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조강연] 세계 속의 한국어학과 다언어교육의 본질

        박영순(Park Youngsun) 세계한국어문학회 2010 세계한국어문학 Vol.3 No.-

        본 논문은 세계 속의 한국어문학과 다문화주의라는 주제로 기획되었다. 특히 이 논문은 세계 속의 한국어문학과 한국어교육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다문화사회에서의 이중/다중언어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살펴보았다. 한국어는 1990년대부터 급신장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과 한국어교육이 2010년 현재 약 70개국에서 약 750여 개의 대학에서 한국어문학과를 운영하거나 한국어강좌를 개설하고 있는 세계 10대 언어에 포함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주요국가 주요대학의 한국어문학과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한국학 발전을 위해 필요한 일이 무엇인지, 어떤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논의하였다. 또한 한국사회가 빠른 속도로 다문화사회로 변화되어감에 따라 다문화주의의 본질을 살펴보고, 그 실현방법인 이중/다중 언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사례를 통해 한국 내의 다언어교육의 가능성과 교육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for the discussion on the multiculturalism which became the major academic and social topic recently. This study aims to show the present status of Korean studies, especially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literature, in the World. And then discuss on the theories of bi/multilingual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ies such as United States.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on world-wide is continually raising since 1990's. As of 2010, Korean language is ranked 9th among 6 thousand languages in the world. This rank could be calculated from the facts, that Korean Language was included in the SAT from 1997 as 9th language, also in PCT official language also as 9th 1n 2007. Korean language is being taught as a foreign language at about 750 universities in 70 countries as well as about of hundred high schools in the world. There are more than one and half million foreigners live in Korea. Among them, more 20% are married Koreans and have children. Therefore Korea is considered to be multicultural society. Accordingly bilingual education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homes is needed and demanding in present Korea. Of course, bilingual education must be very useful and profitable for Korean native children also. Thus the way of bilingual education should be searched as early as possible. The immersion program is considered to be one way of bilingual education both for minority students and majority students in Korea.

      • KCI등재

        대학생을 위한 심리사회적 서비스 개선방향에 관한 교수인식 탐색연구

        박영순(Park Young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본 연구는 다양한 스트레스로 정신적, 적응적 고통을 겪는 대학생에게 제공되는 심리사회적 지원이 그 실효성을 높이고 개인과 사회에 실제적 도움이 되도록 개선되어야 할 방안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으로 지방의 사립대학에 재직 중인 교수 6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본 면담 일주일 전에 미리 작성한 사전 질문지를 연구 참여자의 메일로 발송하여 의견을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을 주었으며, 본 면담은 2019년 11월 28일 2시간 30분 동안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실용적 절충주의 분석법에 따라 범주와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을 위한 심리사회적 지원의 개선방안에 대한 교수의 인식에 관해 <학생 심리사회적 특성에 대한 인식>, <학생 상담에 대한 인식>, <학생맞춤형 통합서비스> 3개의 범주를 도출하였고, 각 범주에 따라 전체 18개의 하위범주를 구성할 수 있었다. 학생맞춤형 통합서비스 범주에서 도출된 8개의 하위범주(상담의 문턱 낮추기, 지역사회 다양한 자원 연계, 학생 요구조사, 모델링 기회 제공, ‘학생성공경험 주기’ 프로젝트 운영, 마음챙김 공간 제공, 찾아가는 성인지 프로그램, 교수의 진로지도 지원)에 따라 대학생을 위한 심리사회적 지원의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ways that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support provided to college students should be improved to enhance its’ effectiveness. In the method of research, the FGI was conducted on six professors working at a local private university, and with the collected data,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were derived. As a result, the three categories of <Awareness of Student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Awareness of Student Counseling>, and <Student-specific Comprehensive Services> were derived on the professor s perception of how to improve psychological and social support for college students, and a total of 18 subcategories could be organized according to each category. According to the eight subcategories derived from the student-specific Comprehensive service category,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psychological and social support for university students was discussed. And I made a suggestion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대학생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정신건강 문제의 관계에서 희망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영순(Youngsun Park) 한국심리치료학회 2023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을 통하여 정신건강 문제에 이르는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희망의 수준에 따라 매개효과의 강도 또는 방향이 다른지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정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B광역시 소재 일반대학 재학생 23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먼저 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행하였으며, 다음으로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수 간 상관분석 결과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및 정신건강 문제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희망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정신건강문제는 희망과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은 희망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대인관계스트레스와 정신건강 문제 간의 관계에 대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정신건강 문제의 관계에서 나타낸 희망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이때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는 희망의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은 검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인관계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건강 문제의 예방과 완화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mental health problems in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237 students from universities in B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PROCESS. The mediating, moderating,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terpersonal str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mental health problems,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hope. Seco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mental health problems.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ho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mental health problems was significant.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level of hope.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hope was verified. implications for preventing and alleviating mental health problems caused by interpersonal stress were discussed.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대학생의 코로나19불안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 불안통제감의 조절효과

        박영순(Park Young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불안감과 건강불안감의 코로나19인식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불안통제감이 그 영향을 조절하는지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부산광역시 소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코로나19인식, 불안통제감, 진로준비행동 검사를 온라인 설문방식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에 동의한 224명의 설문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이 자료는 SPSS프로그램을 활용한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 대학생의 코로나19불안은 불안통제감과는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진로준비행동과는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코로나19불안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불안감과 건강불안감은 진로준비행동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불안통제감이 코로나19인식과 진로준비행동 관계에서 갖는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이는 불안통제감의 고저에 따라 코로나19인식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을 의미한다. 결론 일반적 불안과는 달리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불안감 및 건강불안감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강화하였으며, 이러한 영향은 불안통제감의 수준에 따라 유의미하게 달랐다. 이러한 결과는 재난상황과 같은 외부요인에 의해 불안이 야기되는 경우 대학생을 위한 진로상담은 그들의 불안통제감 증진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social anxiety and health anxie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o check whether their perceived anxiety control moderates the effect. Methods A questionnaire on COVID-19 awareness, anxiety contro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conducted online for college studen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224 survey data agreed to this study were collected, and this data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COVID-19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nxiety control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COVID-19 aware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anxiety and health anxiety had an effect in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Next, the moderating effect of anxiety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awaren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significant. This means that the influence of COVID-19 percep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iffers depending on the high and low sense of anxiety control. Conclusions Unlike general anxiety, social anxiety and health anxiety caused by COVID-19 strengthened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se effec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anxiety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eer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should focus on enhancing their anxiety control when anxiety is caus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disaster situations.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박신영(Park Shinyoung),박영순(Park Youngsun),김윤희(Kim Y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7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정서조절방략,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도 Y시에 소재한 일반계 고등학 교 1,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기보고식 설문지 581부를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긍정적 및 부정적 양육태도는 정서조절방략 중 지지추구 및 능동적 양식과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으며, 지지추구 및 능동적 양식은 청소년의 사회적 유능성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에서 지지추구 양식과 능동적 양식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사회적 유능 성은 부모의 양육태도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정서조절방략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기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사회적 유능성 향상을 위한 방안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aring attitudes,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social competence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between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social compete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581 first and second-grade students in a general high school in Gyeongsangnamdo. The results as followings; first,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ffects social competenc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negatively affects social competence. Second,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support seeking style and active style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ird, support seeking style and active style among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competence of adolescents. Fourth, support seeking style and active style were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ocial competence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parental rearing attitude is important to enhance the social competence of adolescents, but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are also important, and the support and intervention of emotional adjustment programs for adolescents in the school field will work eff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성인의 인정욕구와 사회불안의 관계

        한소희(sohee Han),박영순(Youngsun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는 성인의 인정욕구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자비의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2021년 4월 1일~30일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전국의 20 ~ 40대의 성인 488명을 대상으로 인정욕구, 사회불안, 정서인식명확성, 자기자비에 대한 설문을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22.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인정욕구가 사회불안에 영향을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자비가 매개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SPSS Process v.2.16의 Macro Model 6번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인정욕구와 사회불안,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자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인정욕구는 사회불안과는 정적 상관을,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자비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정서인식명확성은 자기자비와 정적 상관을, 사회불안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자기자비는 사회불안에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인정욕구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정욕구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자기자비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정욕구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자비가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의 사회불안 개입에서 정서인식 및 자기자비 증진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s need for approval and social-anxiety. Methods For this purpose, 488 adults from 20s to 40s across the country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from April 1 to 30, 2021 were surveyed online on need for approval, social anxiety, emotional clarity, and self-compass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22.0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d using SPSS Process v.2.16 Macro Model 6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and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ed for approval and social-anxiety. Result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Need for approval was a static correlation with social-anxiety and w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clarity and self-compassion. Emotional clarity was a static correlation with self-compassion and w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anxiety. Self-compassion w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anxiety. Second, emotional clar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s need for approval and social-anxiety. Third, self-compas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s need for approval and social-anxiety. Forth, emotional clarity and self-compassion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s need for approval and social-anxie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discussed that emotional clarity and self-compassion should be improved in adult’s social-anxiety interv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