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교과교육학 지식(PCK) 요소 분석
이재원,류고운,노태희,Lee, Jaewon,Ryu, Goeun,Noh, Taehee 대한화학회 2018 대한화학회지 Vol.62 No.5
이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의 화학 영역 단원에 나타난 PCK 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PCK의 하위 요소 중 주제-특이적 전략, 수직 연계, 수업 목표는 대부분의 교사용 지도서에서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었다. 그러나 교과-특이적 전략, 평가 방법, 교육과정 변화는 주로 총론에서만 다루고 있었다. 실험 및 탐구, 평가 문항, 평가 측면은 제시된 내용이나 형태에서 구성주의적 접근이 미흡하였다. 수평 연계와 학생에 관한 지식은 관련 내용이 부족하거나 단순히 목록만 제시되어 있었다. 개념 및 이론은 교사용 지도서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적정 수준을 벗어나는 내용을 일부 포함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용 지도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CK components in the chemistry units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books develop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analysi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ub-components of topic-specific strategies, vertical articulation, and lesson objectives were systematically handled in most teacher's guidebooks. However, subject-specific strategies, assessment methods, and curricular changes were mainly dealt with only in the general guidelines. Experiments and inquiries, assessment questions, and assessment dimensions were lack of constructivist approaches in the aspect of presented contents or forms. Horizontal articulation and knowledge of students were either lacked in relevant content or presented in the form of simple presentation. Concepts and theories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teachers' guidebooks, but some of them were beyond appropriate levels. On the bases of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teacher's guidebooks are discussed.
구성주의적 수행평가 워크숍에 참여한 예비 화학교사의 수행평가 과제 개발 과정에서 고려된 교과교육학 지식(PCK) 구성 요소 및 연계의 특징
이재원 ( Jaewon Lee ),류고운 ( Goeun Ryu ),강석진 ( Sukjin Kang ),노태희 ( Taehee Noh ),강훈식 ( Hunsik Ka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4
이 연구에서는 구성주의적 수행평가 워크숍에 참여한 예비 화학교사가 수행평가 과제 개발 과정에서 고려하는 교과교육학 지식(PCK) 구성 요소와 구성 요소 사이 연계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8명의 예비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들은 3주간의 구성주의적 수행평가 워크숍 후 수행평가 과제를 개발하였다. 예비교사의 수행평가 과제 개발 과정을 조사하기 위해 발성 사고법을 사용하였고, 활동을 녹음 및 녹화하였으며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개별 수행평가 과제 개발 과정의 구상 단계에서는 과학 평가, 교수 전략, 학생, 내용에 관한 지식이 거의 동일한 비율로 나타났고, 구체화 단계에서는 과학 평가에 관한 지식이 주로 나타났다. 조별 논의 과정에서는 과학 평가, 교수 전략, 학생에 관한 지식의 비율이 거의 같았다. 그러나 과학교육과정에 관한 지식과 하위 요소 중 과학 과정 지식을 고려한 경우는 드물었다. PCK 구성 요소 사이의 연계는 개별 수행평가 과제 개발 과정의 구상 단계에서 과학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을 중심으로 나타났고, 구체화 단계와 조별 논의 과정에서는 학생에 관한 지식을 중심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학교육과정과 내용에 관한 지식이 다른 PCK 구성 요소와 연계되는 경우는 적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components and their integrations in the processes of developing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ve performance assessment workshop. Eight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three weeks of the constructivist performance assessment workshop, they developed their own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The think-aloud method was used to investigate their developing processes. Their activities were recorded and videotaped,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The analysi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CK component considered in the planning step showed similar frequencies for assessment, instructional strategies, students, and subject matter components. In the embodying step, assessment component was most frequent. In the discussion step, the frequencies for assessment,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students components were similar. However, curriculum component and the subcomponent of science process skill were rarely used. The integrations among the PCK components were found to be centered on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component in the planning step and the students component in the embodying and discussion step. However, curriculum and subject matter components were rarely integrated with other PCK compone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노외기계시스템 분야 : 캄보디아의 농업기계화 현황과 전망
조봉진 ( B J Cho ),류고운 ( G E Ryu ),신승엽 ( S Y Shin ),김경욱 ( K U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4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9 No.1
캄보디아는 농업생산에 적합한 기후와 지형 조건을 구비하고 있으나, 인프라가 부족하여 생산량이 낮은 편이다. 그러나 최근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2015년까지 쌀 수출 100만 톤을 목표로 하고 있다. 농업기계화율도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농기계 시장은 점점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산 농기계 는 완제품 수출보다는 현지 산업체와 기술제휴를 통한 시장 확대가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