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실기 중심의 반복적 평가가 비 의무 전투병의 심폐소생술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권영훈 ( Young Hoon Kwon ),최문종 ( Moon Jong Choi ),김영미 ( Young Mi Kim ),박유선 ( You Seon Park ),임재희 ( Jae Hee Lim ) 국군간호사관학교 군진간호연구소 2014 군진간호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실기 중심의 심폐소생술 반복적 평가가 비 의무 전투병의 심폐소생술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전투병에게 교육용 마네킹을 이용한 1:1 실기 중심의 심폐소생술 교육을 제공하고 최초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며 직접 자신이 심폐소생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수행능력을 향상시킨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각 각 교육 전 평가 후 실기 중심의 심폐소생술 교육을 동일하게 제공한 다음 교육 직후에 술기 능력에 대한 재평가를 실시하여 이를 기준으로 실험군은 교육 경과 2주, 6주, 14주 후에 각각 재평가를 실시하고 대조군은 교육 제공 후 14주 경과하여 단 1차례만 재평가를 실시하여 수행능력 향상의 차이를 가. 교육 경험과 술기 능력 연구 대상자들은 모두 현역병으로서 입대 전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경험자 비율은 실험군(82.4%), 대조군(54.4%)로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자가 더 많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p=.001). 그러나, 두 집단 간의 사전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식 수준은 실험군(45.15±15.98점), 대조군(55.43±17.12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실험군보다 상대적으로 교육 경험이 낮은 대조군에서 오히려 높은 인식 수준을 보였고( p=.008), 특히 중재 전에 시행한 심폐소생술 술기 수행 평가(2차, 사전평가) 점수는 실험군(56.39±16.16), 대조군 (65.32±14.39)로 대조군이 더 높은 수준의 수행능력을 보였다. 이러한 점수 결과는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았던 집단에서 교육을 받지 않았던 집단보다 심폐소생술 교육에 대한 지식과 수행능력의 점수가 높았다고 한 Choi 와 Kwon(2009)의 연구결과는 차이를 보이지만, 이전 교육 경험 유무가 심폐소생술 실기 수행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한 Koh 와 Kim (2012)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사전 평가에서 두 집단 간에 동질성이 검증되지 않은 변인이 최종 수행 능력에 차이를 보이는 지를 살펴보고자 심폐소생술에 대한 사전 인식 여부 , 교육 경험 유무 , 최근 교육 시기와 최종 심폐소생술 술기 점수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5). 이러한 결과는 심폐소생술의 정확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은 학력, 근무경력, 최근 교육시기보다는 최근 교육 회수가 더 중요하다는 Lee 와 Choi (1996) 연구 결과와 연관성이 있다. 나. 실기 중심의 반복평가와 심폐소생술 수행 능력 본 연구에서는 실험군에 대해 최초 이론과 실기를 종합한 교육을 제공하고 사전 평가를 실시한 후 별도의 교육 없이 반복 평가를 통해 술기 수행능력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사전평가(2차 평가)는 교육 직후 실시하였으며 실습용 마네킨을 이용하여 1:1 교육담당자와 대상자의 집중적인 연습이 진행된 이후에 평가를 시행하였으므로 술기의 정확성이 크게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교육 후 2주 경과하여 3차 평가를 측정한 결과는 55점으로 큰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2차 평가로 인해 몸으로 체득된 수행능력의 교육적 효과가 2주 경과한 시점에서도 크게 변함이 없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교육 후 6주 경과하여 실시한 4차 평가에서는 57점, 교육 후 14주 경과한 최종평가(5차 평가)에서는 65.0±17.1 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t=2.318, p=.027). 이는 실습 위주의 반복적인 심폐소생술 교육이 비의료인에게 높은 교육효과 더불어 지속적인 효과를 보였다고 한 Oh 와 Kim(2005)의 결과와 일치한다. 반면, 대조군은 군에서 일반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단발성 이론 중심의 심폐소생술 교육과 같이 사전 평가를 실시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별도의 교육이나 평가를 제공하지 않고 14주 경과하여 최종적인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을 평가하였다. 대조군에서도 교육 직 후 시행한 사전 평가에서 교육 전 평가 점수(26점) 보다 크게 향상된 점수(65점)를 보였으나 14주 경과하여 실시한 최종평가에서는 55.1±17.4점을 획득하여 사전평가에 비해 유의하게 점수가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t=-2.610, p=.012). 이러한 결과는 교육 효과가 시간이 경과 할수록 저하된다는 Ahn 등(2009)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반복된 재교육이 심폐소생술 술기 수행 능력에 더욱 효과적이라고 한 Oh 와 Han (2008)의 연구 결과와 중령 권영훈 등 일치하며 심폐소생술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단기간 내 교육의 빈도를 높이는 것이 효과적이며 작은 기술사용이 요구되는 집단에 대한 교육의 횟수를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 Lee 와Choi(1996)의 연구와도 일치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 집단 모두에게 평가 직전 마네킨을 이용한 자가 연습을 할 수 있도록 5분 이내의 짧은 시간을 허용하였는데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모두 마네킨을 이용한 자가 연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이어진 수행 능력 평가에 자신감을 보였다. 이는 실습용 마네킨을 이용한 기술 훈련이 회를 거듭할수록 의미 있는 발전을 보인다고 한 Koh 와 Kim (2012)의 연구 결과와 연관성이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교육 초기 반복적인 평가를 제공하는 것은 심폐소생술 수행 능력 향상에 유용하며 기존의 단발성 강의식 교육 방식보다 반복 평가와 평가 전 짧은 시간이라도 마네킨을 이용한 실기연습을 보장하는 것이 심폐소생술 술기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 교육 주기 본 연구에서 실험군을 대상으로 교육 2주, 6주, 14주 경과하여 반복적인 평가를 실시한 것은 Plank 와 Steinke(1989)의 연구에서 교육 제공 후 8주 후부터 기술 부분의 능력이 떨어진다고 한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재평가의 간격을 단계별로 연장하여 실시한 것이다. 또한 독일의 심리학자인 H. Ebbinghaus이 학습 후 4주가 경과하면 기억의 80%를 망각하여 교육효과가 저하된다고 한 망각곡선 이론에 의거하여 교육 후 2주 경과하여 3차 평가를, 3차 평가 후 4주 경과하여 즉, 교육 후 6주 후에 4차 평가를, 4차 평가 후 8주 경과하여 즉, 교육 후 14주 경과하여 각 각 반복 평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에서는 교육 및 사전 평가 후 2주 경과하였을 때에도 심폐소생술의 수행능력에 큰 변화가 없었고 이후 4주, 8주가 각 각 경과하였을 때는 오히려 지속적인 점수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대조군은 사전 평가 후 14주 경과할 때까지 별도의 교육이나 평가를 포함한 자극을 배제한 상태에서 최종 평가를 시행한 결과 평균 점수가 55점으로 유의하게 저하된 결과를 보였다. 이는 인간의 기억이 시간의 흐름에 반비례하므로 감소하는 기억을 장기 기억으로 영구히 보존하기 위해서는 망각곡선의 주기에 따라서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반복(4회 주기)이 중요하다는 H Ebbinghaus의 망각곡선 이론과 관련이 있다. 또한 실기 위주의 교육이라 할지라도 교육 효과의 지속성을 평가하는 연구가 요구된다고 한 Koh 와 Kim(2012)의 연구결과와도 연관성이 있다. 시간이 경과한 후의 술기의 정확성은 지식보다 큰 폭으로 저하되며 심폐소생술의 술기 능력은 교육 8주 후부터 유지효과가 떨어지기 시작해서 3개월 후에는 그 수준이 급감하여 적절하지 않게 떨어졌다고 한 Oh와 Han(2008)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며 심폐소생술은 기술을 습득한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빠르게 잊어버리거나 변형되어 가기 때문에 재교육의 시기와 방법은 기술을 유지, 증진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고 언급한 Choi, Lee 와 Wang(2009)의 연구결과와도 연관성을 갖는다. Uhm, Jun, Hwang과 Choi(2008)는 성인의 경우 심폐소생술 교육 후 6개월 이후에는 교육 효과가 거의 소실되므로 적어도 1년마다 재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고, Lee와 Choi(1996)는 심폐소생술 재교육 시기 간격이 2∼3개월을 경과하지 않게 설정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하며 초기 교육은 1년에 4회정도 약 3개월 간격으로 시행한다면 가장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AHn 등(2009)은 근무부서 및 자격취득 연도와 심폐소생술과의 상관관계를 측정하였으나 숙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숙련도 향상을 위해서는 교육 회수를 최소 연간 4회 이상으로 늘리고 실기 실습을 반복적으로 시행해야 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조군에게 교육 제공 및 사전 평가 후 14주 경과하여 평가를 실시하였을 때 사전 평가에 비하여 점수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반면, 초기 집중적인 반복적 평가를 시행한 실험군에서는 4차 평가와 5차 평가간의 간격이 8주가 경과하였으나 점수의 지속적인 향상을 보였다. 이로써 기존의 단발성 강의식 교육 보다 집중적인 반복적 평가가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을 유지하기에 유용하며 대조군의 경우를 비추어 볼 때 현재 군에서 시행하는 일반적 교육 주기인 최소 분기 단위 보다는 보다 합당한 주기를 재판단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Purpose :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research which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repetitive practice-based assessment on CPR performance of non-medic soldiers. The study intended to seek a CPR education method suitable for military. Methods :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38 participants, went through practice-based assessment with mannequins immediately after, and 2 weeks, 6 weeks, and 14 weeks after education and pre-assessment. Control group which consisted of 46 participants was given assessment once, 14 weeks after the education and pre-assessment. The data was analyzed using IBM SPSS 20.0, with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and ANCOVA. Results :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higher ratio of people who have had CPR education in the past (p=.001) but the control group showed better performance (p<.05). Repetition of intensive assessment resulted in increase of experimental group`s performance score as the group progressed through assessments (p<.01).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score (p<.01). Conclusion : Repetitive practice-based assessment has educational effects on improving participants` performance. Re-education must be provided within at most 14 weeks and should focus on practicing.

      • 견비통의 한·양방 진료 및 협진의 경제성 평가

        장혜정,홍상민,박유선,남동우,이두익,이재동,이윤호,임사비나 WHO COLLABORATING CENTRE FOR TRADITIONAL MEDICINE 2007 東西醫學硏究所 論文集 Vol.2007 No.-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cost-effectiveness of Eastern, Western and collaborative treatments and suggest a cost-effective approach for patients with frozen shoulder pain. Methods : Using the data of fifty-two patients, treatment effectiveness was measured by CSA, SPADI, and ROM scales and changes from the baseline score were evaluated. Data source for cost estimation was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payment system. Because the price in NHI was differentiated by health care institutions, five collaborative types were considered in assessing costs. Cost-effective ratios were computed tor economic evaluation. Results : Compared with Eastem treatinent, collaborative and Westerm treatments showed better effects on CSA scale after 4 weeks' treatment. The collaborative approach was also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on SPADI and ROM scales The direct cost per patient receiving Eastern treatment was less than other treatments. In general, collaborative treatment dominated Eastern and Western treatments in cost-effectiveness analysis However, the cost-effectiveness ratio of Eastern treatment resulted in \9,0OO compared to W29,OOO of collaborative treatment on SPADI Four different indicators of ROM scales resulted in different approaches as the cost-effective treatment. Conclusiuns : Considering cost-effectiveness ratios, collaborative treatment was the best treatment on CSA and SPADl scales after 4 weeks' treatment As for ROM scales, the recommended altematives were Eastern treatment for patients with abduction and adduction disabilities, Western treatment for those with flexion disability, and collab-orative approach for those with extension disability.

      • 유착성 관절낭염 치료에 있어서 한방 치료와 양방 치료의 임상적 고찰 : 동서협진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를 중심으로

        남동우,정인태,김주희,박유선,임사비나,이두익,이재동,이윤호,최도영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6 東西醫學硏究所 論文集 Vol.2006 No.-

        Objectives : To observe the effect of acupuncture treatment and western medical treatment on frozen shoulder patients. Methods : 39 voluntary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astern treatment group(E group, n=22) and the Western treatment group(W group, n=17). The E group received acupuncture treatment on LI15, TE14, GB21 and Master Dong's acupuncture points, Shin-gwan and Gyun-joong, twice a week for 4 weeks. The W group received suprascapular nerve block, subacromial injection and trigger point injection, twice a week for 4 weeks. Both groups were instructed to practice self exercise during their daily lives. Evaluations were made before treatment and after treatment using Constant Shoulder Assessment(CSA),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SPADI) and the patient's satisfaction concerning the treatment was measured by Visual Analogue Scale(VAS).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and compared. Results : The E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p<0.05) according to the CSA and SPADI. The patient's satisfaction scored 5.67 on a scale of 10. The W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p<0.05) according to the CSA and SPADI. The patient's satisfaction scored 7.73.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insignificant according to CSA and SPADI. Conclusion : Both acupuncture and nerve block treatment significantly improved frozen shoulder. But the difference of the two treatments was in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