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악교정 수술시 교합평면의 차이에 따른 술후 경조직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황충주,임선아,문정련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2

        악안면 부조화를 치료하여 적절한 기능적, 심미적 형태를 얻고자 하는 악교정 수술에 있어 서는 정확한 진단과 치료계획의 수립이 필수적이다. 특히 심한 상 하악의 복합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시행되는 양악 수술에서 상악골과 하악골이 삼차원적인 공간에서 동시에 재배치되는데. 상악골의 재배치에 따라 하악골은 전후 좌우 위치가 결정되면서 새로운 교합평면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교합평면은 양악수술에서 중요한 기준이 되어 상악골의 새로운 위치를 결정하게되므로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시에 최적의 기능적, 심미적 결과와 수술 후 안정성을 얻을 수 있게 계획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양악 수술을 시행받은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 48명(남자25명 여자23명, 평균 연령 21.5세)을 대상으로 하여 교합평면으 설정에 사용되어지는 몇 가지 진단 기준중,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Delaire의 구조적, 구성적 분석에 의한 각 개인의 이상적인 교합평면으로 수술되었을 때 경조직의 술후 안정성에 대해서 평가하고자 이상적인 교합평면에 부합되게 수술이 시행된 군(A군-24명)과 이 평면에서 벗어난 군(B군-24명)으로 나누어, 수술 직전(T1)과 수술 직후(T2-평균 4.3일), 수술8개월 이상 경과 후(T3-평균 1년3개월)에 두군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A군과 B군 모두 수술에 의하여 ANS의 수직적 위치보다 PNS의 수직적 위치가 감소되었다. 즉 상하악 복합체가 후상방으로 회전되었다. 2. T3에 T2와 유의차를 보이는 값은 두군 모두에서 수직 계측항목에서 HRP-Me(p<0.01), 각도 계측항목에선 Articular angle(p<0.01), Gonial angle(p<0.01), Mn. plane angle(p<0.05)이 유의차를 보였다. 두 군 모두에서 HRP-Me이 감소하면서 하악평면각은 증가 하였다. 3. A군 B군사이에서 술후 경조직의 안정성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4. 수술에 의한 B와 Pog의 수평 이동량은 수술후 B와 Pog의 수평재발량과 그리고 PNS의 수직 재발량과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였고, 하악평면각의 수술에 의한 변화량과 gonial angle의 술후 변화량과도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In orthognathic surgery to obtain proper functional and esthetic form after skeletal discrepancy treatment, precis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e are essential. Especially in two jaw surgeries that have serious upper and lower jaw problems, maxilla and mandible are arranged in three dimensions. Based on the maxillary rearrangement, mandibular sagittal and transverse positions are determined, and thus new occlusal plane is established.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the individual ideal occlusal plane based on the architectural and structural craniofacial analysis of Delair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 patients who underwent two jaw surgeries, and they were equally divided into two groups. A and B. A group was operated with ideal occlusal plane and B group was not.Two groups were compared at the preoperative, immediate postoperative (average 4.3days), and long-term postoperative (average 1.3years)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NS was lower than that of PNS for both A and B after the surgery. That is. maxilla and mandible are rotated in posterior and superior direction. 2. Significances were found between T2 and T3 for both A and B are HRP-Me at vertical measurements, articular angle(p<0.01), gonial angle(p<0.01), and Mn. plane angle(p<0.05) at angular measurement. Mn. plane angle is increased at HRP-Me is decreased for both A and B. 3. There is no significance in skeletal stability after the surgery between group A and B. 4. Horizontal movements of B and Pog by surgery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s with horizontal relapse of B and Pog. and vertical relapse of PNS. as well as Mn. plane angle, and gonial angle after the surgery.

      • SCOPUSSCIEKCI등재

        상악 전방 견인 치료에 양호하게 반응하는 안모형태의 후향적 연구

        황충주,문정련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2

        동양권 특히 한국인에게서 자주 발견되는 제III급 부정교합은 하악과성장 또는 혼합형으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은 대부분이 상악골의 열성장을 동반하고 있으며, face mssk는 상악골 열성장을 나타내는 성장기 아동에서 주로 쓰이는 악정형 장치이다. face mask는 전치부 반대교합과 상악골의 위치를 개선하여 대부분 적절한 교합관계를 이루어 양호한 안모를 얻을 수 있으나 어떤 경우는 상하순이 전방으로 돌출된 듯한 바람직 하지 않은 안모를 얻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치료 전 어떠한 환자의 조건이 치료 후 바람직한 교합관계와 안모를 얻을 수 있는지를 술자가 알 수 있다면 face mark 치료의 결과 예측과 한계에 대하여 보다 잘 판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성장기 제 III급 부정교합 아동의 치료 후 양호한 안모를 얻는데 도움을 주고자 시행하였으며 상악골 전방견인 치료 후 양호한 안모를 보이는 군(Group 1, n=12)과 양호하지 못한 안모를 보이는 군(Group 2, n=14)으로 나누고, 치료 전과 치료 후의 측방 두경부 방사선 계측 항목을 이용한 후향적인 연구로 통계처리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부조화로 인해 상악전치가 이미 순측경사되어 전돌되어있을 수록 치료 후 안모는 좋지 않았으며, 상악전치와 관련된 전방 치조골(prosthion)의 전돌 또한 안모에 영향을 주었다. 2. 치료 전 상악골과 하악골이 이루는 각도가 작을수록(NL-ML)좋은 안모를 나타내었다. 3. 치료 전 하순의 돌출도가 클수록 치료 후 bialveolar protrusion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치료 후 하악골의 후하방회전정도가 클 수록 좋지 못한 안모를 보였다. Skeletal Cl III malocclusion is an orthopedic appliance mainly used for growing children with maxillary undergrowth, which largely entails skeletal Cl III malocclusion.It improves anterior crossbite and maxillary position and thus, enables patients to attain favorable profile but often involves unfavorable profile with protrusive upper and lowerlips. Therefore,if orthodontists have knowledge of which condition helps obtain favorable occlusion and profile,they are able to predict the prognosis and limitation of the treatment. This study was done in order to help obtain favorable profile after treating growing skeletal Cl III children, In the study, we classified children into two groups, the one with favorable profile(Group1, n-12) and the other with unfavorable profile(Group 2, n=14) and, with retrospective study using pre- and post-treatment lateral cephalogram,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1. As patients had more serious labioversion of upper incisors, they were more unlikely to have favorable profiles after the treatment. Protrusion of prosthion, which was related with maxillary incisors, also affected profiles. 2. As the NL-ML angle before the treatment was small, it was more likely to get favorable profile. 3. As the degree of lower lip protrusion was high, it was likely to have bialveolar protrusion after the treatment. 4. As the degree of downward and backward rotation of mandible was high, it was likely to get unfavorable profile.

      • SCOPUSSCIEKCI등재

        상악 전치부 견인 시 치아이동에 따른 전방 치조골개조량의 변화에 관한 연구

        황충주,문정련 대한치과교정학회 200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1 No.1

        교정 치료 시 많은 경우 상악 전치부를 상당량 견인하게 되며 이 때 치아의 이동량과 전방 피질골의 개조량이 동일하게 일어나지 않는다면 치주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악 전치가 후방 견인될 때 치아의 이동량과 피질골의 개조량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성장이 완료된 만 18세 이상의 성인 여자환자 56명을 대상으로 치료 전후의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을 계측하였다. 연구대상 56명은 전치의 후방견인 시 경사이동이 주로 일어난 환자(26명)와 치체 이동이 동반된 환자(30명)로 나누었으며 치료 전후의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을 true horizontal plane을 기준으로 하여 중첩하였다. Tip-Group(경사이동된 군)에서는 수평적인 bone remodeling/tooth movement ratio가 1:1.63, Torque-Group(치체 이동이 동반된 군)에서는 1:1.66이었다. 두 군 모두에서 치아의 이동량과 골의 개조량이 동일하지 않았기 때문에 경사이동 시에는 치근첨이 구개측피질골판에서 멀어지고 순측피질골판에 가까워지며, 치체이동이 동반된 군에서는 치근이 순측피질골판에서는 멀어지고 구개측피질골판에 접근하게 된다. 따라서 상악의 전방 피질골의 두께가 매우 얇은 환자에서는 상악 전치의 후방견인량에 제한이 있게 되며 골격적 부조화가 심한 경우에는 악교정수술을 동반한 치료를 고려하고, 교정적 절충치료가 필요한 경우 술자는 그 치료한계를 명확히 인식해야할 것이다. In many cases of orthodontic treatment the upper anterior teeth are retracted. Periodontal problems may arise during incisor retraction, if the amount of tooth movement and the amount of remodeling in the anterior cortical bone are not the same. Therefore in this study,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tooth movement and the amount of bone remodeling during retraction of the upper anterior teeth, lateral cephalograms of 56 female patients over 18-year-old were tak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Among the 56 patients, two group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root movement during retraction. 26 patients mainly moved by tipping and 30 by bodily movement. The cephalograms tak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were superimposed upon the true horizontal plane. In the Tip-Group, the horizontal bone remodeling/tooth movement ratio was 1 : 1.63, and in the Torque-Group it was 1 : 1.66. Because the amount of tooth movement and the amount of bone remodeling were not the same in both groups, in the Tip-Group the root apex moved away from the palatal cortical plate and closer to the labial cortical plate, whereas in the Torque-Group the root moved away from the labial cortical plate and closer to the palatal cortical plate. Therefore,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amount of incisor retraction in patients with a very thin anterior cortical plate in the maxilla, and in patients with severe skeletal discrepancies orthognathic surgery should be considered and when orthodontic camouflage treatment is the only possible method, the orthodontist must be aware of the limitations of treat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