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립대학의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에 관한 사례연구

        류수진 ( Sujin Ryu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에 관한 선도적 위치에 있는 국립대학 사례연구를 통해 향후 대학의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 수립 및 확산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가 정착된 3개 국립대학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 도입을 위해서는 첫째, 대학 특성에 맞는 마일리지 차등 지급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학생의 요구 분석, 관련 부서의 협력 및 시스템 마련이 요구된다. 셋째, 인재인증제 연계를 위해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 체계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넷째, 비교과 교육이 교과 교육과 함께 대학교육 내 교육과정의 한 축으로 인식되는 기반 마련에 이바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 마련에 대한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and spread of the extra curricular mileage system of universities in the future through case study of national universities in a leading position on the extra curricular mileage system. To this end, three national universities where the extra curricular mileage system was established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is, in order to introduction of extra curricular mileage system, fir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mileage differential payment standards suitable for university characteristics. Second, it is required to analyze students’ needs, cooperate with related departments and prepare systems. Third, the establishment of a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system must be preceded in order to link the talent certification system. Fourth, it can contribute to laying the foundation for extra education to be recognized as an axis of the curriculum in university education along with subject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basic data and implications for the preparation of the comparison and mileage system.

      • KCI등재

        대학혁신지원사업 역량강화형 지원대학의 대표적인 혁신 프로그램 내용 탐색

        류수진 ( Sujin Ryu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대학혁신지원사업 역량강화형 지원대학의 대표적인 혁신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교육혁신의 경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원대학의 1차, 2차년도 사업계획서에서 대표적인 혁신 프로그램을 매트릭스 분석하였다. 전체 지원대학의 사업목표에서 도출한 공통 핵심문구 교육체제 구축, 학생 성장, 역량 중심 차원과 1차, 2차년도 차원을 교차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표적인 혁신 프로그램 내용 탐색을 통한 대학혁신지원사업 역량강화형 지원대학의 교육혁신에는 학생 개개인의 성장을 위해 대학의 특성화를 반영한 역량중심 교육체제 구축이라는 경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의 중장기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방안 모색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관련 선행연구가 없어 비교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어 향후 관련 연구를 위한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trends in educational innovation by analyzing the representative innovation programs of universities supporting the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capacity-building. To this end, a matrix analysis of representative innovation programs in the first and second year business plans of the universities to be applied was analyzed. A cross-comparis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the construction of a common core phrase educational system, student growth, competency-oriented dimensions derived from the project goals of all supported universities, and the 1st and 2nd year dimension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al innovation of universities supporting the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s competency-enhancing type by exploring the contents of representative innovation programs tends to build a competency-oriented education syste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for the individual growth of each stud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finding ways to establish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s of universities. As there was a limitation in that there was no related prior research, a comparative discussion could not be made, so the direction of the study for future related research was suggested.

      • KCI등재

        어린이공원 관련 연구 동향 고찰 : 2001년부터 2020년까지

        류수진(Ryu, Su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는 어린이공원 관련 연구 동향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교육학 및 어린이 관련 학문 분야에서의 어린이공원 관련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고 학제간 융합연구의 필요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누리미디어(Dbpia), 국회전자도서관에서 2001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어린이공원 관련 학술지와 학위 논문 110편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이를 발표연도 및 기간별, 종류별, 분야별, 주제별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발표연도별 동향은 매년 평균 5.5편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전반적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5년 단위 기간별로 2001~2005년에 23편, 2006~2010년에 30편, 2011~2015년에 28편, 2016~2020년에 29편으로 지속해서 연구되고 있었다. 둘째, 논문 종류별로는 학술지는 48편, 학위논문은 62편으로 학위논문이 학술지보다 상대적으로 많았다. 셋째, 연구 분야별로는 ‘도시/조경/환경’ 분야가 60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건축/디자인’ 분야는 34편, ‘기타’ 분야는 16편 순이었다. 넷째, 연구 주제별로는 어린이공원 계획이 40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어린이공원 활용방안은 26편, 어린이공원 평가는 23편, 어린이공원 안전은14편, 어린이공원 특성은 9편 순이었다. 결론 어린이공원 관련 연구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으나 교육학 또는 어린이 관련 분야에서의 연구가 미흡하였다. 이에교육학 또는 어린이 관련 전공 분야에서의 어린이공원 관련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성, 나아가 다양한 학문 분야의 지식을 종합하는어린이공원 관련 학제간 융합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suggest future direction for children’s parks-related research in education and children-related academic fields by examining research trends related to children’s parks, and to explore the need for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Methods To this end, 110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children’s parks published from 2001 to 2020 by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arvice(RISS), Nuri Media(Dbpia),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were finally selected. Research trends by field, and by topic were analyzed. Results First, as for the trend by year of publication, an average of 5.5 papers were published every year, and the overall trend showed a steady increase. By five-year period, 23 papers were continuously studied from 2001 to 2005, 30 papers from 2006 to 2010, 28 papers from 2011 to 2015, and 29 papers from 2016 to 2020. Second, by type of thesis, there were 48 academic journals and 62 degree thesis, which were relatively more than those of academic journals. Third, by research field, ‘urban/landscape/environment’ had the most with 60 papers, followed by ‘architecture/design’ with 34 papers, and ‘other’ with 16 papers. Fourth, by research topic, children’s park plans accounted for the most with 40 papers, followed by children’s park utilization plans with 26 papers, children’s park evaluations with 23 papers, children’s park safety with 14 papers and children’s park characteristics with 9 papers. Conclusions Research related to children’s parks is being studi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but research in education or children-related fields is insufficient. Accordingly,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children’s parks-related research in education or child-related fields, and furthermore, the necessity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related to children’s parks to synthesize knowledge from various academic fields was proposed.

      • KCI등재

        비교과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인증제 고찰 : 대학별 사례를 중심으로

        류수진(Ryu, Su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6

        목적 본 연구는 비교과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한 제도로써 인증제를 시행하고 있는 대학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연구대상은 자체 비교과 인증제를 운영하는 대학 중 특색있는 4개 대학이다. 사례 대학별로 비교과 인증제 전담부서, 인증위원회 구성, 인증절차, 인증기간, 인증부서 지원방안 및 사후관리, 운영방식과 인증 평가기준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비교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비교과 인증제 도입의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과 인증제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계획, 운영, 성과관리, 평가, 개선 및 환류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가 이뤄져야 한다. 둘째, 비교과 인증제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전문가의 검토를 통한 인증지표 개발과 인증심사 위원회의 구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셋째, 비교과 인증제의 실효성을 위해 비교과 프로그램이 비교과 교육과정으로 자리매김하여 운영될 수 있도록 전담인력과 예산이 확보되어야 한다. 결론 본 연구는 비교과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한 제도로써 인증제 도입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대학 교육에서 비교과 인증제가 정착되기 위해 인증제 운영상의 개선방안 탐색이나 보완에 관한 후속연구를 수행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ases of universities implementing accertification system as a system for quality management of extracurricular curriculum and draw implications based on them. Methods The research subjects are four distinctive universities among universities operating their own extracurricular accertification system.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mposition of the accertification committee, accertification process, accertification period, support plan and follow-up management of the accertification department, operation method and accertification evalution index for each university. Results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the comparison and introduction of the extracurricular accertification system are as follows. First, the extracurricular accertification system is the overall evalution of planning, operation, performance management, evalution, improvement, and feedback of comparison and program should be carried out. Second, in order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extracurricular accertification system, the development of accertification index through expert review and the formation of a accertification review committee should be premised. Thir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extracurricular accertification system, a dedicated manpower and budget should be secured so that the comparison program can be operated as a comparative education curriculum. Conclusions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the introduction of a accertification system as a system for the quality management of the extracurricular curriculum, and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on the exploration or supplementation of improvements in the operation of the accertification system.

      • 전공특화형 비교과 프로그램의 의미와 역할 탐색 - K대학교 스터디 클럽 사례를 중심으로 -

        류수진(Sujin Ryu) 한국비교과교육학회 2023 비교과교육연구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role of Study Club, a student-led study group in universities, as a major-specific extracurricular program. To this end,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operation data of the study club operated at K University as part of the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an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study club corresponding to the average number of club members, we analyzed the study club as a major-specialized extracurricular program. Meaning and role were derived. As a result, the mode of number of study club members was 5, and the type was analyzed based on the main contents of activities for each study club. K University's study club had distinct characteristics of deep learning type and specialized inquiry type, and a mixture of characteristics of deep learning type, specialized inquiry type, and problem solving type.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professor, who is the study club's human resource and the club's topic and content plann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specialize student-led study groups into extracurricular programs in future major areas.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학생 주도적 학습모임인 스터디 클럽이 전공특화형 비교과 프로그램으로써 가지는 의미와 역할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대학교에서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운영 중인 스터디 클럽의 운영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클럽 구성원 수의 최빈값에 해당하는 스터디 클럽의 내용을 바탕으로 스터디 클럽이 전공특화형 비교과 프로그램으로써 가지는 의미와 역할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스터디 클럽 구성원 수의 최빈값은 5명이었으며 해당 스터디 클럽별 활동 주요 내용을 기준으로 유형을 분석하였다. K대학교 스터디 클럽은 심화학습형과 전문탐구형으로 특성이 뚜렷이 구분되는 경우와 심화학습형, 전문탐구형, 문제해결형 유형의 특징이 혼합되어 있었다. 이는 스터디 클럽의 인적 자원인 클럽의 주제와 내용 기획자인 교수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전공영역에서 학생 주도적 학습모임을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특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