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배양액의 농도가 딸기 '매향' 생육, 과실의 품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전하준,변미순,류습생,전의환,이용범,Jun, Ha Joon,Byun, Mi Soon,Liu, Shi Sheng,Jeon, Eui Hwan,Lee, Yong Beom 한국원예학회 2013 원예과학기술지 Vol.31 No.2

        국내에서 육성되어 수출딸기의 주역인 '매향' 딸기의 수경재배에서 적절한 배양액 농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2010년 9월 20일에 코코피트를 충진한 수경재배 벤치에 정식하고, 야마자키 조성 딸기배양액을 이용하여 처리별로 EC를 0.6, 0.8, 1.2, $1.8dS{\cdot}m^{-1}$로 급액하였다. 지상부 생육은 배양액 농도 차이에 따라 일부 차이를 나타내긴 하였지만 그 차이는 미미하여 큰 영향을 받지는 않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과장은 정화방에서는 EC 0.8과 $1.2dS{\cdot}m^{-1}$처리에서 가장 길었고 $1.8dS{\cdot}m^{-1}$에서 가장 짧았다. 제 2화방에서는 EC $1.8dS{\cdot}m^{-1}$처리에서 가장 짧았고 나머지 처리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제 3화방은 정화방과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제 4화방은 처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과경은 정화방과 제 1화방에서는 처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제 3화방에서는 EC 1.8의 높은 농도보다는 0.6의 가장 낮은 농도에서 과경이 더 길었다. 제 4화방에서는 EC $1.8dS{\cdot}m^{-1}$처리에서 가장 과경이 짧았으며 다른 처리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과중은 정화방에서는 EC 1.2와 $0.8dS{\cdot}m^{-1}$에서 가장 컸고 높은 농도의 EC $1.8dS{\cdot}m^{-1}$에서 낮았다. 제 2화방에서는 EC $1.8dS{\cdot}m^{-1}$에서 가장 낮았으며 다른 농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제 3화방에서는 처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제 4화방에서는 0.8에서 $1.8dS{\cdot}m^{-1}$까지는 차이가 없었지만 낮은 농도의 $0.6dS{\cdot}m^{-1}$보다는 높은 농도의 $1.8dS{\cdot}m^{-1}$의 과중이 월등하게 낮았다. 과실 내의 가용성 고형물은 각 화방에 따라서 처리 간에 약간의 변화는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EC $0.6dS{\cdot}m^{-1}$ 처리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제 3화방에서는 EC 0.6에서 $1.8dS{\cdot}m^{-1}$까지 배양액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가용성 고형물의 함량이 순차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딸기 '매향'의 수경재배에서 배양액의 EC 관리는 온도가 낮은 저온기에는 EC $0.8-1.2dS{\cdot}m^{-1}$ 농도로 관리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딸기 수경재배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for strawberry 'Maehyang' bred domestically for exportation in hydroponics. Nutrient solutions for strawberry, which was made by Yamazaki, were supplied electrical conductivity (EC) 0.6, 0.8, 1.2, and $1.8dS{\cdot}m^{-1}$ after planting on cocopeat medium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Growth of shoot of strawberrie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Fruit length showed the longest in EC 0.8 and $1.2dS{\cdot}m^{-1}$, followed by 0.6 and $1.8dS{\cdot}m^{-1}$ in the first and third cluster. It showed the shortest in EC $1.8dS{\cdot}m^{-1}$ in the second cluster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in the fourth cluster. Fruit diamet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in the first and second cluster but was the longest in the lowest concentration EC $0.6dS{\cdot}m^{-1}$ in the third cluster. The shortest was in EC $1.8dS{\cdot}m^{-1}$ in the fourth cluster. The heaviest mean fruit weight appeared in EC 0.8 and $1.2dS{\cdot}m^{-1}$, and the lightest was in EC $1.8dS{\cdot}m^{-1}$ in the first cluster and also lightest in EC $1.8dS{\cdot}m^{-1}$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as found among other treatments in the second & third cluster. Also the fruit weight was significantly light in plants grown in EC $1.8dS{\cdot}m^{-1}$ than $0.6dS{\cdot}m^{-1}$ in the fourth cluster. Soluble solids content of fruit was the highest in EC $0.6dS{\cdot}m^{-1}$ in all cluster. As a result, w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optimum EC for strawberry 'Maehyang' was EC 0.8 - $1.2dS{\cdot}m^{-1}$ during low temperature season. This result will be utilized as an indicator for strawberry hydroponics.

      • KCI등재

        저온암흑처리가 국내 육성 신품종 딸기의 화아분화에 미치는 영향

        전하준(Ha Joon Jun),류습생(Shi Sheng Liu),전의환(Eui Hwan Jeon),배근혜(Geun Hye Bae),강수인(Su In Kang) 한국원예학회 2013 원예과학기술지 Vol.31 No.6

        저온암흑처리가 국내 육성 신품종 딸기의 화아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3월 29일에 모주를 정식하여 8월 2일에 런너를 절단하여 육성시킨 자묘를 7일간, 14일간, 그리고 21일간 13°C 저온저장고에서 저온암흑처리를 하였는데, 정식일인 2010년 9월 20일을 기준으로 역산하여 8월 21일에 3주간 처리, 9월 5일에 14일간 처리, 9월 12일에 7일간 처리를 각각 개시하였다. 처리 후에는 각각의 처리구별로 실체 현미경을 사용하여 형태적인 화아분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저온암흑 처리한 딸기묘를 9월 20일에 고설수경재배 시스템에 일제히 정식하고 야마자키 조성딸기배양액을 EC 0.8dS・m<SUP>-1</SUP>로 공급하여 재배하면서 처리별로 출뢰 및 개화를 조사하였다. 현미경으로 화아분화를 검경한 결과, 7일간의 저온암흑처리에서 ‘싼타’와 ‘매향’이 현저하게 빠른 화아분화를 나타내었다. 14일간의 처리구에서는 ‘설향’을 제외한 ‘싼타’, ‘대왕’, 그리고 ‘매향’은 현저하게 화아분화가 촉진되었다. 21일간의 처리구에서는 품종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화아분화의 진행이 늦었다. 정식 후의 개화율은 ‘설향’과 ‘매향’은 대조구인 무처리구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싼타’와 ‘대왕’은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빠른 개화와 높은 개화율을 나타내어서 저온암흑처리 방법이 이들 두 품종에서는 조기수확 및 수량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로 기대된다.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low temperature-darkness treatment on floral initiation in four kinds of Korean strawberry cultivars. Mother plants were planted on March 29 and daughter plants were raised for the experiment. Temperature treatment was done for 7, 14, and 21 days keeping 13°C in cooling storage from August 29, September 5 and September 14 to September 21. After the treatment, flower bud initiation was examined by a microscope, and the seedlings were transplanted on hydroponic system with Yamazaki"s strawberry solution of EC 0.8 dS・m<SUP>-1</SUP> to check the flowering. ‘Ssanta’ and ‘Maehyang’ showed early flower bud initiation in 7 days treatment than ‘Seolhyang’ by microscope check. ‘Ssanta’, ‘Daewang’, and ‘Maehyang’ showed early flower bud initiation in 14 days treatment than ‘Seolhyang’.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s in 21 days treatment. Percentage of flowering of ‘Seolhyang’ and ‘Maehyang’ by low temperature-darkness treatment didn’t show any difference but ‘Daewang’ and ‘Ssanta’ showed high percentage of flowering. It suggested that low temperature-darkness treatment technique can be use for improving early flowering and yield of ‘Ssanta’ and ‘Daewang’ cultivars.

      • KCI등재

        배양액의 농도가 딸기 ‘싼타’의 생육, 수량 및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전하준(Ha Joon Jun),변미순(Mi Soon Byun),류습생(Shi Sheng Liu),전의환(Eui Hwan Jeon),박소득(So Deuk Park),채장희(Jang Hee Cha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2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1 No.3

        최근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에서 새롭게 육성된 ‘싼타’딸기의 수경재배에서 적절한 배양액 농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2010년 9월 26일에 토양과 코코피트를 충진한 수경재배 벤치에 정식하고, 야마자키 조성 딸기배양액을 이용하여 처리별로 EC를 0.6, 0.8, 1.2 1.8dS ·m<SUP>?1</SUP>로 급액하였다. 지상부 생육은 배양액 농도 차이에 따라 일부 차이를 나타내긴 하였지만 그 차이는 미미하여 큰 영향을 받지는 않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과장은 모든 화방에서 EC 0.8dS · m<SUP>?1</SUP> 처리에서 가장 길었다. 제 2화방에서는 EC 0.8과 1.2dS · m<SUP>?1</SUP> 처리가 0.6과 1.8dS · m<SUP>?1</SUP> 처리보다 과장이 길었다. 제 3화방은 EC 0.8과 1.2dS · m<SUP>?1</SUP> 처리가 길었으며 그 다음으로 0.6이었고, 1.8dS · m<SUP>?1</SUP>에서는 월등하게 낮았다. 제4화방에서는 EC 0.6과 1.2dS · m<SUP>?1</SUP> 처리 간에는 차이가 없고, 0.8이 현저하게 높고 1.8dS · m<SUP>?1</SUP>가 현저하게 낮았다. 과경은 EC 0.8dS · m<SUP>?1</SUP>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제 2, 제 3화방에서는 0.8과 1.2dS · m<SUP>?1</SUP>처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EC 0.6과 1.8dS ·m<SUP>?1</SUP>에서는 전반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과실의 평균 과중은 화방 간에는 첫 번째 화방과 제 2화방이 무거웠으며 갈수록 과중이 감소하였는데, 각 화방별 과중은 정화방에서는 EC 0.8dS · m<SUP>?1</SUP>에서 가장 컸고 EC 1.2dS · m<SUP>?1</SUP>에서 낮았다. 제 2와 제 3화방에서는 EC 0.8과 1.2dS · m<SUP>?1</SUP>에서 약간 높았고 0.6과 1.8dS ·m<SUP>?1</SUP>에서 약간 낮았다. 제 4화방에서는 EC 0.8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서 현저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고, 1.8dS · m<SUP>?1</SUP>에서 가장 낮았다. 과실 내의 가용성 고형물은 각 화방에 따라서 처리 간에 약간의 변화는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낮은 농도의 EC 0.6과 0.8dS · m<SUP>?1</SUP>처리에서 높고, 높은 농도의 1.8dS · m<SUP>?1</SUP> 처리에서 가장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과실의 수량은 정화방에서는 배양액 농도 EC 0.8dS · m<SUP>?1</SUP> 처리에서 주당 수량이 가장 많았는데, 1.2와 1.8의 높은 농도처리 보다 0.6과 0.8dS · m<SUP>?1 </SUP>처리에서 수량이 많은 경향이었다. 제 2화방에서는 EC 0.6에 비하여 0.8dS · m<SUP>?1</SUP> 처리가 월등하게 수량이 많았으나 다른 처리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제 3화방에서는 EC 0.8과 1.2dS · m<SUP>?1</SUP> 처리에서 수량이 많고, 0.6과 1.8dS · m<SUP>?1</SUP>처리에서 월등하게 낮은 수량을 보였다. 제 4화방에서 는 EC 0.8dS · m<SUP>?1</SUP>에서 수량이 가장 많았으나 다른 처리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실험의 결과에서 딸기 ‘싼타’의 수경재배에서 배양액의 EC는 0.8과 1.2dS · m<SUP>?1</SUP>가 적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in hydroponics for strawberry ‘Ssanta’ bred at Gyongsa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Nutrient solutions for strawberry, which made by Yamazaki, were supplied EC (Electrical Conductivity) 0.6, 0.8, 1.2, and 1.8 dS · m<SUP>?1</SUP> after planting on cocopeat medium during experiment period. Growth of shoot of strawberries did not show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Fruit length showed the longest in EC 0.8 dS · m<SUP>?1</SUP> in all clusters. In the second flower cluster, fruit length showed longer in EC 0.8 and 1.2 dS · m<SUP>?1</SUP> than EC 0.6 and 1.8 dS · m<SUP>?1</SUP>. In the third flower cluster, it showed the longest in EC 0.8 and 1.2 dS· m<SUP>?1</SUP>, followed by 0.6 and 1.8 dS · m<SUP>?1</SUP>. The longest was in EC 0.8 dS · m<SUP>?1</SUP> and the shortest in EC 1.8 dS · m<SUP>?1</SUP> in the fourth flower cluster. Fruit diamet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but longest in EC 0.8 and 1.2 dS · m<SUP>?1</SUP> in all clusters. The heaviest mean fruit weight appeared in EC 0.8 dS · m<SUP>?1</SUP> in all flower clusters. And heavier in EC 1.2 dS · m<SUP>?1</SUP> in the second and third clusters. Also the weight was significantly light in plants grown in EC 0.6 and 1.8 dS · m<SUP>?1</SUP> in the second and third cluster. Soluble solids of fruit was the highest in EC 0.6 dS · m<SUP>?1</SUP> in all clusters. As the results, w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optimum EC for strawberry ‘Ssanta’ was EC 0.8~1.2 dS · m<SUP>?1</SUP> in this experiment.

      • KCI등재

        배양액의 농도가 배액의 pH와 딸기 ‘설향’ 뿌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전하준(Ha Joon Jun),변미순(Mi Soon Byun),류습생(Shi Sheng Liu),장미순(Mi Soon Jang) 한국원예학회 2011 원예과학기술지 Vol.29 No.1

        딸기에 적합한 수경재배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배양액 농도와 뿌리의 활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함으로써 딸기에 적정한 배양액의 농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설향(雪香)’ 딸기를 재료로 하여 야마자키 조성 딸기 전용배양액을 0.5, 1.0, 2.0dS · m?¹ 농도로 처리하였다. 그리고 투명 플라스틱 포트에 코코피트를 충진하고 처리별로 5주씩 정식하여 딸기의 지상부 및 뿌리의 발달을 관찰하였다. 뿌리의 활력은 TTC(Triphenyl-tetrazoliumchloride)법으로 조사하였다. 엽병장은 EC 1.0dS?m-1 처리구에서 가장 길었으며, 그 다음 EC 2.0, 0.5dS · m?¹ 순으로 나타났다. 엽폭은 EC 1.0dS · m?¹처리구에서 가장 넓었으며, EC 0.5, 2.0dS · m?¹ 순으로 나타났다. 과장, 과경, 과중 및 수량은 EC 0.5와 1.0dS · m?¹ 처리구에서 EC 2.0dS · m?¹ 처리구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당도는 처리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지상부 건물중은 EC 1.0dS · m?¹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0.5dS · m?¹ 처리구, 2.0dS · m?¹ 처리구 순으로 나타났다. 지하부의 건물중은 배양액의 농도가 0.5와 1.0dS · m?¹ 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2.0dS · m?¹에서는 현저하게 낮았다. 배액의 산도 변화는 EC 1.0dS · m?¹ 처리구는 공급배양액의 pH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EC 0.5 처리구에서는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고 EC 2.0 처리구에서는 현저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Formazan의 농도는 EC 1.0dS · m?¹처리구에서 전 생육기간 동안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EC 2.0dS · m?¹ 처리구에서는 현저하게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설향’딸기에 가장 적합한 배양액 농도는 EC 1.0dS · m?¹에 가까운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배액의 pH는 뿌리의 활성과 직접적인 상관이 있어서, 배액의 pH가높은 것은 뿌리의 활성이 양호한 것을 시사하고, 배액의 pH가 낮은 것은 뿌리의 활성이 낮은 것을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딸기 수경재배에서 생육진단의 지표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in strawberry ‘Sulhyang’ with hydroponics in relationship between root activity and nutrient concentrations. Nutrient solutions for strawberry, made by Yamazaki, were supplied EC 0.5, 1.0, 2.0 dS · m?¹ during experiment period. Growth of shoot and root of strawberries grown in visible plastic pot was observed during experiment. Petiole length was longest in plants grown in EC 1.0 dS · m?¹, followed by 2.0 and 0.5 dS · m?¹. Leaf width was longest in plants grown in EC 1.0 dS · m?¹, followed by 0.5 and 2.0 dS · m?¹. Fruit length, fruit diameter, fruit weight and yield were higher in EC 0.5 and 1.0 dS · m?¹ than 2.0 dS · m?¹ treatment but, soluble solids of the fruit did not show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Shoot dry weight was heaviest in EC 1.0 dS · m?¹, followed by 0.5 and 2.0 dS · m?¹. Root dry weight was heavier in EC 0.5 and 1.0 dS · m?¹ but significantly light in 2.0 dS · m?¹. pH of the drainage solution was elevated in low nutrient concentration and lowered in high concentration. Also root activity was high in low nutrient concentration and low in high concentration. As a result, the optimum EC for strawberry ‘Sulhyang’ was EC 1.0 dS · m?¹ in this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high relationship between root activity and pH of drainage solution. This result will be utilized as an indicator for strawberry hydroponics.

      • SCIESCOPUSKCI등재

        배양액의 농도가 딸기 ‘매향’의 생육, 과실의 품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전하준(Ha Joon Jun),변미순(Mi Soon Byun),류습생(Shi Sheng Liu),전의환(Eui Hwan Jeon),이용범(Yong Beom Lee) 한국원예학회 2013 원예과학기술지 Vol.31 No.2

        국내에서 육성되어 수출딸기의 주역인 ‘매향’ 딸기의 수경재배에서 적절한 배양액 농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2010년 9월 20일에 코코피트를 충진한 수경재배 벤치에 정식하고, 야마자키 조성 딸기배양액을 이용하여 처리별로 EC를 0.6, 0.8, 1.2, 1.8dSㆍm⁻¹로 급액하였다. 지상부 생육은 배양액 농도 차이에 따라 일부 차이를 나타내긴 하였지만 그 차이는 미미하여 큰 영향을 받지는 않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과장은 정화방에서는 EC 0.8과 1.2dSㆍm⁻¹처리에서 가장 길었고 1.8dSㆍm⁻¹에서 가장 짧았다. 제 2화방에서는 EC 1.8dSㆍm⁻¹ 처리에서 가장 짧았고 나머지 처리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제 3화방은 정화방과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제4화방은 처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과경은 정화방과 제 1화방에서는 처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제 3화방에서는 EC 1.8의 높은 농도보다는 0.6의 가장 낮은 농도에서 과경이 더 길었다. 제 4화방에서는 EC 1.8dSㆍm⁻¹ 처리에서 가장 과경이 짧았으며 다른 처리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과중은 정화방에서는 EC 1.2와 0.8dSㆍm⁻¹에서 가장 컸고 높은 농도의 EC 1.8dSㆍm⁻¹에서 낮았다. 제 2화 방에서는 EC 1.8dSㆍm⁻¹에서 가장 낮았으며 다른 농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제 3화방에서는 처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제 4화방에서는 0.8에서 1.8dSㆍm⁻¹까지는 차이가 없었지만 낮은 농도의 0.6dSㆍm⁻¹보다는 높은 농도의 1.8dSㆍm⁻¹의 과중이 월등하게 낮았다. 과실 내의 가용성 고형물은 각 화방에 따라서 처리 간에 약간의 변화는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EC 0.6dSㆍm⁻¹ 처리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제3화방에서는 EC 0.6에서 1.8dSㆍm⁻¹까지 배양액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가용성 고형물의 함량이 순차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딸기 ‘매향’의 수경재배에서 배양액의 EC 관리는 온도가 낮은 저온기에는 EC 0.8-1.2dSㆍm⁻¹ 농도로 관리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딸기 수경재배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for strawberry ‘Maehyang’ bred domestically for exportation in hydroponics. Nutrient solutions for strawberry, which was made by Yamazaki, were supplied electrical conductivity (EC) 0.6, 0.8, 1.2, and 1.8 dSㆍm⁻¹ after planting on cocopeat medium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Growth of shoot of strawberrie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Fruit length showed the longest in EC 0.8 and 1.2 dSㆍm⁻¹, followed by 0.6 and 1.8 dSㆍm⁻¹ in the first and third cluster. It showed the shortest in EC 1.8 dSㆍm⁻¹ in the second cluster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in the fourth cluster. Fruit diamet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in the first and second cluster but was the longest in the lowest concentration EC 0.6 dSㆍm⁻¹ in the third cluster. The shortest was in EC 1.8 dSㆍm⁻¹ in the fourth cluster. The heaviest mean fruit weight appeared in EC 0.8 and 1.2 dSㆍm⁻¹, and the lightest was in EC 1.8 dSㆍm⁻¹ in the first cluster and also lightest in EC 1.8 dSㆍm⁻¹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as found among other treatments in the second & third cluster. Also the fruit weight was significantly light in plants grown in EC 1.8 dSㆍm⁻¹ than 0.6 dSㆍm⁻¹ in the fourth cluster. Soluble solids content of fruit was the highest in EC 0.6 dSㆍm⁻¹ in all cluster. As a result, w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optimum EC for strawberry ‘Maehyang’ was EC 0.8 - 1.2 dSㆍm⁻¹ during low temperature season. This result will be utilized as an indicator for strawberry hydropon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