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여자의 생체 부분 간이식 후 3D Volumetry를 활용한 잔존 간 재생 분석연구

        박경석(Kyeong Seok Park),김명성(Myeong Seong Kim),정종성(Jong Seong Jeong),김명구(Myeong Goo Kim)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3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5 No.1

        목적 : 간이식 수술 후 공여자의 평균 간 재생과 연령, 성별, 공여율, 용적양 등 변수별에 따른 간 재생 측정을 CT 3D volumetry로 시행하여 분석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간이식 수술 전, 후 Mx View V3.52(Philips Medical System, Netherland)를 사용하여 3D volumetry를 시행한 공여자 3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평균 간 재생 측정과 변수별 간 재생 측정으로 분석하였으며, 평균 간 재생측정으로는 간이식 수술 후 7일, 1개월, 16개월 간격으로 시행한 CT 검사를 3D volumetry하여 평균 간 용적증가량과 재생률을 측정하였다. 또한 변수별 간 재생 측정으로는 연령, 성별, 공여율, 용적양등으로 나누어 간 용적증가량과 재생율을 분석하였다. 사용된 통계분석은 SPSS version 18.0(SPSS INC., Chicago, IL, USA)의 Two-way AN OVA test를 사용하였다.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과 : 평균 간 재생 측정결과로는 평균 간 용적증가량이 수술 후 7일 751.72, 1개월 938.63, 16개월 1217.85로 용적양이 증가되었고, 평균 88.53%의 재생률로 측정되었다. 변수별 간 재생 측정결과로는 연령별 비교 시 10대와 20대가 약 90%의 재생률로 측정되었고, 30대는 87.48%와 40-50대는 80.47%로 낮은 재생률로 측정되었다. 성별 간 재생 측정결과는 수술 후 1개월에서 여자가 74.13%, 남자가 66.88%, 16개월에서는 여자가 89.94%, 남자가 88.02%로 여자가 남자보다 재생률이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공여율별 간 재생 측정결과는 61%이상 공여가 739.92, 61%이하 공여가 627.98의 용적증가량이 측정되었고, 61%이상 공여가 91.64%, 61%이하 공여가 85.43%의 재생률로 61%이상 공여가 용적증가량과 재생률이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용적별 간 재생 측정결과는 1383.23이상이 796.05, 1383.23이하가 585.86의 용적증가량이 측정 되었다. 그러나 재생률 측정결과는 1383.23이하가 89.77%, 1383.23이상이 87.12%로 1383.23이하 용적을 가진 사람의 재생률이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서 직접 관찰 방식인 3D volumetry는 평균 간 재생측정과 변수별에 따른 차이를 증명하였고, 우수한 측정방법으로써 임상에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evaluates using of 3D volumetry which it was measured in donor’s average liver regeneration and factors measurement after liver transplantation. Material and Methods : The subject analysed for total of 30 donors to using Mx view V3.52(Philips Medical System, Netherland) after liver transplantation. The analysis method measured to average liver regeneration and factors. The average liver regeneration measured for liver volume amount and regeneration rate after the liver transplantation 7days, 1month and 16months by term. Also the factors measured in liver volume amount and regeneration rate by age, sex, giving rate, volume amount. Result : The average liver regeneration result was measured in 7days value 751.72, 1month value 938.63 and 16months value 1217.85. Also the regeneration rate was measured in 88.47%. The age factors regeneration rate of group 10-20, 30, and 40-50 were measured in 90%, 87.48% and 80.47%. The sex factors regeneration rate of group male and female were measured in 1m onth female value 74.13%, male value 66.88% and 16months female value 89.94%, male value 88.02%. This result value of female was highly measured more than male value. The giving rate factors regeneration volume amount and rate of group more than 61% and less than 61% were measured in 739.92 and 627.98. Also the regeneration rate was measured in 91.64% and 85.43%. So this result was highly measured in the more than 61%. The volume amount factors regeneration volume amount and rate of group more than 1383.23 and less than 1383.23 were measured in 796.05 and 585.86. But the less than 1383.23 regeneration rate was highly measured in 89.77%. Conclusions : The average liver regeneration rate was measured in 88.53% by using of 3D volumetry. And the measurement of factors was differently measured in liver volume amount and regeneration rate by age, sex, giving rate, volume amount. Therefore using of the 3D volumetry is good analysis method. Also it is very usefulness in measurement of the liver regeneration rate.

      • KCI등재후보

        『화주림(火珠林)』 육친법(六親法)의 정립과정

        박경석 ( Park Kyeong-seok ),최정준 ( Choi Jeong-ju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8 韓國思想과 文化 Vol.93 No.-

        『화주림』 육친법 정립과정과 역학적 의미를 상수역학에 속하는 육효괘의 분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큰 틀에서 두 가지 관점에서 요약해볼 수 있다. 하나는 오행생극론과 관련하여 주체와 기준의 변화다. 먼저 『경씨역전(京氏易傳)』에서 모든 효를 계효(繫爻)·제효(制爻)·의 효(義爻)·보효(寶爻)·전효(專爻)라는 5가지 부류로 본 것은 『회남자』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지만 오행생극의 주체와 기준이 변화하였다. 『회남자『에서는 간지를 기반으로 한 오행생극관계로 택일의 관점에서 정의하였다. 『경씨역전』에서의 중요한 변화는 괘효를 기반으로 한 오행생극관계를 구상해 육효의 관점에서 5가지로 개념화하였다는 점이다. 오행생극의 주체는 괘효이며 주인격인 중심기준은 괘[팔순괘]가 되었으니, 기존의 『주역』의 서괘(序卦)질서를 해체해 새로운 팔순괘로 세워 오행생극의 중심기준으로 삼은 것이다. 『화주림』에 와서 오행생극의 중심기준인 괘[팔순괘]를 ‘나’라고 인식하고 ‘아(我)’라고 표현 하면서 개인으로서의 보편의식이 드러난다. ‘아’를 육친 정의의 중심기준에 두면서 분명한 개인의식을 드러냈는데 육효점의 대중화와 보편화를 의미한다. 둘은 육친의 개념과 구성요소의 명칭변화다. 『경씨역전』의 원문에서는 천지〔부모〕·복덕·동기·재〔보패(寶貝)·귀(鬼)라는 명칭으로 불렀다. 육적의 주석에서부터 부모·형제·자손·재(財)·(관)귀[(官)鬼]란 명칭으로 변화하였고, 『화주림』에서 달라진 점은 5가지 생극관계를 육친이라고 명시하여 총괄했으며, ‘재(財)’에 ‘처(妻)’가 결합해서 ‘처재’라고 불린 것이다. 『화주림』에서는 비친족관계 요소인 재에 친족관계개념인 처를 결합하여 ‘처재’라고 불렀다. 이후 육친은 다양한 사물에 대한 분류와 포괄을 가능케 하는 범주로 자리잡아갔다. We examined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the Law of YukChin(六親) and its meaning in 『Hwajurim(火珠林)』 based on the YukHyo(六爻). It can be summarized from two perspectives in the big frame. First, it is 'the change of the subject and the standard' in relation to the Saeng-Gyeuk(生克) of O-Haeng(五行). Second, it is ‘the change of the concept and name of the component.’ YukChin(六親) was first seen in Noja(老子). In the original text of KyungSsi- Yeok-Jeon(京氏易傳) Parents(父母), Good luck and Virtue(福德), Dong-Gi(同氣), Property(財), Gui(鬼) were used. And it changed to Parents(父母), brother(兄弟), Offspring(子孫), Property(財), Goan-Gui(官鬼) in the explanatory notes of the Yuk-Jeok(陸績) The difference in Hwajurim(火珠林) is that the Saeng-Gyeuk(生克) of O-Haeng(五行) relationship is defined as YukChin(六親) and Property(財) and Wife(妻) were combined together and became Chejae(妻財). YukChin(六親) has become a category that allows classification and inclusion of various objects.

      • 간 이식 Volumetry에서 3D CT Left Volumetry 시 불분명한 경계면의 오차와 3D CT Right Volumetry의 유용성

        박경석(Kyeong Seok Park),김명성(Myeong Seong Kim),정종성(Jong Seong Jeong),김명구(Myeong Gu Kim)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2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4 No.2

        기존 측정해오던 간접 측정방식 3D Right Volumetry를 대체하여, Liver Graft weight(Right) 에 가까운 결과치를 얻을 수 있는 직접 측정한 3D Right Volumetry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한 해 동안 본원을 방문한 공여자 남녀 31(남자 24명, 여자 24명, 평균연령 32.8세)을 대상으로 Hepato Biliary CTA검사를 한 Brilliance 64(Philips, Netherland)장비와 본원 장기이식센터에서 신뢰하고 있는 Mx View V3.52 (Philips, Netherland)를 사용하여 3단계의 분석을 거쳐 불분명한 경계선 변인의 오차값과 3D CT Right Volumetry의 간접측정 방식과 직접측정을 분석하여 비교하였으며, 측정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통계 프로그램인 PASW Statistic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불분명한 경계면측정과 직접 측정한 3D Right Volumetry의 유용성의 연구를 3단계로 타나내어 결과를 나타냈으며, 다음과 같다. 1. 3D CT Right Volumetry의 정확성 판단에서는 3D CT Tight Volumetry(Indirectness)가 불분명한 경계면으로 인해 불규칙적인 측정의 오차가 많이 나타나고, 3D CT Right Volumetry(Direct)는 Liver Graft Weight(Right)에 가까운 측정값을 나타냈다. 또한 p-value가 .000과 .001<a=005이므로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2. 3D CT Left Volumetry(Direct, Indirectness)의 불분명한 경계면의 진위여부 판단은 3D CT Left Volumetry(Indirectness, Direct)가 오차값이 최소값 45.57, 최대값 47.73의 차이가 났으며, 규칙적으로 측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3D CT Left Volumetry에서 불분명한 경계면 오차가 많이 증가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3D CT Left Volumetry를 직ㆍ간접측정 모두 불분명한 경계면이 0.75-134.53과 0-124.83 나왔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되지 못하고 있다. 3. 불분명한 경계면의 측정값과 Image 수 비교 및 3D CT Right Volumetry(Direct)의 유용성 판단에서는 3D CT Left Volumetry(Direct)가 Maxmum이 124.83이었고, 3D CT Right Volumetry(Direct)가 10.16으로 그 차이는 114.67로 3D CT Left Volumetry(Direct)의 불분명한 경계면이 월등히 높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불분명한 경계면으로 나타난 장기순별로는 Heart>Stomach>GB>Pancreas>Falciform Ligament>Bowel순으로 나타났다. Image별로 나누었을 때는 3D CT Right Volumetry(Direct)가 73개 영상, 3D CT Left Volumetry(Direct)가 295개의 영상의 수로 나타났으며, 비율은 약 1:4로의 3D CT Left Volumetry(Direct)의 불분명한 경계면의 수가 많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3D CT Right Volumetry(Direct)가 유용성이 있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결론 간이식 수술전 영상의학 검사 중 3D CT Volumetry는 이식하는 우엽간 용적을 측정하는 가장 중요한 검사이다. 그래서 3D CT Volumetry 측정 방법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3D CT Right Volumetry(Direct) 방식이 3D CT Left Volumetry(Direct)보다 더 유용하다는 것을 분석하였다. I. Purpose 3D Right Volumetry was measured into the indirect measurement methods. Until used, This study have replaced the 3D Right Volumetry of indirect measurement, an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Direct 3D CT Right Volumetry take a familiar value search out of the liver Graft Weight(Right). Also we are tring to Indefinite boundaries level’s error data measurement in 3D Left Volumetry. II. Meterial and Methods The subjects was total 31 donors patients (24 men, 7 women, average age 32.8 years) who visited our hospital and the patients scanned Hepato Biliary CTA using the Brilliance 64 (Philips, Netherland) equipment for the year 2011. Also the transplant renter of our hospital has every confidence in Mx View V3.52(Philips, Netherland). And we analyzed with three stages using it. This measured the Indefinite boundaries level’s error. And we compared with Indirectness and direct method in 3D CT Right Volumetry. III. Result The result were analysed to three stages. And the three stages analysis showed Indefinite boundaries level’s error and usefulness of 3D Right Volumetry(Direct). 1. Tue accuracy decision of 3D CT CRV (Direct) 3D CLV (Indirectness) appeared indefinite boundaries level’s error due to the irregular measurement. On the other hand, 3D CT CRV(Direct) represented take a familiar value search out of the liver Graft Weight. P-value .000 and .001 < a =0.05 2. The authenticity decision of indefinite boundaries level’s error 3D CLV Indirectness and Direct was minimum value 45.57, maximum value 47.73 The value was irregular measurement. Also indefinite boundaries level in 3D CT CLV shows that the error is increased. And 3D CLV Indirectness and Direct was compared with 0.75-134.53 and 0-124.83. This value was irregular measurement in Indefinite boundaries level. 3. Indefinite boundaries level measurement and Image number, usefulness of 3D Right Volumetry(Direct) 3D CLV(Direct) measured maximum value 124.83. But 3D CRV(Direct) measured maximum value 10.16. The difference was measured by 114.67 value. Consequently Indefinite boundaries Level of 3D CLV(Direct) was much higher than the 3D CRV(Direct). Also the result of image number appered 73 images in right lobe and 295 images in left lobe. The ratio was 1:4. So left lobe has a lot of Indefinite boundaries Level’s images. The organ order of left lobe apeared in Heart, Stomach, GB, Pancreas, Falciform, Ligament, Bowel. As a result, 3D CRV(Direct) is useful in 3D CT liver Volumetry. IV. Conclusions Liver transplantation is the most important measure of the right liver. Also, Right Volumetry(direct) is very good measurement method in liver Graft Weight. So, I hope this study to help transplant patients and utilization of clinical research.

      • KCI등재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현금인출기 사용기술에 미치는 영향

        박경석 ( Kyeong Seok Park ),방명애 ( Myong Ye Bang ),홍점숙 ( Jeom Suk Ho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현금인출기 사용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3명의 남자 지적장애 고등학생이었으며,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여 연구는 기초선, 중재, 및 유지 단계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현금인출기 사용기술 중 입금하기와 출금하기 기술을 향상시켰다. 둘째,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에 의해 습득된 입금하기와 출금하기 기술은 중재 종료 3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이 효과적인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를 통해 자기 주도적이고 독립적으로 현금인출기 사용기술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지적장애 고등학생이 실제 생활에서 독립적으로 돈을 관리하도록 도울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화폐교육이나 지역사회 활용기술 교수와 같은 체험학습과 연계하여 교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천적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interventions based on visual cues on the skill of using automated teller machine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ree 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composed of baseline phase, intervention phase, and maintenance phase. The self-management intervention program, the independent variable, included the strategies such as task analysis, visual cues, self-monitoring, self-evaluation, time delay, and least prompt procedure.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deposit skill, and withdrawal skil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management interventions based on visual cues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deposit skill and withdrawal skill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deposit skill and withdrawal skill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maintained three weeks after the discontinuation of the intervention.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setting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