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 현장에서 교사가 체험한 배움의 의미 탐구

        박선우(Seonu Park),오채선(Chae Sun 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가 체험한 배움에는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탐색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는 자신이 경험한 배움을 심도 있게 공유할 수 있는 유치원 교사 B가 참여하였다. 연구의 수행을 위한 자료 수집은 총 22회의 심층 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면담은 참여자의 심도 있고 자유로운 생각을 이끌기 위하여 비구조적 대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고 분석하며 교사 배움 체험의 의미를 발견하고 해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첫째, B는 쓸모 있는 교사가 되기 위해서 교사로서 주어진, 사회적으로 당연하다고 여겨지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배웠다. 둘째, B는 유치원 교사로서 기존에 주어졌던 기준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을 배웠다. 셋째, B는 스스로가 원하는 자신의 모습에 도달하기 위해 배웠다. 이렇게 B가 체험한 배움의 모습 그 깊숙한 곳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의미들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B의 배움은 자신의 삶 속 사람들과 존재와 존재로서 만나고 싶어하는 욕구로부터 출발했다는 것이다. 둘째, B의 배움은 그의 삶 속에서 마주한 위기로부터 출발했다는 것이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배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배움을 바라보는 보다 유연한 시선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의 배움에 있어서 개개인의 존재적 의미를 존중해줄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Learning experienced by a kindergarten teacher. Methods Kindergarten teacher B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who was able to share their thoughts about the Learning experienced in-depth. For this research, the data was collected 22 times as an in-depth interview. The researcher did not follow guided or constructed questions to support the participant’s natural responses during the interview. The meaning of the Learning experienced by teacher B was discovered and comprehended by repeatedly reading and analysing collected data.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 B has been learned to become an eligible teacher and to perform the tasks that are considered as a norm to society. Second, B has learned a new perspective which is out of the ordinary viewpoint as a kindergarten teacher. Third, B has learned to become an ideal oneself. The following meanings are discovered in a recessed spot of learning experienced by B. First, B’s learning started with the desire to meet people at an existential level of the participant’s life. Second, B started the learning when B faced one’s crises in life, multiple unexpected situations not only as a teacher and but also as a person and has experienced obscurities and felt confusion and displeasures.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a flexible viewpoint is required to understand a teacher’s learning. Second, teacher’s learning needs to be respected as an existential mea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