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로당시설의 공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문정인 ( Jung In M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의 경로당 시설의 공간구성 및 실내요소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여 전반적인 공간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범위는 강릉시 경로당 신축사업에 해당되는 시설이며, 연구의 방법은실태 및 면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경로당 신규시설 공간 구성은 진입 공간, 거실, 주방, 생활공간, 위생 공간, 기타공간으로 분류되며 실내디자인요소는 가구, 마감재료, 색채, 조명, 문창, 사인으로 구성된다. 공간구성 및 요소에 대한 개선방향은 다음의 내용과 같다. 진입 공간 중 주출입구 근처 및현관은 노인시설의 특성을 고려하여 면적 확보가 되도록 고려한다. 생활공간 중 거실은 공동작업장의 기능을 고려하며, 할머니방, 할아버지방은 분리를 원칙으로 하며 다양한 연령대를 위한 계획이 되도록 한다. 또한 주방은거실 및 방에 인접하여 설치하도록 한다. 위생공간인 화장실은 수용인원 대비 면적 및 시설물의 수에 맞게 계획하도록 한다. 기타공간인 사무실은 독립적인 공간으로 설치하도록 하며, 창고 및 다용도실은 전반적인 공간의 면적대비를 고려한 계획으로 한다. 실내 요소 디자인으로는 노인들의 특성을 고려한 마감재 및 색상계획을 계획하도록 한다. 또한 다양한 조명방식, 수납가구, 명시성을 고려한 사인물 계획을 고려하도록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pae improvement plan of senior citizen center through problems of space organization and interior design elements of senior citizen center in ruralareas. Scope of the study is new Gangneung senior citizen centers and also methodology of the study is the fact-finding study and the interviews of its user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ly, new senior citizen center is composed of entrance space, living room, kitchen, living space, sanitary space, and miscellaneous space. And also interior design elements are composed of furnitures, finishing materials, colors, lightings, doors and windows, signboards. Secondly, detailed improvement plans of space composition and elements are as follows. Enough space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vicinity of the main entrance and the front door among entrance space. The function of common workplace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living room and the grandfather’s room and the grandmother’s room should be more detailedlyplanned considering age. In addition, the kitchen needs more space according to its functions and should be installed closer to the living room and rooms. Rest rooms of sanitary space should be planned according to the area and the number of facilities to the number of persons to be accommodated. The office of miscellaneous space should be independently installed and the warehouse and the utility room should be planned considered the comprehensive surface area. The interior elements such as finishing materials and colors should be plann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addition, signboards should be planned considering a variety of lighting methods, storage furniture, and the legibility.

      • KCI등재

        태백시 경로당 공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문정인 ( Moon Jung In ),조원석 ( Cho Won Seo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태백시의 20년 이상 된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현황 및 면담조사를 통해 경로당공간 개선방향을 도출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조사범위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조사 시기는 2017년 2월 20일부터 2월 22일까지이며 조사범위는 태백시 20년 이상 된 경로당 시설을 직접 방문하여 실시하였다. 실태조사 방법은 대상 경로당의 공간구성 관찰로 진행하였으며 면담조사 방법은 경로당 시설 책임자(회장)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조사 후 경로당 개선방안을 제안할 수 있었으며 다음의 내용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출입공간의 현관은 면적을 확보하여 노인들이 활동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시설물 계획이 필요하다. 둘째, 생활 및 프로그램공간으로 거실공간은 프로그램이 진행 될 수 있는 독립적인 실의 구성 계획과 동시에 공간 확장이 필요하다. 하지만 거실공간이 단순한 면적확장이 아닌 다양한 활동이 일어나는 특성을 고려하여 공간을 분류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또한 경로당 이용은 주로 할머니 비율이 높고 할아버지 이용은 낮아서 할아버지 경로당은 폐쇄한 곳이 다수 있었다. 따라서 활용이 떨어지는 할아버지 방이 프로그램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한다. 셋째, 위생공간의 화장실은 공간의 분리 및 확장을 고려하도록 계획한다. 넷째, 기타 창고 및 수납공간의 설치될 수 있도록 계획한다. 다섯째, 경로당의 시설물 교체, 설비 등 경로당 유지관리에 대한 부분이 행정관리 측면에서 지속적인 계획에 대한 방법이 고려되어야 한다. 여섯째 경로당의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실을 계획하거나 거실 및 다른 공간의 사용을 유연성 있게 하는 계획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imed at surveying the senior living in Taebaek city who have been using the senior citizen center for more than 20 years in order to identify the current progress of the ongoing program in Taebaek City, thereby seeking directions for the future improvements of the program. The scope and method of research are as follows. The survey is from February 20, 2017 to February 22, 2017. The scope of the survey is conducted by visiting the facilities in Taebaek city for more than 20 years. Actual condition survey method is spatial measurements and taking photographs. The interview method is conducted for the person in charge of the facility at the headquarters. First, the porch plan is to expand the area so that the elderly are not restricted in activities. Second, the living room needs an independent room to expand the space so that the program can proceed. However, it is planned that the living room can classify and use spac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activities rather than simple area expansion. In addition, there were places where men were mostly closed because the use rate of women was high and the use of men was low. Therefore, it is planned that the rooms of men who are inferior in utilization can be used as a space for operating the program. Third, the toilet plans to consider the separation of male and female space and expansion. Fourth, it is planned to install other warehouse and storage space. Fifth, the part about the maintenance of the facility, such as facility replacement and facilities,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administrative management. Sixth, the program room is flexible enough to use the living room or integrate with other spaces.

      • KCI등재

        대피시설 특성에 관한 연구 -강릉시 대피시설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문정인 ( Moon Jung 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재해·재난 시 강릉시 대피시설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기존 건축물을 대피시설로 활용했을 시 사용되는 시설과 선정기준을 조사하여 대피시설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연구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대상은 강릉시의 기존건축물을 사용한 대피시설이며, 조사방법은 대피시설 관련 이론 조사를 통해 분석틀을 도출하고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실태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해·재난 대피시설의 유형은 교육, 공공, 노인복지, 사무, 종교시설로 크게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학교와 관공서의 경우는 대피공간으로 사용해도 생활하기에 큰 어려움은 없었으나 대피 시 이재민이 생활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마을회관과 경로당 같은 경우 접근공간이 협소하여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시 구호차량 진입 불가 등 어려움이 있는 특징이 나타났다. 둘째, 지진해일 대피소의 유형은 교육, 공공, 주거, 군사, 상업, 종교시설, 산 공터로 크게 7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지진해일 대피소는 기존 건축물 또는 넓은 공터 및 산이 지정 되어 있었으나 실제로 실내 대피공간이 없는 특징이 나타났으므로 긴급 상황 시 장기 대피의 경우를 대비하여 실내외 대피공간 계획이 필요하리라 본다. 또한 긴급 상황 시 대피로가 없는 경우가 특징으로 나타났으므로 기존 건축물을 고려한 대피로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대피시설의 지정기준은 체계적인 방법으로 지역별 특징 및 기존 건축물의 용도와 특징을 파악하여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properties of the facility used to evacuate through field case studies evacuation facilities in Gangneung. In addition, through this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provide data to help evacuate the facility actively research. The subjects are evacuated using existing facilities building of Gangneung. Research methods is to derive the analytical framework through an evacuation facilities related theory research and visit the site directly conducted a survey. Specific detai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disaster emergency evacuation facilities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big as education, the public, the elderly, office, religious facilities. Schools and government offices can be used to evacuate the facility, but showed that the difficulties in evacuating the refugees. Main entrance to the town hall and senior citizen is narrow space launch vehicle derived structural problems difficult if an emergency occurs. Second, the type of Tsunami evacuation facilities are classified as educational, public, residential, military, commercial, religious facilities, mountains, open spaces. Tsunami shelters were designated as existing buildings and mountains, but there was no indoor shelter space. Therefore, Tsunami evacuation shelters is required indoor and outdoor evacuation facilities in case of long-term evacuation in an emergency. Since there was no evacuation path is needed as an emergency plan 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buildings. Third, specifies criteria for evacuation facilities are systematically need to be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uses of the existing building.

      • KCI등재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의 효과에 대한 메타 분석

        문정인 ( Moon Jeongin ),맹은경 ( Maeng Unkyoung ) 글로벌영어교육학회(구 호남영어교육학회) 2017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Vol.22 No.4

        This study explores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TETE in EFL Korean contexts. Through a comprehensive search on multiple electronic data bases, 28 primary studies were selected and 104 samples were coded into a CMA software to calculate effect sizes by computing Hedge’s g. The results of this meta-analysis showed an overall medium effect size on TETE for Korean L2 learners (ES=.369). TETE has medium effects in both cognitive (ES=.375) and affective (ES=.363) domains. However, there were no moderating effects (school levels, four language skills, and three affective factors). Research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pedagogical sugges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중학교 감성화 공간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강릉시 중학교를 중심으로 -

        문정인 ( Moon Jung In ),조원석 ( Cho Won Seo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감성화에 대한 이론 고찰을 통해 감성디자인 사업을 시행한 중학교의 사례 및 전문가 면담조사를 통해 감성화가 적용된 학교 공간의 특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 범위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청소년 감성디자인 사업에 참여하였던 강원도 강릉시 소재 중학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감성화 적용학교 공간의 사례조사와 설계사무소에 근무하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면담 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사례 및 면담조사를 통해 감성화 적용 학교 공간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감성화 공간으로 교실의 앞 공간은 칠판 외 벽면의 재료 및 색채의 변화, 뒷공간은 수납공간이 확장하거나 디자인이 변화되어 있었으며, 옆 공간은 창문의 확장 되어있거나 게시판이 설치되어 있었다. 복도와 홀은 작품을 전시할 수 할 수 있으며 홍보공간으로 디자인되어 있었다. 휴식공간은 주로 계단 참 또는 학교의 유휴공간에 의자와 테이블을 설치한 것이 특징으로 도출되었다. 두 번째, 감성화 공간요소로 색채 및 재료의 변화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층별이나 학년별로 계단, 벽, 복도에 변화를 주고 있었다. 또한, 공간의 기능에 따라 직접 조명과 간접조명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가구는 수납공간, 복도의 붙박이 의자, 휴식공간의 테이블 등이 나타났다. 세 번째, 공간의 개념으로는 지역적 특색 및 학교가 추구하고자 하는 방향의 적용이 특성으로 도출되었다. 네 번째, 감성화 공간의 범위가 교실, 복도, 홀 등으로 제한되어 있어 교실 외부까지의 확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 학부모, 교사가 참여하는 디자인 설계과정을 거치고 있지만 전문가와의 협업 과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특성이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space in middle school by applying emotional design projects with case the study and expert interviews. The scope of the study is for middle school in Gangneung-si, Gangwon-do, which participated in the youth emotional design project from 2016 to 2018. As a method of research, a case study is conducted on the schools that carried out the emotional design. In addition, interviews are conducted with experts working at the design office that performed the emotional design project.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spaces to which emotions are applied are derived through surveys on actual conditions and interview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 space is the front space of the classroom with the change of materials and colors on the wall outside the board and in the back of the classroom, the storage space is expanded or the design is changed. And also the space next to the classroom is extended with windows or bulletin boards. The corridors and halls are designed to display works or to be promotional spaces. The rest area is mainly characterized by the installation of chairs and tables using stair landing and unused spaces of the school. Second, the most prominent changes as the emotional element of school are colors and materials, and it changes stairs, walls, and corridors by floor or grad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space, direct lighting and indirect lighting are installed, and also the furniture shows storage space, built-in chairs in the hall, and tables in the resting area. Third, the concept of space is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nd the direction of school development. Fourth, The range of emotional space is limited to classrooms, corridors, halls, so it is necessary to expand outside the classroom. In addition, although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are involved in the design proces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llaboration process with experts.

      • KCI등재

        개선적인 임시주거를 위한 시제품 제작 및 제공시스템에 관한 연구

        문정인(Moon Jung-In),이경남(Lee Kyeong-Nam),김홍용(Kim Hong-Yong),이강희(Lee Kang-Hee),이상호(Lee Sang-Ho) 대한건축학회 2008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4 No.7

        This study has an aim that indicate the temporary residences being improved its surrounding. The sphere of temporary residence is limited as the counterplan of damaged housings by a disaster, the recently occurred cases as well. The improved temporary residence satisfies insulation capability and noncombustible capability through the mock-up and focuses on a heating system for saving maintenance, the installation of internal bathroom and the division of functional inner space. In addition, the mock-up of improved temporary residence verified that construction techniques can assemble in a short period. The supplying system of temporary residences is composes of preplan for the preparations, occurrence of a disaster, contract and construct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and removal of temporary residences according to the work responsibility of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private society, construction company of temporary residences.

      • KCI등재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의 공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강릉시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의 실태 및 면담조사를 중심으로-

        문정인 ( Jung In M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강릉시 노인공동생활가정시설의 실태 및 면담조사를 통해 공간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며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노인공동생활가정의 공간구성은 현관 등과 같은 진입공간, 침실, 거실, 주방과 같은 생활공간, 위생공간, 이동공간, 관리 및 서비스공간으로 분류된다. 공간구성에 대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입공간 중 현관은 휠체어 유효공간 및 수납공간을 확보하도록 한다. 둘째, 생활공간 중 침실은 내부에 화장실 계획이 필요하며, 거실은 프로그램 및 기타 지역연계와 관련된 공간을 고려하도록 한다. 셋째, 위생공간인 화장실, 욕실, 세탁실은 분리 설치하도록 하며 탈의실 계획을 고려하도록 한다. 넷째, 이동공간인 복도는 동선이 길지 않게 계획하며 휴식공간을 배려하도록 한다. 다섯째, 관리 및 서비스 공간 중 관리실은 직원을 위한 휴게공간, 의무실의 설치가 필요하다. 실내공간요소의 개선방안으로는 노인들의 특성을 고려한 마감재, 색채, 조명계획 및 개인적 수납가구 계획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연계에 대한 개선방안은 노인공동생활가정과 지역연계를 위해서는 정부의 제도, 정책 및 지역교류 프로그램 또한 그에 필요한 공간계획이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rovement plan of elderly group homes in Gangneung Cit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pace structure of elderly group homes is classified into the entrance space such as door, living space including bedroom, living room, and kitchen, hygiene space, moving space, and maintenance as well as service spaces.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space structure are as follows. First, the door among entrance areas must secure wheel-chair available space and storages. Second, the bedroom among living spaces needs a bathroom in the space, and the living room should be related to programs and other regional connection. Third, the bathrooms and laundry rooms, which are hygiene spaces, should be separated and have dressing rooms. Fourth, the halls, moving spaces, should be short with rest spaces. Fifth, the janitor`s offices among maintenance and service spaces need rest space and a medical room for employees.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interior environment elements are as follows. Interior space elements should include finishing materials, colors, lighting plans, as well as personal cabinet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addition, the regional connection takes roles in linking elderly group homes and local areas with government policies, systems, regional exchange programs, as well as spatial plans for them.

      • 일시적인 건축물을 위한 가변형 시스템에 관한 연구 - 공간의 확장과 축소가 가능한 시스템을 중심으로

        문정인(Moon Jung-In),이준욱(Lee Jun-Wook),양해종(Yang Hae-Jong),이상호(Lee Sang-Ho)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on developing a transportable(mobile) and deployable (kinetic) system. As one application. the system will provide areas for people who have lost their spaces in the vicinity of the unanticipated natural and human-made disasters. This system can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emergency shelters and also adapted to a wide range of use such as temporary exhibition spaces, work spaces and so on. The system can be easily transported from site to site using a truck and then the system could be transformed to perform different function.

      • KCI등재

        주민자치센터 기능에 따른 실내공간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강릉시 11동 주민자치센터의 실태 및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문정인 ( Jung In Moon ),강혜숙 ( Hye Sook K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동사무소 변화에 따라 주민자치센터 기능이 전환되었으므로 그에 따른 실내공간의 만족도를 도출하여 주민자치센터 실내계획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이론 및 실태조사 결과 주민자치센터는 기능에 따라 관리·행정 공간, 정보·상담 공간, 여가·문화 공간, 보육·교육 공간, 건강·운동 공간으로 분리되어진다. 그리고 정보·상담 공간은 관리 공간 내부 및 별도로 설치되어 있었으며 건강·운동, 여가·문화 공간은 강의실 공간들이 부족하여 다목적 공간으로 사용되어지고 있었으며, 보육·교육공간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곳이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이론고찰 및 실태조사에서 도출되어진 주민자치센터의 기능별 실내공간구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관리·행정, 정보·상담, 문화·교육, 건강·운동, 서비스 공간으로 재 분리할 수 있었는데 이 결과는 실제로 이론고찰과 차이점이 나타나는데 이는 실태조사 결과 공간이 결여되었기 때문이라 사료되었다. 또한 주민자치센터 기능에 따른 실내공간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관리·행정, 건강·운동, 서비스 공간은 주민자치센터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levels of satisfaction regarding the interior space at a local community center whose function changes over time, to help develop future plans for the center. Concrete study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in a survey of both theoretical and actual conditions, a local community center can be divided into areas for management, administration, information, counseling, leisure, culture, child care, education, health, and sports. Areas for information and counseling are included in management area. Health, sports, leisure, and culture lack lecture rooms and use the multi-purpose space. Additionally, most local community centers have no space for child care or education. Second, to determine the composition of areas by use,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rearrange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information and counseling, culture and education, health and sports, and service. This results in a difference from the actual theoretical inquiry, which investigates the actual conditions of dropped space.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effects of indoor space on overall satisfaction, with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health and sports as well as service having a comprehensive effect on satisfa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ce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