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의 거대세포종에 동반된 동맥류성 골 낭종의 임상적 특징

        이형민(Hyung Min Lee),박세경(Se Kyung Park),조은미(En Mi Cho),오선주(Sun Ju Oh),정소학(So Hak Ch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5

        목적: 골의 거대세포종 환자들 중에서 동맥류성 골 낭종 동반 유무에 따른 임상적 특징과 경과 및 예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3월부터 2013년 4월까지 골 종양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고, 거대세포종으로 확진된 환자들 33예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임상적 특징으로 발생연령, 성별, 발생 위치, 종양 크기, 병적 골절 유무, Campanacci 등에 의한 종양 등급, 국소재발 및 전이, 그리고 악성화의 유무를 조사하였고, 이 항목들에 대해 동맥류성 골 낭종의 동반 여부에 따른 두 군 간에 차이가 있는지 Student t-test 및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국소재발은 전체 33예 중에서 6예에서 발견되었고 동맥류성 골 낭종이 동반된 군에서 3예, 그렇지 않은 군에서 3예로 통계적 의미를 둘 수 없었으며(p=0.643), 병적 골절은 전체 9예로 전자에서 7예, 후자에서 2예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3). 그 외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없었다. 결론: 거대세포종에서 동맥류성 골 낭종의 동반 유무에 따라 거대세포종의 국소 재발률은 차이가 없었으며 병적 골절의 경우 동맥류성 골 낭종이 동반된 군에서 더 높은 빈도로 발생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 in clinical features, process, and prognosi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secondary aneurysmal bone cysts (ABCs) in patients with giant cell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3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giant cell bone tumors between March 2009 and April 2013 were selected. Data on clinical features were obtained from medical records and pathological and radiological review, including age, sex, location, and size of the tumor, and Campanacci grade, as well as whether there was any pathological fracture, local recurrence, distant metastasis, or malignant transformation. The Student t-test and Fisher exact test were used for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in clinical features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Cs. Results: Local recurrence occurred in 6 of the 33 cases, 3 each were in the groups with and without ABCs;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otal, nine cases had pathological fractures, seven were in the group with ABC and two were in the group without ABC (p=0.013).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sex, location and size of the tumor, or Campanacci grade were observed between the groups with and without ABCs. Conclus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local recurrence between the groups with and without ABCs. However, pathological fracture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group with ABCs compared to the group without ABCs.

      • KCI등재

        보호서비스 제공인력의 폭력 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슈퍼비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정은(Lee, Jung Eun),박세경(Park, Se Kyung)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28 No.4

        학대·폭력에 대응하여 보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이 서비스의 제공과정에서 경험하는 폭력의 경험은 직무만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는 업무수행에도 결코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없다. 그러나 기존 논의는 대체로 특정 보호전문기관에서 근무하는 보호 영역별 폭력의 발생 여부가 제공인력의 정서 및 업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 소수의 연구가 소개된 바 있다. 보호서비스 전반에 걸쳐 학대‧폭력 대응 업무를 담당하는 제공인력 당사자의 폭력 전반의 경험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보호전문기관에서 종사하는 보호서비스 제공인력들이 서비스 대상자(학대폭력의 가해자 및 피해자 포함)와 업무 관계자로부터 언어폭력과 성희롱과 성추행 또는 협박과 위협, 그리고 모욕적 행동이나 기타 안전상 위협 등 각종 폭력을 경험할 때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슈퍼비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보호서비스 제공인력 직무 실태조사’에서 확보한 881명의 응답자료를 STATA 14.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호서비스 제공인력의 76.2%가 서비스 대상자로부터 언어폭력을 경험하였고, 59.1%는 협박·위협을 경험하는 등 폭력의 피해 경험률이 과반의 비율을 넘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호서비스 제공과정에서 클라이언트는 물론 업무관계자로부터의 폭력 경험은 제공인력의 직무만족도에 부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업무관계자로부터의 폭력 경험과 직무만족도 관계에서 슈퍼비전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클라이언트 폭력 경험과 직무만족도 관계에서는 슈퍼비전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제공인력 폭력을 예방할 수 있는 사전 예방체계와 사후 대응체계 마련, 다양한 슈퍼비전 활동의 모색과 함께 이들의 근로조건 개선을 위한 현실적 임금체계 개편방안의 마련이 가시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olence experience among protection service workforce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to empirically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upervision provision on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data were originally collected from September 14~ October 9, 2020 by surveying 881 protection service providers working at Child Protection Agencies, Protection Agencies for the Elderly, Advocacy Agenc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Counseling Center Against Family Violence nationwide. The results of the analyses utilized STATA program 14.0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76.2% of protection services workforce experienced client-related verbal violence and 59.1% of them had been threatened.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violence experience on protection service workforce’s job satisfaction and found that the higher the violence experience,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Those violence experiences related with clients as well coworkers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their job satisfaction. Additionally, this study found that the effects of supervision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iolence experience at the job environment and their job satisfactions were significant.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individual protection service workers’ tailored policies that safeguard them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 so that the can protect their potential threat or violent risk.

      • KCI등재

        학교 폭력 예방법과 소년법의 관계 분석

        권봉주 ( Bong Ju Kwon ),박세경 ( Se Kyung Park ),방소영 ( So Young Bang ),최송규 ( Song Kyu Choi ),류민영 ( Min Young Ryu ) 대한교육법학회 2014 敎育 法學 硏究 Vol.26 No.3

        본 연구는 학교폭력예방법과 소년법의 법조항의 공통점 5가지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한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예방법과 소년법의 법적용 대상은 상호보완적 관계를 가진다. 둘째, 학교폭력예방법의 예방교육의 대상이 소년법의 예방교육 대상보다 더 포괄적이므로 소년법의 예방교육대상을 보완해준다. 셋째, 학교폭력예방법상의 자치위원회 위원 중 과반수가 학부모위원임을 고려할 때, 비밀누설금지조항 에 관한 법률적 보완이 필요하다. 넷째, 소년법과 비교해 볼 때 자치위원회 및 지역위 원회 위원들의 법률적 전문성과 중립성이 객관적으로 보장되지 않으므로, 자치위원들 의 전문성 보완을 위한 법적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 다섯째, 학교폭력예방법에 따른 가해학생의 처분이 생활기록에 기재되는데 반해, 소년법에 따라 내려진 조치들은 생활기록부상에 기재되고 있지 않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명확한 법적근거를 제시할 필 요가 있다. 본 연구는 관련 있는 두 법의 법조항을 비교 분석하면서 법적 쟁점을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으나, 앞으로 실제 사례나 판례를 통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The legal provisions of the Juvenile Act and Act on the prevention of and countermeasures against violence in schools("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 central part of the five kinds of common were studied.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The law’s application Object of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 and Juvenile Act have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Second, The target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 more comprehensive than the Juvenile Act’s, so It complements juvenile Act’s prevented. Third, Considering that a majority of school violence autonomy committee members when parents, Legal supplement is needed about provision of secret leakage prohibition. Fourth, When compared with the Juvenile Act, autonomy committee and regional council’s Legal expertise and neutrality enemy is not guaranteed. So committee member ‘s complementary expertise is needed for improving the law. Finally, on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Act, offending student’s disposal is written on life record. but on the Juvenile Act, offending student’s disposal is not listed on life record. therefore in this regard, Legal basis should be clearly presented. This study, the relevant legal provisions i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methods was investigated neunde the significance of the legal issues. Forward, through real-world examples and case law, careful analysis is required.

      • 임신 중에 발생한 고중성지방혈증에 의한 췌장염 1예

        최종효,박세경,노미오,정찬희,정정화,박형규,김여주,목지오,김상진,김철희,변동원,유명희,서교일 순천향의학연구소 2008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4 No.1

        Severe hypertriglyceridemia is a rare condition in pregnancy, which can be a life-threatening complication if the degree of hypertriglyceridemia is severe enough. Most cases of severe gestational hypertriglyceridemia that have been reported previously in the literature were caused by genetic mutations or familial. hypertriglyceridemia secondary to lipoprotein lipase deficiency or apolipoprotein C-II deficiency. but reports of severe gestational hypertriglyceridemia is rare in korea. We report a case of recurrent severe hypertriglyceridemia induced pancreatitis in pregnancy. 임신 중에 중증 고중성지방혈증은 드물게 발생한다. 하지만 중증 고중성지방혈증에 의해 중증의 췌장염이 발생할 경우 산모나 태아에게 치명적인 합병증이 될 수 있다. 저자들은 임신시 재발한 고중성지방혈증에 의해 발생한 췌장염 중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