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강릉부 우계면의 삼공(蔘貢) 관련 완문(完文) 연구

        박도식 ( Doh Sik Park ) 한국고문서학회 2012 古文書硏究 Vol.40 No.-

        As Wanmun is official document issue to Hyanggyo(鄕校, the confucian temple and school to teach local students in the Choseon Dynasty period), Seowon(書院, a memorial hall for confucianist services to honor distinguished scholars and statesmen), association(結社), village(村) an individual by the government office. It is characteristics of certification, prescription or disposition which ascertains whether something is true and even accept right or privilege. Wanmun was unilaterally issued in office, but usually published by the appeal or petition of a person or a group concerned. This Wanmun is a material related to Samgong(蔘貢, jinseng`s tribute) in Gangneungbu-Woogyemyun in late Choseon Dynasty. Samgong assigned at Gangwondo in early Choseon Dynasty and gathered by the Minjeong(民丁) had been offered to the Gamyeong(監營, provincial capital). But as days go by it was difficult to collect ginseng, and each Gunhyun(郡縣, regional reign) paid ginseng dealers and made them Bangnap(防納, blocking the delivery of the tribute). It was the reason why it was hard to gather ginseng, also ginseng became rare due to the extension Hwajeon(火田, fire-field agriculture) and gradually reducing the ginseng-producing area. Gangneung was the most suffering area because of surcharge of ginseng tribute. Gangneung dedicated in ginseng 55nyang(a denomination of weight), but the harvested ginseng got less and less than 20nyang. So the ginseng dealers had to buy it out of town and paid it to government. The ginseng dealers, moreover, could`` pay the tax to government with fixed ginseng price 80nyang paid by each Gunhyun bacause of the jinseng the prices. Thus although Gangneung raised them to 2,354nyang aside from paying 5,004nyang annually, they demanded moer and more every year. According to fluctuation in ginseng price and raising taxes, Gangneung received Sikrichon(殖利錢, moneymaking money) 6,100nyang which was financial aid from the national government and lent it to Minho, and got back principal with three-tenth interest. Gangneungbu especially established Bosam-gungwan(補蔘軍官) with 756members and collected 1nyang 5jeon per man. Villagers living in Ssanggye(雙溪)·Bukdong(北洞)·Ohgog(梧谷), Woogyemyun, Gangneungbu based upon Sanjeon(山田, a field in the mountains). They paid money in taxes instead of Whasok(火粟), Samgyeol(蔘結) and Wolgwahwasok-yeoncheong(月課火粟烟淸, the monthly honey tribute in fire-field agriculture). For example, Hhasok was 1jeon(錢) 2pun(分) each bok(卜), Samgyeol was 3jeon each bok. Althouch Yeongdong area in Gangneung was not essentially imposed with Wasamjeon(火蔘田), this must pay it bacause ginseng was produced in Naemyun(內面), Gangneung. After losing Hwajeonse(火田稅) and ginseng picker, Gangneung collected the ginseng taxes from Mingyeol of Yeongdong. Most local residents, who ground under the heavy burden of ginseng tax which was imposed on Hwajeon in Woogyemyun, even had become bankrupt owing to the years famine. Villages finally faced pulling apart. Aroung then, to solve the problem of jinseng tax, Go Jin-Chang and Lee Tae-Won with other 14members organized the Geumokgye(金玉契) and paied ginseng taxes instead of them.

      • KCI등재

        조선전기 守令制의 실태와 심언광의 守令觀

        박도식(Park, Doh-Si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0

        흔히 “옛날의 諸侯” 혹은 “一邑의 君主”라고 칭해졌던 수령은 중앙의 관인과 달리 일읍의 사무를 專制하였다. 따라서 “민인의 休戚은 전적으로 수령의 賢否에 달려있다”고 누누이 지적되고 있었다. 이처럼 민인의 생활이 수령의 자질?능력과 직결되어 있었기 때문에 조선왕조 국초부터 국왕들은 수령의 선임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던 것이다. 조선초기에는 문과출신이 지방의 수령으로 나가게 되면 벼슬이 깎이어 귀양 간다고 하여 이를 회피하는 것이 상례였으나, 16세기에 들어와서는 淸望이 있는 名流들도 수령이 되는 것을 다행으로 여기는 실정이었다. 여기에다 門蔭 출신의 수령도 양적으로 많이 채워졌다. 수령 가운데 자신의 능력에 의해서 관직에 진출하였거나 승진이 가능한 문반관료들에게는 별문제가 없었겠지만, 고위관직자의 추천이나 연줄에 의해 관직에 진출한 문음 혹은 무반 출신의 수령이 褒貶에서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서는 포폄을 담당한 관찰사에게 직접 청탁을 하든지, 아니면 관찰사에게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권세가에게 청탁을 해야만 하였다. 따라서 이들 수령은 자신을 후원해 주는 관리에게 정기적으로 물품을 바쳤던 것이다. 수령의 私贈이 증가하는 원인은 수조권적 지배를 통한 수입의 중요한 몫을 차지하였던 과전ㆍ직전법의 폐지와 부마?왕자를 비롯하여 부상대고ㆍ이서층에 이르기까지 혼인ㆍ喪葬ㆍ저택ㆍ복식ㆍ음식 등에서의 사치풍조의 만연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당시 중앙의 고위관직자들은 혼인ㆍ상례ㆍ제례 등의 대소사에 필요한 물품을 각도의 관찰사 혹은 각 군현의 수령에게 요구하는 것이 거의 관례화되어 있었다. 그들이 관찰사에게 각종 물력을 求請하면, 관찰사는 이를 다시 수령에게 구청하였다. 수령은 이를 예사로 여겨 숫자대로 갖추어 보내 주는 것이 법례인 것처럼 되었다고 하였다. 구청한 물품은 貢物, 進上, 환자[還上]를 수납하는 과정에서 충당하였다. 심언광은 백성을 괴롭히는 수령으로 세 부류가 있다고 하였다. 즉 마음가짐은 깨끗한 듯하나 才器가 용렬하여 위엄이 胥吏에게 미치지 않아서 폐단이 더욱 큰 자, 재능은 조금 있으나 기세를 믿고 위엄을 지어 가혹하게 徵索하여 한없는 욕심을 채우고 창고의 저장이 텅 비게 하는 자, 여러 가지로 침탈하되 자기가 쓰지 않고 權貴에게 후히 뇌물을 주어서 명예를 낚으면서 스스로 깨끗하다고 하는 자가 있는데, 백성을 괴롭히는 것은 마찬가지라 하였다. 심언광은 貪風이 성한 오늘날에 한두 사람에게 벌을 준다고 하더라도 풍속을 바로잡을 수 없기 때문에 오직 염치를 배양하는 것만이 이러한 폐단을 개혁할 수 있다고 하였다. Local Governors commonly was called “Feudal lords of old” or “King of the Gunhyun(county and prefecture, 郡縣)” decided ministrative affairs in Gunhyun by themselves, unlike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This is why so many people pointed out that “the people"s comfort and pain depends entirely on the Local Governors’ wisdom or folly.” As they had recognized people"s lives were directly connected to the qualities and abilities of Local Governors, from the very beginning of Chosun Dynasty, the kings had a special interest in the selection of Local Governors. In early Chosun Dynasty, Munkwa Examination Graduates(文科出身) had evaded to transfer to the provinces, but in the 16th century even the people with high reputation in the country were grateful for being appointed Local Governors. Also, the number of Local Governors from Muneum(the Appointment by the Lineage and Birth, 門蔭) significantly increased. Among the Local Governors, those who entered government service by their own ability or by passing Munkwa Examination could be promoted with ease. However the Muneum, who entered government service through a high-ranking official"s recommendation, or Military Examination Graduates(무과출신) had to requested a special consideration from Gwanchalsa(Provincial Governor, 觀察使) in charge of the evaluation or the powerful people with absolute influences on the evaluation so that they could attain good grades. So, these Local Governors needed to regularly offer goods to the officials who supported them. The reasons of the increase in the private gifts of Local Governor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abolition of Gwajeonbup(Rank Land Law, 科田法)?Chikjeonbup (Office Land Law, 職田法) and a tendency toward extravagance that prevailed in the upper class. At that time, the high-ranking officials in the government habitually demanded from the Gwanchalsa or Local Governors in each Gunhyun almost all the goods for big or small events including wedding ceremonies, funerals, and ancestral rituals. When they had been demanded all of these bribes, Gwanchalsa demanded the goods and labor again from Local Governors. Local Governors took their demand for granted and made it a rule to send them all of the goods as many as they were demanded. Local Governors secured these goods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Gongmul(the tribute, 貢物), Jinsang(presenting the local tributes to the king, 進上), Hwangok(the grain loan, 還穀). Shim Eon-Gwang classified the Local Governors harassing the people into three types those whose mind seemed to be pure but not smart nor dignified enough compared to Seori(petty clerks, 胥吏), whose negative effects on the people were much bigger than the positive effects, those who were brilliant enough but hard on the people without any humility and dignity and emptied the grain storehouse satisfying their greed, and those who exploited the people and bribed the men of influence with the extorted material to gain honor. He thought that all of the types Local Governers were the same in tormenting the people. Shim Eon-Gwang added that the only way to prevent these corruptions was to cultivate decency, for even punishing one or two greedy governors could not correct the customs.

      • 엄흥도의 행적과 후대의 추숭(追崇)

        朴道植 ( Park¸ Doh-sik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20 강원문화연구 Vol.41 No.-

        1452년 5월 단종은 12세의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랐으나, 수양대군이 1455년(단종 3) 윤6월에 단종의 양위를 이끌어내면서 마침내 보위(寶位)에 올랐다. 박팽년·성삼문 등은 이듬해 6월에 창덕궁에서 상왕이 명나라 사신을 위한 연회를 베푸는 자리를 이용해 세조 부자를 살해하고 단종을 복위시킬 계획을 세웠으나, 김질의 밀고로 실패하였다. 세조 측근인 정인지·신숙주 등은 단종도 그 모의에 참석했다는 말을 꾸며대어 그날로 단종을 노산군으로 강등해 영월로 유배를 보냈다. 『세조실록』에는 그해 10월에 금성대군을 사사하고 송현수를 교형에 처하자, 단종이 이를 듣고 목매어 자살했다고 하였다. 이 같은 서술에 대해 이자(李耔)는 실록에 사실이 왜곡되어 있다고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단종이 스스로 목매어서 죽으니 예로써 장사지냈다고 하였지만, 당시 세조를 비롯한 집권세력에게 노산군은 상왕이 아니라 역적의 괴수(魁首)였기 때문에 그의 시신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았으리라고 본다. 후대의 기록을 살펴보면, 아무도 선뜻 나서지 못했는데 엄흥도가 단종의 시신을 수습하여 장사지냈다고 하였다. 엄흥도는 단종의 장례를 지낸 후에 그의 장자 호현(好賢)과 함께 단종의 어포(御袍) 한 벌을 가지고 공주 동학사에 가서 김시습 등과 함께 단종의 제단을 설치하고 제사를 지낸 후 피신했다고 한다. 국가에서는 엄흥도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현종 때는 그의 자손을 찾아 등용하였고, 숙종 때는 공조참의에 추증하였으며, 순조 때는 공조판서에 추증하였다. 또한 영조 때는 사육신과 함께 영월의 창절사(彰節祠)에 배향하였으며, 정조 때는 단종에게 충절을 지킨 호장 엄흥도를 장릉에 있는 배식단의 정단(正壇)에 배향하였다. 배식단에 배향된다는 것은 단종의 충신으로서 국가의 인정 하에 영원히 향사를 받을 수 있는 매우 영광스러운 일이었다. 그러나 엄흥도에 대한 추숭과 함께 그의 후손들을 등용하고 군역과 세금을 면제해 주자, 문중 간에는 국가적 혜택을 받기 위해 사적을 조작하기도 하였다. In May 1452, King Danjong was crowned at the young age of 12, but Grand Prince Suyang(首陽大君) finally came to the throne by inheriting the position of King Danjong in June 1455(3rd year of King Danjong’s reign). In June of the following year, Park Paeng-nyeon(朴彭年), Seong Sam-moon(成三問) and others tried to kill King Sejo and his son by using the place where the Abdicated King(上王) invited Ming dynasty’s envoys to give a feast in Changdeok Palace(창덕궁), and tried to rebuild the decommissioned King, but Kim-Jil(金礩) secretly gave a message and failed. Jeong In-ji(鄭麟趾) and Shin Sook-ju(申叔舟) who are close to the King Sejo made a statement that King Danjong also attended the mockery, and demoted King Danjong to Prince Nosan(魯山君) on that day and exiled to Yeongwol region. In October of that year, in the Annals of King Sejo, King Sejo gave poison to Grand Prince Geumseong(錦城大君) cut his own life and hanged Song Hyun-soo(宋玹壽). King Danjong heard this and hanged himself. But Yi-Ja(李耔) bitterly criticized that the facts were distorte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lthough King Danjong hanged himself, they said that buried then due courtsy, but would not have handled his dead body properly because Prince Nosan(노산군) was not the Abdicated King(上王), but the head of the enemy to the ruling powers including the King Sejo. According to later records, no one was able to take King Danjong’s dead body, but Eom Heung-do(嚴興道) took it and held a funeral. After the funeral, Eom Heung-do went to Donghaksa Temple in Gongju(공주 동학사) with a pair of clothes of King Danjong with his firstborn son, Ho-hyun(好賢), and set up an altar of King Danjong with Kim Si-seup(金時習). In order to honor the loyalty of Eom Heung-do, the state searched his descendants and appointed to government position during King Hyeonjong’s reign, he was postulated deputy minister in the Board of Works(공조참의) during King Sukjong’s reign, and then later during King Sunjo’s reign, he was postulated minister in the Board of Works(공조판서). In addition, during King Yeongjo’s reign, he had enshrined to Changjeolsa(彰節祠) in Yeongwol with Sayukshin(死六臣, Six Martyred Ministers), and during King Jeongjo’s reign, he had enshrined in the Baesikdan Altar(配食壇) of Jangneung(莊陵, the tomb of King Danjong). However, when he was worshipped and his descendants exempted from military service and taxes, Among relatives, they had manipulated their achievements to receive national benefit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어촌 심언광의 북방 경험과 국방 개선안

        박도식(Park Doh-Sik) 한일관계사학회 2014 한일관계사연구 Vol.48 No.-

        조선의 서쪽에 있는 평안도는 서북쪽으로 압록강 건너 울창한 산림을 경계로 여진과 맞닿아 있었다. 평안도의 지리적 상황이 이러했으므로 압록강 건너의 여진은 태종 이후 주로 평안도의 江界등 이른바 7읍으로 침입해 왔다. 평안도 군사들은 거의 대부분 변경에서 방수했기 때문에 쉴 수 있는 날이 거의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 놓여 있던 평안도 군사의 고통을 더욱 가중시킨 것은 赴京使臣들을 迎送하는데 따른 폐단이었다. 이에 평안도 백성들은 군역을 피하기 위해 압록강 너머의 중국으로 도망가기도 하였고, 奴婢가 되거나 승려가 되기도 하였으며, 말단 관속인 衙前등 신분의 우열을 가릴 것 없이 좀더 편한 처지를 택하여 옮겨갔다. 어촌은 도첩으로 승려를 금하는 것은 말단적인 방법이므로 王政과 禮敎를 잘 시행하여 교화가 천하에 가득하면 불교는 절로 없어질 것이라고 하였고, 평안도 감영의 아전들은 도망하여 없어진 戶의 군역과 旅外正兵을 나누어 충당할 것을 건의하였다. 평안도 백성들은 군역 이외에도 貢物?進上物등의 조달과 노역이 심히 과중하였다. 어촌은 백성이 한 가지 공물이라도 바치지 못하면 뼈골까지 우려낸다고 하였고, 노역이 무거워 한 사람이 도망가면 그 피해가 한 가족에 미치고 한 가족이 도망가면 또 한 가족의 친족에까지 미치기 때문에 백성들이 대부분 도망쳐 흩어졌다고 하였다. 당초 국가에서는 군사에게 諸부담을 담당할 수 있도록 保人을 배당하고 있었다. 그러나 국가의 토목?수리 공사의 일이 빈번해지는 가운데 보법실시 후 군액이 크게 늘어나 별도로 요역담당자를 찾기가 어렵게 되자 군사를 바로 요역에 동원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에 정병은 복무기간 중에도 일정한 代價를 납부하고 귀가하여 부족한 노동력을 보충하고자 하였는데, 이것이 ‘代立’이었다. 중종대에는 군역의 代立이 일반화되고 있었다. 어촌은 중종 31년(1536)평안도경변사로 파견되었다가 돌아와 중종을 인견하며 그가 목도한 평안도의 군사문제에 대해 개선할 것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鄭保의 단종복위운동 연루와 伸寃ㆍ追尊 연구

        박도식(朴道植)(Park Doh-Sik) 포은학회 2012 포은학연구 Vol.10 No.-

        When the restoration movement for King Danjong was taking place, JeongBo(鄭保) pleaded for Six honorable vassals(死六臣)'s innocence. He was sentenced to firmly tied to break on the wheel(轘刑) for an offense of disorderly talk(亂言罪). But the death sentence was reduced to imprisonment when the King learned that he was Jeong Mong-ju's grandson. He was exiled to YeoungIl(영일) and was moved to MunTae-Chon(문태촌) at DanSeong(단성). The persons involved with the restoration movement for King Danjong was carried out by 17th year of King Sukjong in 1691. King Sukjong himself lead the reinstatement based on King Sejo' order in which King Sejo said "they are contemporarily traitors but must be loyal subjects in the future." With the exoneration of Six honorable vassals, King Danjong was also reinstated. The restoration movement for King Danjong of them were involved with accelerated. Yi-You(李濡) expressed his viewpoint that some people like JeongBo should be reinstated, introducing JeongBo's historical deeds. King Sukjong gave JeongBo a higher officiary title Yijochamui(吏曹參議) than when he was alive. King Yeongjo(英祖) followed suit. He also kept working at it and tried to take relevant measures. In 1736, a confucian named Park Jae-Hyun in Youngwol explained the historical deeds of Kim Shi-Seub(金時習), Nam Hyo-On(南孝溫), Weon Ho(元昊), Gweon Jeol(權節), Jo Ryeo(趙旅), Yi Maeng-Jeon(李孟專), JeongBo, Seong Dam-Su(成聃壽) and asked that the King should offer special support. King Yeongjo said that he would take appropriate measures after he confirm. But it was not realized. The category of '8 wise figures(8賢)' was formed in King Yeongjo. Youngwol citizens built 8 wise figures shrine(8賢祠) on the right side of Changjeol-sa(彰節祠) and offered them a sacrificial rite. Following that, King Jeongjo put the deeds of King Danjong and other historical figures together by compiling Jang'reung Sabo(History of the King buried in Jang'reung, 莊陵史補). King Jeongjo wanted to wrap up the arguments by dividing them into three phases. King Jeongjo referred to JeongBo who was almost to be executed after he defended actively for Six honorable vassals as the Loyal Vassals of JeongEui(靖義諸臣). King Sunjo(순조) sat on the throne at the age of 11. The political circle awoked the deeds of King Danjong and the Loyal Vassals(제신). Rewards were offered to them. But, there was no additional Honoring(褒獎). According to Nam Jeong-Chel's request, JeongBo was granted the Jung second Grade(정2품) Jahundaebu(資憲大夫) Naebudaesin(內部大臣), but posthumous epithet was not offered to him. 鄭保는 세조 2년(1456) 6월에 단종복위운동이 일어났을 때, 死六臣의 무죄를 주장했다가 亂言罪로 연루되어 車裂刑에 처해졌으나 형 집행 직전에 정몽주의 손자라는 사실이 알려져 감형되어 영일로 유배되었다가 후에 丹城의 文泰村에 移配되었다. 단종복위운동에 연루된 자들에 대한 신원 조처는 숙종 17년(1691)에 국왕의 주도로 전격 단행되었다. 숙종은 사육신의 신원을 직접 주도하면서 세조의 비망기를 내세웠는데, 그 내용은 세조가 이들을 "당대에는 난신이나 후세에는 충신"이라고 평하였다는 것이다. 사육신의 복권과 함께 숙종 24년(1698) 11월에는 端宗도 복권되었다. 사육신 복권과 단종 복위를 계기로 단종복위운동의 관련자에 대한 복권도 가속화되었다. 숙종 25년(1699) 4월에 李濡는 鄭保의 행적에 대해 소개하면서 단종이 복위된 만큼 사육신 외에 정보와 같은 인물들도 복권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하자, 숙종은 정보를 복권하고 이조참의에 추증한다. 숙종에 이어 영조 역시 단종복위운동 관련자 사적의 정비와 인물 顯彰에 대한 조처를 계속해서 확대 발전시켜 나갔다. 그러나 영조대에는 '단종제신'에 대한 포장이 활발하게 논의되던 숙종대와 달리 개별적 포장 요청과 수락이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영조대에는 생육신과 별도로 '八賢'이라는 범주가 형성되었다. 8현의 범주가 형성되면서 영조 8년(1732)에 영월 인사들은 창절사 오른편에 八賢祠를 건립하여 이들을 제향하였다. 영조 12년(1736)에 영월의 유생 朴賢齊 등은 팔현의 신위를 모신 八賢祠에 사액해 줄 것을 청하였으나 실현되지 않았다. 이어 정조는 『莊陵史補』를 편찬하여 단종 및 제신의 사적을 종합 정리하였다. 여기서 정조는 제신의 사적을 세 가지로 분류하여 정리함으로써 그와 관련된 제반 논의를 마무리하고자 하였다. 정조는 사육신을 적극 변호했다가 죽임을 당할 뻔했던 鄭保 등을 '靖義諸臣'이라 칭하였다. 정조를 이어 순조가 11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하면서 정계는 단종과 諸臣의 사적을 다시 환기하였고, 이로 인해 제신에 대한 추가적인 포장이 이루어 졌다. 그러나 정보의 추가적인 추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후 고종 42년(1905) 남정철의 요청에 따라 고종은 정보에게 정2품 資憲大夫 內部大臣을 추증하였으나 시호는 끝내 내리지 않았다.

      • 세조의 오대산 상원사 거둥과 만과봉

        朴道植 ( Park Doh-sik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22 강원문화연구 Vol.45 No.-

        세조가 상원사와 인연을 맺게 되는 것은 상원사가 명산에 위치한 지덕(地德)이 좋은 명찰로 이름나 있었던 점이 크게 작용하였다. 1464년(세조 10)4월에 세조가 병환이 10일 동안 계속되자 정희왕후는 내관을 파견해 속리산 복천사에 주석하고 있던 신미(信眉)와 그의 제자 학열을 청해와서 세조의 원찰(願刹) 조성을 의논했다. 이때 신미의 요청에 의해서 상원사의 중창이 결정되기에 이른다. 상원사는 1465년(세조 11) 3월에 착공하여 이듬해에 완공되었다. 세조는 정희왕후와 세자, 종친, 대신들과 함께 상원사 낙성식에 참석하였다. 낙성식을 마친 세조는 이날 행궁으로 돌아와 신숙주·한계희주·노사신 등에게 문과 시험장에 나아가서 오대산별시에 참관하게 하였다. 지역에 전하는 말에 의하면, 이때 오대산별시에 1만 명이 모여서 시험을 치렀다고 해서 그 과거장을 ‘만과봉’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오대산별시에서는 문과에 진지(陳祉) 등 18인을 선발하였고, 무과에 이길선(李吉善) 등 37인을 선발하였다. 오대산별시는 이 지역의 민심을 수습하고 북돋기 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사실은 『세조실록』에 실려 있는 당시의 시제(試題)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과거의 시제는 강원도에 와 보니 땅은 넓은 데 인구는 드물다. 어떻게 해야 부유하고 인구가 늘어나게 할 수 있고, 어떻게 해야 군수(軍需)를 넉넉히 쌓을 수 있을까였다. 시제를 보면 강원도에 국한된 것인 동시에 강원도 출신의 인재들로 하여금 강원도의 문제를 풀게 하도록 배려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때의 별시는 한양으로 진출하기 어려운 강원도 양반들에 대한 배려와 위무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라 이해할 수 있다. 세조는 1466년(세조 12) 3월 16일부터 다음 달 윤3월 24일까지 한 달 넘게 고성 금강산을 거쳐 상원사 낙성식에 참석하고 환궁하였다. 그가 오대산에 머문 기간은 윤3월 16일부터 18일까지 2박 3일에 불과하였지만, 그는 이곳에 많은 설화와 자취를 남겼다. 그가 남긴 자취는 행궁이 차려진 성오평과 그 동쪽 언덕에 위치한 만과봉이 대표적이다. 세조의 상원사 거둥은 오대산의 위상과 지위를 높였고, 오대산이 역사박물관이 될 수 있게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큰 만과봉과 작은 만과봉은 현재 개인 소유의 사유지인지라 큰 만과봉은 개발로 인해 몇 해 전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작은 만과봉만 남아 있을 뿐이다. 이 또한 언제 사라질지 모를 운명에 처해 있다. King Sejo's relationship with Sangwonsa Temple was largely due to the fact that Sangwonsa Temple was located on a famous mountain. In April 1464(10th year of King Sejo's reign), when King Sejo's illness continued for 10 days, Queen Jeonghee(貞熹王后) dispatched an euuch to invite Sinmi(信眉) and his disciple Hakyeol(學悅), who were staying at Bokcheonsa Temple in Mt.Songni, to discuss the creation of the memorial temple(願刹) for King Sejo. At this time, at Sinmi's request, it was decided to reconstruct Sangwonsa Temple. Sangwonsa Temple started construction in March 1465(11th year of King Sejo's reign) and was completed the following year. King Sejo attended the inauguration ceremony of Sangwonsa Temple along with Queen Jeonghee, crown prince(世子), royal relative(宗親), and Ministers(大臣). After the inauguration ceremony, King Sejo returned to the Temporary Palace(行宮) and had Sin Suk-ju (신숙주), Han Gye-hee(한계희), and Noh Sa-sin(노사신) go to the examination site and observed the Odaesan-byeolsi(五臺山別試, the Special Examination at Mt. Odae). According to local legend, 10,000 people gathered at Odaesan-byeolsi to take the examination, so the place was called Mangwa-bong(萬科峰). In Odaesan-byeolsi, 18 people including Jinji(陳祉) were selected i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文科), and 37 people including Lee Gil-sun(李吉善) were selected in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武科). Odaesan-byeolsi was to rectify and encourage the people of this region. This fac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exam questions at the time contained in the annals of King Sejo(世祖實錄). As for the exam questions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when I came to Gangwon Province, the land was wide but the population was sparse. It was about how to become wealthy and increase the population, and how to accumulate munitions. Examination questions are limited to Gangwon Province, and at the same time, consideration is given to allowing talented people from Gangwon Province to solve problems in Gangwon Province. Therefore, the Byeolsi at this time is understood to be made in consideration and comfort of the nobilities of Gangwon Province, which is difficult to advance to Hanyang. King Sejo passed through Mt. Geumgang in Goseong for over a month from March 16 in 1466(12th year of King Sejo's reign) to the next month 24, to attend the inauguration ceremony of Sangwonsa Temple and return to his palace. Although he stayed in Mt. Odae for only two nights and three days, he left many legends and traces here. The representative traces left by King Sejo are Seongo-pyeong where the temporary palace was built, and Mangwa-bong located on the hill to the east. King Sejo's trip to Sangwonsa Temple raised the status and position of Mt. Odae, and enabled Mt. Odae to become a history museum. However, the Big Mangwa-bong and the Small Mangwa-bong are now privately owned, so the Big Mangwa-bong disappeared into history a few years ago due to development, and only the Small Mangwa-bong remains. This is also destined to disappear wh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