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윤리적 문제(socioscientific issues)에 관한 탐색

        정윤숙(Chung Yoon sook),문공주(Moon Kong ju),김성원(Kim Sung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과 관련된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윤리적 문제(socioscientific issues: SSI)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SSI의 주제 및 소재, 맥락, 학습 활동 유형은 다음과 같다. 현행 교과서에 나타난 SSI 학습활동의 수는 총 61가지였다. 지구와 우주 단원에서 SSI 학습활동을 많이 다루었으며, 운동 과 에너지 단원에서는 많이 다루지 않았다. 교과서에 나타난 SSI 주제는 인위적 지 형변화, 생태계의 보존, 다양성의 보존, 생명공학, 환경오염, 연구윤리, 우주 공학, 대체 에너지, 혐오시설의 9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SSI 학습활동이 제시된 맥락 을 분석한 결과는 개인적 맥락, 사회적 맥락, 세계적 맥락이 각각 7%, 54%, 16%로 나타났으며 맥락을 파악하기 어려운 SSI를 이용한 학습활동은 23%이었다. SSI를 이용한 학습활동은 탐구활동, 읽기자료, 본문, 평가문항의 형태로 제시되고 있었으 며, 토의, 토론, 글쓰기, 역할놀이 등을 통해 학생들의 의사결정을 이끄는 학습활동 은 전체의 61%였다. 본 연구 결과, 현행 교과서에 제시된 SSI는 그 수와 주제가 제 한적이며 최근의 다양한 이슈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이 적극적인 의사결정 활동을 자극하기에는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과서에 보다 다양한 이슈를 제시하도록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자들의 노력이 필요하며, 과학교사들은 다양한 이슈에 관심을 갖고 학교 현장에서 SSI를 활용하는 학습 활동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켜야 할 것이다. SSI에 대한 본 연구는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증 진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연구이며,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글로벌 사회를 살 아가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과학적 소양의 함양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영문초록 Socioscientific issues-based learning activity is essential for scientific reasoning skills and it could be used for analyzing problems be applied to each situation for more successful and suitable. Therefore, we explored socioscientific issues in 17 Korean science textbooks in order to develop the program of scientific literacy relating to decision making. In this study, we found out 61 socioscientific issues in the textbook and classified that by subjects, and context levels. We also investigated what learning activity used to represent socioscientific issues for student learning science. As a result we found 9 subjects of socioscientific issues in the science textbooks as followings: artificial geological change, ecosystem preservation, biological diversity preservation, biotechnology, environmental pollution, research ethics, space technology, alternative energy, construction of obnoxious facilities. We classified socioscientific issues into three context levels. Personal context, social context, global context, not classified were recorded respectively 7%, 54%, 16%, and 23%. Four learning activities for leading students decision making about socioscientific issues in the textbook were discussion, debate, writing, and role play leading. In the textbook socioscientific issues represented by inquiry, reading, text, questions.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are lack of variety in subjects of socioscientific issues. Researchers, science teachers and textbook developers should pay efforts to develop new teaching materials and programs include various socioscientific iss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