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머신러닝을 활용한 청소년 정서·행동문제 잠재프로파일의 예측 및 영향 변수 탐색

        도유록 ( Do¸ You Rok ) 한국가족관계학회 2021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6 No.3

        연구목적: 잠재프로파일분석과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 잠재 집단을 분류하고 예측한다. 연구방법: 한국아동·청소년패널(KCYPS) 2018의 중학교 1학년 패널 1차 년도(N=2,590)와 2차 년도(N=2,438) 자료를 이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으로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 잠재집단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 정서·행동 위험집단과 정서·행동 준위험 집단을 분별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모형과 랜덤포레스트 알고리즘을 적용한 머신러닝 모델을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1차 년도 자료를 훈련 데이터로, 2차 년도 자료를 시험 데이터로 이용하였으며, 자료가 제공하는 총 73개의 예측 요인을 모두 투입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잠재프로파일분석의 결과로 1년차와 2년차 자료 모두에서 ‘정서·행동 안정 집단’, ‘주의집중·공격성 우세 집단’, ‘정서·행동 준위험 집단’, ‘정서·행동 위험 집단’ 등 4개의 잠재집단을 도출하였다. 둘째, 머신러닝 모델은 정분류율 76.1%∼88.1%, AUC 84.2%∼89.4%의 양호한 예측률을 보였다. 셋째, 두 머신러닝 모델에서 부정적 교우 관계와 학업 무기력이 정서·행동문제 위험 집단을 예측하는 데 가장 중요한 변수로 꼽혔으며, 그 외에 삶의 만족도, 행복감, 자아존중감, 스마트폰 의존도, 인지된 부정적 양육태도 등이 중요한 변수로 뽑혔다. 결론: 사람중심적 접근인 잠재프로파일분석과 머신러닝 기법을 함께 활용함으로써 위기 청소년 집단을 예측하고 분류하여 이들을 위한 맞춤 개입의 근거를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탐색적 연구의 특성을 활용해 부정적 교우관계 및 학업 무기력과 같이 청소년의 정서·행동 위험 집단에 핵심적 변수를 파악하여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를 예방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였다. Objective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predict adolescents’ latent group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Method: This study used the 1st year (N=2,590) and 2nd year (N=2,438) data of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 panels obtained from the Korea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8. Moreover,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of adolescents were confirmed through the latent profile analysis. To distinguish the emotional-and-behavioral-risk group and the near-risk group, this study constructed a machine learning model apply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random forest algorithm. Hence, the first year data were utilized as the training data and the second year the test data, thus inputting 73 predictive factors. Results: Four latent groups were identified from both waves: the stable, the attention-problems-and-aggression, the near-risk, and the at-risk. Machine learning algorithms for both models indicated a decent performance, with AUCs ranging from 84.2% to 89.4%. Additionally, negative peer relationship and academic helplessness were found the most important in predicting the near- and the at-risk groups, and academic helplessness for only the at-risk group. Smartphone dependency,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perceived negative parenting attitude were also important variables. Conclusions: Person-centered approaches, such as latent profile analysis, as well as machine learning algorithms in developmental studies can serve as evidence for identifying and predicting adolescent groups at risk and providing customized intervention. Adopting the characteristics of explorative research, this study sought effective methods to prevent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adolescents by identifying key variables, such as negative peer relationship and academic helplessness.

      • KCI등재

        팬데믹 속 자녀돌봄과 온라인 양육담론의 역동성: 코로나19 3년의 온라인 육아 커뮤니티 분석

        도유록 ( Do You Rok ) 한국가족관계학회 2024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8 No.4

        연구목적: 본코로나19 3년 간 온라인 육아 커뮤니티에서 코로나19 시기의 자녀돌봄 및 그를 둘러싼 담론의 변화를 전산적 방법으로 분석한다. 연구방법: 내 대표적 온라인 육아 커뮤니티인 ‘M’ 카페에서 코로나19와 관련된 키워드가 등장하면서 2020에서 2022년 사이 작성된 게시글을 수집하였다. 그 중 자녀돌봄과 관련된 게시글로 코퍼스를 구축하고, 동적토픽 모델링(DTM)로 분석한 후 주요 토픽을 시각화하였다. 연구결과: 총 186,713건의 게시글에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10개의 토픽을 도출하였다. 그 중 자녀돌봄의 전반적 어려움을 나타내는 1개의 토픽과 자녀 수유·식사, 보육기관, 병원 등 구체적인 실천을 나타내는 4개의 토픽에서 코로나19 기간의 자녀돌봄의 연속성과 특수성을 관찰하였다. 또 코로나19의 확산이나 돌봄의 어려움, 그리고 백신에 대한 논의의 급변이 나타난 토픽 등에서 스트레스 및 백신패스(방역패스)에 대한 의견이 변화하는 과정도 포착하였다. 결론: 코로나19 기간 온라인 육아 커뮤니티에 나타나는 자녀돌봄과 담론 변화의 양상을 종단적으로 살펴보았다. 커뮤니티 이용자들은 공동체의식을 바탕으로 게시글과 답글을 통해 코로나 19 시기 자녀돌봄에 대한 협력적 지식을 생산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한 양육스트레스는 시간이 지나며 줄어든 정황이 있었으나 코로나19 스트레스는 3년 간 조금씩 바뀌며 지속된 것으로 보였다. 또 커뮤니티의 정서적 유대감은 자녀의 건강에 대한 관심을 이용해 백신에 대한 부정적 반응이 짧은 시간에 발달에서 소멸에 이르게 하는 배경이 된 것으로 보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three-year development of the discussions around at-home parenting on a Korean online parenting forum during COVID-19. Method: A corpus of posts from ‘M’ cafe, spanning from 2020 to 2022 with COVID-19-related keywords, were scraped, pre-processed, and analyzed using dynamic topic modeling. Major topics were visualized. Results: 10 topics emerged from 186,713 qualifying posts, changing over time. Among these, five topics were about parenting at home during COVID-19; one about the overarching changes of parenting in the pandemic, and the remaining four about the details of childcare including nutrition, public care facilities, and healthcare. Visualization of major topics’ within-topic changes were presented to show their links to the trajectory of COVID-19, parental stress, and development of vaccination measures. Conclusions: This study delves into the changes in many aspects of at-home parenting and related discussions over the three years of COVID-19. Grounded in the sense of community, forum users created collaborative knowledge on parenting during COVID-19 through posts and comments. Parenting stress from COVID-19 showed signs of decrease, but COVID-19-related stress persisted with small changes throughout the study period. The emotional cohesion of the forum appears to have enabled the quick emergence and dissipation of anti-vaccination sentiments, capitalizing on parents’ concern for their children’s health.

      • KCI등재

        한부모 가족의 ‘학부모참여’실태와 자녀교육의 어려움에 관한 연구

        서현석(Seo, Hyunseok),진미정(Chin, Meejung),도유록(Do,You R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2

        이 연구는 한부모 가족의 어머니의 ‘학부모참여’의 실태와 이들이 겪는 자녀 교육의 어려움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첫째, 학부모참여 실태를 분석한 결과 학교와의 소통은 ‘자녀의 생활지도를 위한 교사와의 상담참 여도’ 항목에서 양부모 가족의 어머니들이 한부모 가족의 어머니들보다 참여율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활동 참여도는 양부모 가족 취업모와 한부모가족 취업모의 경우 모두 전업주부의 경우보다 높은 불참율을 나타냈는데, 이 중에 서도 한부모 가족 취업모 집단이 좀 더 높은 불참율을 보였다. ‘자녀학습지원’이나 ‘학교 만족도’항목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심층면접조사 결과 한부모 가족 학부모들은 가족 부양과 자녀 양육에 대한 부담과 학부모로서의 역 할을 감당하기까지 삼중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부모참여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자녀의 교우관계에 대한 염려가 컸다. 또한, 자녀가 사춘기에 접어들면서 학교 교육에 대한 불신이 증폭되고 자녀교육에 대한 어려움이 극대 화되는 경향을 찾아 볼 수 있었다. 한부모 가족 학부모들의 자녀교육에 대한 기대와 노력은 양부모 부모들과 비교해 볼 때 결코 뒤지지 않았으며, 자녀교육에 대한 열망 역시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 한부모 가족 학부모들에게 자녀의 양육과 교육을 감당할 수 있는 사회적 지원과 함께 편안한 학교(교사)와의 소통을 위한 교육적 지원이 체계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sparity of school participation between mothers of two-parent families and single-parent family. Data is consisted of 7,554 mothers of primary and middle school children, from the 2011 data of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Panel. The dependent variables are focusing on home-school communication, participation to school, support for child s study and satisfaction to school. Detailed questions are about the frequency of school website visit, the frequency of counseling with the teacher, participation to school committee, parent meeting and the evaluation of teacher expertise, questions regarding support for child s study and question on satisfaction to school. As a result, mothers of two-parent famili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articipation in the frequency of counseling with teacher about student guidance, the level of seeking information about private education, and the frequency of school website visit. In addition to the type of family, the employment of the mothers was added as a new factor and the groups were further divided into four to examine any other salient differences. Consequently, the housewives of two-parent famili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articipation and single working mothe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articipation in the two items representing participation, participation in the school committee and parent meetings, and the participation to the evaluation of teacher expertise. An additional interview on 9 single-parents revealed that they had high standards and aspiration to children s education, but were afraid of their children falling behind from their less support. To solve this problem, a plan for effective single-parent support was suggested which integrates welfare policies that aim to fight poverty, educational policies that improve the awareness about diverse families and support single families, and family policies that supports work-family bal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