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정규직법 시행 이후 기업의 대응방식과성 차별적 관행

        박옥주 ( Ok Joo Park ),손승영 ( Seong Young Sohn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2 담론 201 Vol.15 No.3

        IMF 외환위기 이후 기업들의 노동유연화 전략으로 인해 비정규직 노동자 숫자가 급증함에 따라, 이들의 고용안정과 차별 시정을 목적으로 2007년 7월부터 비정규직법이 시행되고 있다. 비정규직법의 주요내용은 비정규직의 사용기간 2년제한과 아울러, 동일 또는 유사노동에 대한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자들 사이의 차별금지이다. 이 논문에서는 기업이 차별시정의 책임이 있는 주요 주체임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대응방식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비정규직법 시행이후 기업들은 ``사용기간 제한`` 조항에 대해서는 직종과 업무특성에 따라 외주용역화, 2년 주기 신규 채용, 무기계약직화, 하위직급 정규직화등의 방식으로 대응하고, ``차별 금지`` 조항에 대해서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업무를 철저히 분리시키는 방식으로 대응해왔다. 이와 같은 기업들의 다양한 대응방식 과정에서 여성에 대한 차별이 여전히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 논문은 기업의 대응방식과 관련된 젠더 차이와 젠더 효과에 초점을 맞추었다. 지금까지 기업들은 비정규직 업무 중 주로 남성적 업무를 정규직화 하는 반면 여성적 업무는 외주용역화 또는 무기계약화하거나, 남성적 업무를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할 때 여성적 업무는 2년 주기로 신규 채용하는 등의 차등적 방식을 취해 왔다. 또한 무기계약직 전환과정에서도 여성에 비해 남성에게 훨씬 높은 비율을 적용하거나, 여성적직무를 특정 직군으로 분류하여 기존 정규직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노동조건으로 묶어 두기도 했다. 이러한 사례들은 모두 직무 중심의 대응이라 할지라도 결과적으로 여성에게 더 불리하게 작용하였으므로 간접차별에 해당된다. The number of Workers having irregular job has increased very rapidly as Korean society experience a financial crisis under the ruling of IMF and corporations start to take strategies of labor flexibility. As the result, Korean government decided to enact a ``Law related to Irregular Work`` and enforced the law in July of 2007. The major contents of the law are to limit the use of the irregular labor up to two years and to prohibit discrimination against the irregular workers when they preform similar type of work with the regular workers.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law, Corporations have taken various actions such as subcontract, new contract for less than two years, limitless contract with less payment, sharp division between regular work and irregular work, and so forth. This paper focuses on the ways how corporations confront the law based on the gender differences. It is still quite common to find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practices of Korean corporations. Corporations tend to regularize jobs for men, while they subcontract with other organizations or have limitless contract for women`s work. When corporations change the irregular work to limitless contract for men, they choose differential methods of recruiting new women workers for every two years. Even when they change irregular labor to limitless contract, they share more portions to men than women. Even when corporations claim that they made the decision based on the tasks, not by gender, the changes result in worse working conditions for women than men. Therefore, we conclude that decisions belong to the category of indirect discriminations by gender.

      • KCI등재

        무기계약직 전환 여성의 ‘중규직’ 경험

        박옥주(Park Ok Joo),손승영(Sohn Seong Young) 한국여성학회 2011 한국여성학 Vol.27 No.1

        ??IMF 외환위기 이후 급증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고용안정과 차별시정을 위해 2007년 7월부터 비정규직 보호법이 시행되고 있다. 여성 집중 직종으로 대표되는 사무직과 판매서비스직에서 기간제 및 기간제 파트타임으로 일해 온 여성들 중 일부는 2007년 7월부터 비정규직 보호법이 시행된 이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되었다.<br/> ??이 논문에서는 무기계약직 전환 여성들의 노동조건 및 노동경험을 생생하게 파악하고자 심층면접법을 활용하였다. 면접조사는 2009년 4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여성노동자 14명과 기업의 인사담당자 3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무기계약직 전환 여성노동자들은 정년까지 고용이 보장된다는 기대와 함께 직업 안정성이 강화되었으며, 일부에서는 임금이 상승하거나 상여금을 받게 되었고 소수의 경우 승진도 가능해졌다. 그러나 무기계약직은 조직 내에서 일반 정규직과는 차등 관리되어 고용 안정성조차 완전 보장되지 않은 경우도 있으며, 업무내용도 과거 기간제 시절과 별로 달라지지 않았고 임금상승이나 승진이 가능하더라도 매우 제한적이었다. 비정규직에서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된 여성들은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사이에 애매하게 위치한 중규직’으로 대량 포진하고 있어서 노동조건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Irregular Worker Protection Act’ has been practiced in Korea from July 2007 to stabilize employment and eliminate discrimination against irregular workers whose number has increased rapidly since the foreign exchange crisis under the ruling of IMF. Many Korean female workers who had periodical work in clerical and sales work represented as women-concentrated job were transferred to unlimited contract in 2007. We used in-depth interview method to find out the vivid picture of work experiences for women who transferred to unlimited contract. Interviews were done with each of 14 female workers and 3 personnel managers of corporations. Female workers transferred to unlimited contract acknowledged the change in job stability, limited wage increase and benefits. However, the women with unlimited contract were managed in different ways from workers with regular job. Therefore, we regard the unlimited contract job as ‘in-between job’ placed between regular work and irregular work. The women with unlimited contract still experience discrimination and gender difference in the divided Korean labor market.

      • 비정규직 보호법이 여성노동에 미치는 영향

        박옥주 동덕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2008 젠더연구 Vol.- No.13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Fixed Term and Part Time Employees prohibits discriminatory treatment against fixed term and part time workers in terms of wages and other working conditions, In other to prevent the misuse of contingent work, the Act limits the maximum period of employment. Under the Act, an employer may hire fixed-term employees for a period not exceeding two years. But the Act makes worse employment stability and working conditions of contingent women workers. Because enterprises are going to repeat employment and dismissal per two years and transfer jobs to dispatch work and outsourcing. Contingent women workers are confronted with gender discrimination by the countermeasures of enterprises on the Act. The countermeasures of enterprises may deepen sexual job division still further. Therefor,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Fixed Term and Part Time Employees. By doing this,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misuse of contingent work and to decrease wage disparities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women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