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ㆍ중 산업내 무역의 현황 및 전망

        림금숙(Lin Jin Shu)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7 No.-

          오늘날 국제경제활동에서 산업내 무역은 이미 국제적 분업과 각국의 산업구조정 및 주도산업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BR>  한ㆍ중 수교 이후 한ㆍ중무역의 급격한 신장과 더불어 수출입상품구조도 변화하여 산업간 무역에서 산업내 무역에로 탈바꿈하고 있다. 각국의 경제 실정이 다르기에 산업내 무역의 일반이론으로 한ㆍ중 산업내 무역의 원인분석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문은 중국대외무역의 주요 형태인 가공무역, 한국기업의 대중국투자 및 중국산업구도의 고도화 등 측면으로 한ㆍ중 산업내 무역의 원인을 분석하고저 하였다.<BR>  한ㆍ중 산업내 무역이 신속히 신장하였으나 그 성격은 여전히 수직적 산업내 무역에 속한다. 이는 한ㆍ중 양국 제조업의 기술력 격차를 설명하는 동시에 중국 가공무역위주의 무역방식의 문제점도 제시해 주고 있다.<BR>  현재 한ㆍ중 수출입상품구조를 보면 전자, 화공, 철강, 자동차, 섬유 등 6개 영역에서 산업내 무역 비중이 가장 크며 한국기업의 대중국투자도 위의 영역에 집중되었다. 따라서 향후 일정 시일 동안 한ㆍ중 산업내 무역은 위의 6개 영역을 중심으로 전개 될 전망이다,<BR>  한ㆍ중 산업내 무역은 양국의 대외무역의 증대, 기술의 파급, 규모경제, 국제경쟁력의 증대, 연구 개발의 추진 및 사회후생증대 등 다방면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동시에 산업내 무역의 기술파급효과를 통한 한국의 비교우위 약화와 한국기업의 비용 감소 효과를 위한 대중국투자의 증대로 인해 중국으로부터의 역수입이 증가하는 등 산업공동화 현상이 나타날 우려도 있어 여기에 상응한 대책 마련도 필요하다고 보아진다.   Nowadays in the international economic activity ,trade inside industries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which affects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and promotes the infant and leading industry. Since Korea and China established the diplomatic relations,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has developed fast. Meanwhile, the structure of goods imports and exports has changed from trade among industries in early days to trade inside industries. China is a country which has changed from planned economic system to market economic system. In many areas. China has taken the special economic policies, for example, the processing trade policy in the foreign trade. So, the common theory of trade inside industries is difficult to offer a very adequate explanation for the trade inside industries between Korea and China.<BR>  Therefore, the thesis tries to analyze the causes of trade inside industries between Korea and China in accordance with the concrete situations, ie, Chinese foreign trade way in which the processing trade is major, and the way foreign business enterprises invest in China, and the upgrade of Chinese industry structure, and so on. According to the trade inside industries index measurement , furtherly make sure the nature of trade inside industries between Korea and China. Trade inside industries between Korea and China plays an active role in enlarging the foreign trade volume of two countries, strengthening the industry cooperation, improving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ability of enterprises. At the present, trade inside industries between Korea and China focuses on six areas, which are electron, steel, motorcar, petrol chemical industry, machine, and fibre. Also, investment of Korean enterprises in China focuses on these areas. So, in the future, the trade inside industries of two countries develops among these areas.<BR>  The research of the subject is somewhat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meaningful to enlarge the foreign trade volume, strengthen the industry cooperation of two countries and promote the upgrade of Chinese industry structure.

      • KCI등재

        연변 대외무역의 현황 및 과제

        림금숙(Lin Jinshu)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0 디아스포라 연구 Vol.4 No.1

        연변은 백두산을 끼고 있는 생태자연자원 우세, 두만강지역의 중심부에 위치한 지리적 우세와 대외통상구의 우세, 동북노공업 기지진흥정책, 변경소수민족정책, 두만강개발개방의 정책적 우세 및 변연문화의 우세 등 대외무역 발전에 유리한 여건들을 지니고 있다. 2000년대 연변의 대외무역은 90년대에 비해 신속한 발전을 이루었으며 성장폭도 크다. 하지만 연변의 대외무역은 규모가 작고 무역의존도가 낮으며 수출입상품 구조가 노동밀집형과 자원밀집형 상품에 편중된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중국의 변경무역에 대한 정책조절과 수출상품관세 환급정책조절 등은 연변대외무역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국내 정책요인이며 러시아 원동지역 경제의 낙후와 정책변화 및 조선경제의 불안정과 정책변화 등은 연변대외무역발전을 제약하는 외부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의 두만강지역합작 개발규획 강요의 반포는 연변대외 무역발전에 유리한 대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연변은 반드시 동북아지역을 겨냥하여 수출주력산업을 육성하고 대외통로의 구축과 원활한 소통을 추진하여 대외무역의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어야 한다. Yanbian is a place that possesses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development of foreign trade. There is a natural resource ecology because of Baitoushan"s presence. For lying in the center of Touman River, Yanbian has geographical advantages and foreign trade advantages. In addition Yanbian area also possesses favorable conditions of the revitalization of northeast old industrial base policy and Touman River development and opening up policy and marginal culture. Yanbian"s foreign trade in the 2000s has developed faster than in 1990s, and the range was also bigger. But there are some problems such as the scale of Yanbian"s foreign trade is small, the trade dependence is low and the export-import product structure is biased on labor-intensive and resource-intensive. Chinese government"s policy adjustment to border trade and control of export refund policy are domestic policy factors affecting on the development of Yanbian foreign trade. Underdeveloped economy of Russian far east region and the change of policy, North Korea"s economic instability and policy changement are external factors that constraint the development of Yanbian foreign trade. China Touman River area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utline"s promulgation provided a favorable environment to the development of Yanbian foreign trade. Yanbian must focus on Northeast Asia and achieve a significant development by training major export industries, constructing foreign channels and developing seamless communications.

      • 창지투선도구와 북한나선특별시간 경제협력

        림금숙(Lin, jin―shu) 국제지역연구학회 2012 국제지역학논총 Vol.5 No.2

        본 연구에서는 창지투(?吉?)선도구와 북한의 나선특별시 간의 경제 협력의 배경과 추진현황 및 제약 요인에 관하여 토의하려고 한다. 창지투 선도구와 북한의 나선특별시 간의 경제협력은 지린성의 “항구를 빌어 바다로 나가는 전략”을 실현하는 관건이며, 북한이 나선특별시의 개발 및 개방을 통해 경제 회생의 돌파구를 마련하는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며, 두만강지역 국제자유무역지대 건설에 중대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창지투선도구와 북한의 나선특별시간 경제협력의 중점 과제로는 북한의 나진항을 통하여 중국의 동북지역과 남방지역을 잇는 다국적 운송통로와 몽골, 러시아, 중국, 한국, 일본 더 나아가 미주지역을 잇는 동북아지역 물류운송 통로의 구축; 자원개발과 수출가공을 중심으로 한 산업협력; 두만강지역의 다국적 관광협력; 두만강지역 국제자유무역 지대의 건설 등이다. 현재 창지투선도구와 나선특별시간 경제협력은 사회기초 시설 투자에 필요한 자금 조달, 북한 경내 도로, 철도, 항만 등 기초 시설 건설자금의 마련, 두만강지역 국제물류 통로의 원활한 운영에 소요되는 물류집산지의 건설, 산업단지 건설에 필요한 기업유치, 다국적 관광업의 활성화에 필요한 개방정책 등 여러 가지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두만강지역 다국적 개발 협력을 제약하는 주요 요인들로는 두만강 지역개발 이익을 둘러싼 주변국의 이해관계; 막대한 자금 수요에 비하여 외자유치의 미비; 북한의 열악한 인프라 환경과 체제개혁의 지연; 북한의 “핵개발”로 인한 동북아 지역의 복잡한 정치, 외교적 환경 등이다. 창지투선도구와 북한의 나선특별시간 경제 협력을 진일보 추진하려면 북?중 두 나라 정부가 이 지역에 대한 특수한 정책을 실시하는 동시에 공동개발에 필요한 자금 지원의 확대와 아시아은행 등 국제 금융기구의 공적자금 활용이 필요하다. 북한 정부는 당초 중국의 심천특구 건설 경험들을 적극 수용하여 북한 실정에 알맞은 특구건설 대안을 모색하는 것 역시 중요한 과제이다. 나진항과 부산항을 연결하는 물류운송 루트의 구축은 한국이 동북아 물류중심 국가로 부상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따라서 한국은 단순히 관망하거나 북한이 중국의 영향권에 편입되는 것을 우려하는 자세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두만강지역 개발 협력에 참여해야 할 것이다. The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between Changchun?Jilin?Tumen Pilot Zone and the city of Luoxian in DPRK is the need for the realization of the strategic target of the Changchun?Jilin?Tumen Pilot Zone, the promotion of the opening up of the city of Luoxian in DPRK, and the promotion of the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in countries in Tumen River area. In the process of Promoting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between Changchun?Jilin?Tumen Pilot Zone and the city of Luoxian in DPRK, The construction of the logistic corridor is the focus, International tourism cooperation is an important carrier of bilateral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while the manufacturing industry cooperation which is mainly about processing trade is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bilateral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Hence, Corridor construction has to be focused to accelerate international tourism and industrial cooperation, Promoting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between Changchun?Jilin?Tumen Pilot Zone and the city of Luoxian in DPRK in a smooth and orderly manner.

      • KCI등재

        한·중 산업 내 무역확대의 원인 및 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림금숙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7 한국민족문화 Vol.29 No.-

        In the modern international economic activity, parallel trade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which affects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and promotes the infant and leading industry. Since Korea and China established the diplomatic relations,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developed fast. Meanwhile, the structure of goods import and exports has changed from trade among industries in early days to parallel trade. China is a country which has changed from planned economic system tomarket economic system. In many areas, China has taken the special economic policies, for example, the processing trade policy in the foreign trade. So, the common theory of parallel trade is difficult to offer a very adequate explanation for the parallel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Therefore, the thesis tries to analyze the reasons for the parallel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in accordance with the concrete situations, for example, Chinese foreign trade way in which the processing trade is a major, the way foreign business enterprises invest in China, the upgrade of Chinese industry structure, and so on. The parallel trade index measurement make sure the nature of trade inside industries between Korea and China. Parallel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plays an active role in enlarging the foreign trade volume of the two countries, strengthening the industry cooperation, and improving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ability of enterprises. At the present, parallel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focuses on the followed six areas, electron, steel ,motorcar, petrol chemical industry, machine, and fiber. Investment of Korean enterprises in China also focuses on these areas. So, in the future, the parallel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will develop among these areas. The research of the subject is somewhat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meaningful to enlarge the foreign tradevolume, strengthen the industry cooperation of two countries and promote the upgrade of Chinese industry 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