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이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명준희(Myung, Junhee),송지훈(Song, Jihoon),이혜정(Lee, Hyejung) 한국생활과학회 2021 한국생활과학회지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COVID-19 has affected the job stress rat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first analyzes the differences in the job stress rates of teacher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rates and different teachers’ pers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lso aims to examine how different infection prevention strategies have affected teachers job stress rates.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216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om between July and September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T-test, one–way ANOVA,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use of SPSS WIN 26.0.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job stress rat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ecame higher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when compared to the rates before COVID-19, with an addition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task overload factor (t=3.12(p<.01)). Second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average age of the teacher, and the greater the experience level of the teacher, the higher their job stress rate.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ork overload level depending on the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and average student age. Lastly, infection prevention strategies implemented at daycare cente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job stress rates.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findings which could provide information for future strategies which would support measures that reduce the job str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times of crisi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 KCI등재

        부모의 양육 역할 책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황옥경(Ock-Kyeung Hwang),정연아(Youn-Ah Jung),송미령(Mi-Ryoung Song),명준희(Jun-Hee My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2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부모의 부모 역할 책임을 확인할 수 있는 평가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조사 대상자는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자녀를 둔 301명의 부모이다. 부모의 양육 책임 척도는 문항 양호도, 타당도, 신뢰도 기준에 따라 11개 하위요인, 총 60문항으로 선정되었다 (i.e., factor load ≥ 0.5; AVE ≥ 0.5;CR ≥ 0.7; Cronbach"s alpha ≥ 0.7). 부모의 양육 책임 척도는 ‘위생관리’(4문항), ‘신체활동’(6문항), ‘생존 및 건강관리’(6문항), ‘인지발달’(5문항), ‘정서적 안정감’(5문항), ‘사회적 기술’ (6문항), 사회규범 및 가치관‘ (7문항), ’물리적 환경‘(5문항), ’보호‘(5문항), ’가족공동체 의식과 가풍‘(4문항), ’기관이용 부모의 역할과 책임‘(7문항)이 최종 확정되었다.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 역할 책임에 대한 지표를 한국의 실정에 맞도록 검증하여 개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척도를 통하여 부모 역할 책임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부모와 육아 지원 기관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parent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for young children. A survey was conducted on 301 parents with children attending preschools. The parent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scale were determined from a total of 60 items and 11 sub-factors based on the criteria for goodnes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items (i.e., factor load ≥ 0.5; AVE ≥ 0.5; CR ≥ 0.7; Cronbach"s alpha ≥ 0.7). The parent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scale include "hygiene management" (4 items), "physical activities" (6 items), "survival and health care" (6 items), "cognitive development" (5 items), "emotional stability" (5 items), "social skills" (6 items), "social norms and values" (7 items), "physical environment" (5 items), "protection" (5 items), "family community consciousness and family tradition" (4 items), and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parents for childcare institutions" (7 items). It is significant that the indicators on the parent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for young children were developed and verified to fit the situation in Korea. Findings will help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and serve as a basis for efficient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preschoolers.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and serve as a basis for efficient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preschools.

      • KCI등재

        아동기 역량지표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황옥경(Ock-Kyeung Hwang),송미령(Mi-Ryoung Song),명준희(Jun-Hee My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불확실한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하여 아동이 갖추어야 할 역량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아동기 역량지표를 개발하며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4개 영역의 역량을 최초 개발하였으며, 초등학교 2, 4, 6학년 2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신뢰도 분석 등을 실시하여 지표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기 역량지표는 ‘사회관계’, ‘심미적 감성’, ‘자기주도성 및 표현’, ‘자기관리’, ‘여가 및 놀이’의 5개 영역, 30개 문항으로 확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아동기 역량지표는 성인의 관점에서 아동이 달성하고 지향해야 할 발달목표가 아닌, 아동이라면 누구나 아동기에 누리고 경험하고 갖추어야 할 행동과 태도 요소를 모두 포괄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여가와 놀이, 심미적 감성 등 미래사회를 살아가는 아동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포함하였다는데 의의가 크다. 본 지표가 아동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최대한 펼치고 미래사회에 부응하는 성인으로 성장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지원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petencies children should have in the future society, and develop and validate various competency indicators for children. To develop these indicators, a literature review was undertaken and 4 areas were first developed. A survey was conducted on 289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indicators by conducting a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nfined to five factors: "social relations, aesthetic sensibility, self-directedness and expression, self-management, leisure and play" and 30 questions. It conceptualized the basic abilities that children should have in childhood, with a focus on expressing their potential abilities and not the developmental goals that they should achieve from an adult"s perspective. It is also significant that it includes the potential competencies of children living in future society such as leisure and play and aesthetic sensibility. The competency indicator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help prepare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child policy that sets the direction for support and investment for children.

      • KCI등재

        생애 첫 부모가 되는 초보 부모를 위한 교육내용 탐색

        황옥경(Ock-Kyeung Hwang),김상림(Sang-Lim Kim),명준희(Jun-Hee M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생애 최초로 부모가 되는 초보 부모를 위한 교육내용을 탐색하여, 초보부모 대상 교육자료가 갖추어야 할 핵심내용 범주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2013년 1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정부 부처, 대학, 그리고 공공의료기관에서 개발하여 보급한 영유아 대상 국내외 부모교육자료 총 22종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Azar & Cote(2002)의 역량요소 근거에 따라 지식, 기술, 태도를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생애 최초 부모가 되는 초보 부모 대상 교육자료가 갖추어야 할 내용 범주를 도출하였으며,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국내·외 부모교육 자료는 공통적으로 ‘지식’에 해당하는 주제를 가장 큰 비중으로 다루고 있었으며, ‘태도’와 관련한 내용을 가장 적은 비중으로 다루고 있었다. ‘지식’과 관련하여, 국내 부모 교육자료의 내용이 출산 및 육아 관련 정책에 관한 정보제공에 비중을 두는 반면, 국외 부모 교육자료의 내용은 출산 직후 부모의 혼란을 예방할 수 있는 지식 제공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 부모 교육자료의 내용은 ‘수유, 수면, 울음 등’ 의 양육기술들을 개괄적으로 다루고 있는 반면에, 국외 부모 교육자료의 내용은 발달영역에 따라 월령별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양육기술 팁을 제공하고 있었다. 셋째, ‘태도’와 관련하여, 국내외 자료 모두 양육 스트레스, 출산 후 우울감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었는데, 국외 부모 교육자료 내용의 경우, 부모가 육아의 조급함을 버리고 자녀와의 건강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었다. 결론 최종 도출된 초보 부모 대상 부모교육 내용 범주는 4개 범주, 10개 주제로 구성되었다. 4개 범주는 1) 부모 첫걸음, 임신과 출산, 2) 생후 1세, 아기의 놀라운 역량, 3) 부모 1년, 유능한 부모되기 4) 육아, 슬로우 다운이다. 이는 초보 부모의 출산 후 양육의 혼돈을 줄이고 부모로서 역량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우리 사회의 긍정적인 양육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ropose content categories of educational materials to strengthen the competencies of new parents who become parents for the first-time in their lives. Methods To this end, a total of 22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rent education materials developed and dis-seminated by government departments, universities, and public medical institutions from January 2013 to January 2023 were analyzed. The materials were analyzed based on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ccording to Azar and Cote’s theory(2002).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content categories for new parents educational materials, and verified their validity. Results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rent education materials, ‘knowledge’ related-content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and ‘attitude’-related content accounted for the smallest proportion. Regarding “knowledge,” domestic parent education focused on providing childbirth and childcare policy information, while international education focused on knowledge that could prevent parental confusion immediately after childbirth. Regarding ‘skills’, the domestic education content outlined the skills of ‘feeding, sleeping, etc.’, while the interna-tional content provided specific parenting skills tips for each month. With regard to ‘attitude’,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education contents deal with stress management and depression after childbirth, and in the case of international education content, it was intended to help parents slow down and have healthy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Conclusions The proposed category of new parent education content consisted of 4 categories and 10 topics. The four categories are: 1) parenthood, pregnancy and childbirth, 2) 1 year of age, baby's incredible capabilities, 3) 1 year of parenthood, becoming a competent parent, and 4) parenting, slow down. This will help reduce the con-fusion of postnatal parenting for new parents and improve their competence as parents, and it will contribute to creating a positive parenting environment in our society.

      • KCI등재

        아동권리협약에 근거한 학교 놀이 환경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초점집단 면접연구를 중심으로

        황옥경(Ock-Kyeung Hwang),김정화(Jeong-Wha Kim),명준희(Jun-Hee My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놀 권리가 보장된 학교 놀이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 놀이 환경이 갖추어야 할 핵심내용을 추출하여 학교가 자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아동의 놀 권리와 관련된 유엔아동권리협약과 일반논평 17번의 문헌고찰을 통해 놀이 환경이 갖추어야 할 16개의 핵심내용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학교 놀이의 주체인 아동, 부모, 교사와의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여 학교 놀이 환경이 갖추어야 할 기본 요건을 알아보고 전문가의 내용 타당성 검토를 받았다. 이를 기초로 학교 놀이 환경 평가체크리스트의 주요영역 10가지를 구성하였다. 아동의 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학교의 놀이 환경 평가 체크리스트의 10가지 영역은 첫째, 충분한 놀이 시간, 둘째, 충분한 놀이 공간, 셋째, 아동 최선의 이익과 아동 참여, 넷째, 비차별, 다섯째, 다양성과 자유, 여섯째, 도전과 모험, 일곱째, 안전, 여덟째, 학교정책, 아홉째, 놀이교육, 열째, 지역사회와의 협력이다. 학교는 놀이 환경 평가 체크리스트의 기준에 따라 아동의 놀 권리 증진을 위한 기본요건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at children"s rights to play are. For this purpose, we extracted the core contents of schools" play environments and we developed a checklist that schools can use to evaluate their own play environments. We reviewed the UN Committee on the Rights of Children and the General Comments No. 17. Through this process, we found 16 core contents that the play environment should have.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who are principle people involved with school play. The focus group interviews discussed the basic elements of the school play environment. The contents" validity was reviewed by a group of professionals. Based on this, we created an evaluation checklist with 10 major areas of the school play environment. The 10 areas of the school play environment evaluation scale are as follows. The ten areas of the play environment assessment scale for the school environment to ensure children"s right to play are sufficient play time, sufficient play space, a child"s best interests and the child"s participation, nondiscrimination, diversity and freedom, challenge and adventure, safety, school policy, the play has an educating component, and community cooperation.

      • KCI등재

        교육복지사 배치 여부에 따른 단위학교 교육복지 운영사례 비교분석

        하봉운(Bongwoon Ha),장덕호(Deokho Jang),김남숙(Namsook Kim),송지훈(Jihoon Song),유명현(Myunghyun Yoo),명준희(Junhee M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단위학교의 교육복지 운영과정을 비교분석하고 한계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교육복지사 배치 여부, 학교급, 학교소재지, 학생 수를 고려하여 8개 대상학교, 16명의 교육복지 담당 인력을 대상으로 서면 사례조사와 초점집단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서면 사례조사와 초점집단 인터뷰 질문은 CIPP모형에 기반하여 구성되었으며, 인터뷰는 2그룹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CIPP모형에 근거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단위학교 교육복지 운영과정의 양태는 교육복지사 배치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첫째, 교육복지사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다양한 교육복지 욕구충족에 초점을 두는 보편적 복지를 실현하고자 노력한 반면, 미배치학교는 교육복지의 대상 및 범위를 특정계층 학생에게 초점을 두었다. 둘째, 대부분의 교육복지사 배치학교는 조직, 예산편성, 배치된 인력의 기능과 역할 등이 체계적으로 조직화 되어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반면, 미배치학교는 제한적인 인력과 조직, 예산의 투입으로 어려움이 확인되었다. 셋째, 교육복지사 배치학교의 경우, 학교 내⋅외 협력체제를 바탕으로 다양한 영역의 지원이 이루어지는 반면, 미배치학교는 대상 학생 선별, 사례관리, 외부자원과의 연계 등에 어려움을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교육복지 성과와 관련하여, 교육복지사 배치학교는 학생의 성장, 지역사회의 변화, 교육의 형평성 제고 등을 성과로 제시한 반면 미배치학교는 학업성취도 향상, 또래 관계 긍정적 변화 등 가시적인 변화를 교육복지 성과로 제시하였다. 결론 단위학교는 모든 학생을 잠재적 교육복지의 대상으로 설정해야 한다. 일상적 교육활동에서의 교육복지 실현을 위하여, 조직적 기반으로 ‘통합성장지원팀’을, 내용적 기반으로 ‘통합성장사례관리’를, 전문성 기반으로 ‘협업적 거버넌스’를 강화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operation process of educational welfare at schools, identify limitations, and suggest improvement methods. Methods Considering the placement of educational workers, school level, school location, and number of students, focus group interview and written investigation were conducted on 8 target schools, 16 school faculties. Written investigation and focus group interview question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CIPP mod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CIPP model. Results The educational welfare operation process of the unit school differed depending on the placement of educational workers. First, schools with educational workers tried to realize universal welfare that focuses on satisfying various educational welfare needs for all students, while schools without educational workers focused on the target and scope of educational welfare for students of a specific class. Second, most schools with educational workers were systematically organized into departments, budgeting, and functions and roles of manpower, while schools without educational workers had difficulty operating due to limited manpower, organization, and budget input. Third, in the case of schools with educational workers, various types of support are provided based on the school's internal and external cooperation system, while schools without educational workers have difficulty in selecting target students, case management, and linking with external resources. Finally, regarding the achievements of educational welfare, schools with educational workers presented visible achievements such as student growth, community change, and improvement of educational equity, while non-arranged schools presented visible achievements such as improved academic achievement and positive peer relations. Conclusions Schools should view all students as potential targets of educational welfare. In order to realize educational welfare in daily educational activities, ‘integrated growth support team’ should be established or strengthened on an organizational basis, ‘integrated growth case management’ on a content basis, and ‘cooperative governance’ on a professional ba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