with the fatigue limit determined by testing. The bixial fluctuating stresses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the strength designing. The designing methods based both on low cyclic fatigue and high cyclic fatigue strength must be developed for the optimum, economic and reliable design of machineries such as high pressure Vessel, steel bridge, circular turbine blad, and shaft, crank shaft, universal joint, bolts, gear teeth, chain and springs etc.

      • KCI등재

        인사부서의 전략적 역할과 참여적 작업시스템, 직무만족: 노사관계 분위기의 매개효과

        박재춘 한일경상학회 2010 韓日經商論集 Vol.49 N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s empirically the HR department’s strategic roles that has determined the adoption of participative work system in hotel industry. And this study examines impact of participative work organization on job satisfaction and tests the mediation effect of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within the participative work system with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based on a sample of 417 employees across 109 hotel firms, indicate that participative work system is strong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Research find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R department’s strategic role has positive relationship on the participative work system in hotel industry. Second, the participative work organization has positive effect on the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Third, the participative work organization has a meaningful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Fourth, the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ve work organization and job satisfaction. Finally,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n conclusion session.

      • KCI등재후보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종업원태도의 관계, 경영자신뢰의 매개역할

        박재춘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10 專門經營人硏究 Vol.13 No.2

        Recently, High Performance Work System(HPWS) i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issues in HRM field. This study has a two-fold purpose: to investigate whether HPWS affect employee attitudes in the hotel industry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role of manager 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PWS and employee attitudes. The results, based on a sample of 417 employees across 109 hotel firms, indicate that HPWS is strongly related to employee attitudes. First, organization commitment and manager trust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HPWS, while turnover intentions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HPWS. Second, manager trust mediates the influence of HPWS on employee attitudes. Finally, implication,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in conclusion session.

      • KCI등재

        한국 대학 직원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시민행동 간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박재춘 한일경상학회 2012 韓日經商論集 Vol.57 No.-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consisting of efficacy, hope, optimism, and resilience; simply PsyCap) has been conceptually and empirically demonstrated to be related to employee performance. But previous research are limited concerning the causal relation among PsyCap and worker’s attitud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examines the causal relation among PsyCap, organizational commitment(OC),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The summary of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sample of 354 university/college staffs in Korea: First, PsyCap w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OC. Second, PsyCap was positively related to extrarole OCB. Finally, OC acted a part mediator between PsyCap and OCB. In addition, this study extends PsyCap research into a new organizational setting - a nonprofit organization. The majority of work on PsyCap has been focused on more profit organizations. Thus, this study also offers some support for the generalizability of the effects of PsyCap. In particular, this review concludes with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actical application.

      • KCI등재

        공무원참여와 노사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박재춘 한국행정연구원 2009 韓國行政硏究 Vol.17 No.4

        본 연구는 공무원노사관계의 정착과 발전을 위해 먼저 공직사회의 참여제도에 대한 실태분석을 통해 공무원의 참여수준을 살펴보았으며, 공무원참여와 노사관계의 관계, 공무원참여와 노조몰입, 노조몰입과 노사관계, 공무원참여와 노사관계에서 노조몰입의 매개역할을 연구하였다. 금번 실태분석 결과, 공직사회의 참여는 형평성참여 제도에 비해 효율성참여 제도가 비교적 활성화되어 있으나, 전반적인 참여제도는 민간부문에 비해 매우 취약하였다. 특히 광역·기초자치단체에 비해 중앙정부 소속 공무원들의 참여제도에 대한 인식이 더욱 낮았다. 공무원참여는 협력적노사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직접참여와 간접참여 모두 협력적 노사관계를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직접참여보다 간접참여가 협력적 노사관계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직사회의 협력적 노사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공무원참여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간접참여가 주는 시사점이 크다 하겠다. 또한 공무원참여 중 간접참여만이 노조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노조몰입은 협력적 노사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공무원들의 노조몰입은 참여와 협력적 노사관계 간에 부분적인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공직사회에서 공무원들의 노조몰입이 오히려 공무원참여와 협력적 노사관계에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창업의도 영향요인과 국가 간 차이: 창업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정부지원정책을 중심으로

        박재춘,남정민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 벤처창업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인특성(창업효능감)과 환경적 특성(사회적지지, 정부지원정책)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였다. 특히, 개인 및 환경적 특성과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국가 간 차이(한국, 중국)의 조절효과를 실증하였다. 한국 및 중국 대학생 626명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창업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정부지원정책 모두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한국 대학생들의 창업의도에는 사회적지지, 창업효능감, 정부지원정책 순으로 영향력을 주었다. 둘째, 중국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창업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정부지원정책 모두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중국 대학생들의 창업의도에는 정부지원정책, 창업효능감, 사회적지지 순으로 영향력을 주었다. 셋째, 환경적 특성(사회적지지, 정부지원정책)과 창업의도의 관계는 국가 간 차이에 의해 조절되었다. 특히 환경적 특성(사회적지지, 정부지원정책)과 창업의도의 긍정적 관계는 중국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즉, 한국과 중국은 집단 문화적 특성을 보이나 중국은 ‘꽌시’를 중요시 하는 관계 지향적 문화특성이 높고, 창업을 새로운 창업기회로 인식하는 불확실성 회피성향이 낮은 문화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중국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 및 중국 대학생들의 창업의도에 대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한국 및 중국 대학생에 초점을 둔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예비창업자의 창업효능감과 기업가정신의 관계: 창업교육 및 진로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재춘,김주섭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 벤처창업연구 Vol.14 No.3

        Recently, domestic universities have emphasized career path to start-up through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ESE) and entrepreneur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SE on entrepreneurship of university students. Also we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career uncertainty between ESE and entrepreneurship. Research sample consisted of 236 university students in Cheonan cit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ESE showed a positive effects on entrepreneurship.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was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SE and entrepreneurship. In other words, university students with a higher entrepreneurial education showed higher entrepreneurship when ESE was lower. But students with a lower entrepreneurial education showed higher entrepreneurship when ESE was higher. Finally, the interaction effects of career uncertainty was confirmed in relationship between ESE and entrepreneurship. In other words, university students with a higher career uncertainty showed higher entrepreneurship when ESE was higher. But students with a lower career uncertainty showed higher entrepreneurship when ESE was lower. In order to improve the entrepreneurship of the pre-founder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behavior control of university students by enhancing the ESE. Also, the improvement of entrepreneurship of pre-founders should strengthen the ESE of university students, and should complement systematic and effectiv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particular, we should provide the stability for career decision by eliminating uncertainty about the career path of university students. 근 국내 대학에서는 예비창업자인 대학생들의 창업효능감과 기업가정신의 고취를 통해서 창업으로의 진로경로가 강조되고 있다. 이를 위해 예비창업자들의 창업효능감과 기업가정신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창업교육과 진로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충남 천안에 위치한 4년제 대학의 대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창업자들의 높은 창업효능감은 기업가정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예비창업자의 창업효능감과 기업가정신의 관계에서 창업교육의 상호작용 효과가 실증되었다. 창업교육을 수강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창업효능감이 낮은 수준에서 중간 수준이 될 때까지 기업가정신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창업효능감이 높아질수록 창업교육을 수강하지 않은 집단에서 기업가정신이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예비창업자의 창업효능감과 기업가정신의 관계에서 진로불확실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실증되었다. 진로불확실성을 낮게 지각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창업효능감이 낮은 수준에서 일정 수준이 될 때까지 기업가정신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창업효능감이 높아질수록, 진로불확실성을 높게 지각하는 집단에서 오히려 기업가정신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예비창업자들의 기업가정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대학생들의 창업효능감을 제고하여 예비창업자들의 행동통제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예비창업자들의 기업가정신의 고취는 대학생들의 창업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노력과 동시에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창업교육의 보완이 병행되어야 한다. 특히, 대학생들의 창업진로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하여 창업진로결정에 대한 안정성을 제공해야 하겠다.

      • KCI등재

        직무요구와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퇴근 후 모바일기기 업무사용과 일-가정 갈등의 다중매개역할

        박재춘 한국노동연구원 2017 노동정책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일’과 ‘삶’의 조화가 중요한 여성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지각된 직무요구와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퇴근 후 모바일기기 업무사용과 일-가정 갈등의 다중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비서직 여성노동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직 여성노동자들이 지각하는 일-가정 갈등은 직무요구와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였다. 즉, 높아진 직무요구는 여성노동자들의 일-가정 갈등을 높이고, 결국 생활에 대한 불만족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둘째, 퇴근 후 모바일 업무사용은 직무요구와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지 않았다. 셋째, 직무요구와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퇴근 후 모바일 업무사용과 일-가정 갈등은 다중매개역할을 하였다. 즉,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높은 직무요구는 퇴근 후에도 업무처리를 위한 모바일 업무사용을 높이고, 결국 여성노동자들의 일과 가정의 양립을 어렵게 하여 생활만족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multi-path mediating effect of mobile use during nonwork time and work-family confli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argeted 131 incumbent secretaries are as follows: First, work-family conflict turned out to medi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job demands had a positive effect on work-related mobile use during nonwork time. Third, work-related mobile use during nonwork time had a positive effect on work-family conflict, whereas mobile use didn’t have any impact on life satisfaction. Fourth, work-related mobile use didn’t turn out to medi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life satisfaction. Finally, work-related mobile use and work-family conflict have shown multi-path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life satisfaction(job demands → mobile use during nonwork time → work-family conflict → life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is paper concludes with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actical ap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